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G7 보건장관회의, 코로나19 극복과 미래 감염병 대비 방안 논의
- 등록일2021-07-13
- 조회수3422
- 분류생명 > 보건의료학, 기타 > 기타
-
발간일
2021-07-13
-
키워드
#G7#보건장관회의#Health Ministers Meeting
- 첨부파일
BioINwatch(BioIN+Issue+Watch): 21-48
G7 보건장관회의, 코로나19 극복과 미래 감염병 대비 방안 논의
◇ 주요 7개국(G7)은 공중보건위기 상황에 대응하고자 원헬스 접근법에 기반한 감염병 감시체계 통합, 디지털기술 활용, 저개발도상국 지원, 지속적인 투자 및 자금조달 등 감염병 대응을 위한 전략 제시
▸주요 출처: G7uk.org, G7 Health Ministers Meeting, Communique, 2021.6.4
▣ 코로나19 극복과 미래 감염병 대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영국에서 대면·화상회의 혼합방식으로 G7 보건장관회의(’21.6.4∼6.5)가 진행
○ G7*과 한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인도, 호주 초청국 장관들은 현재와 미래 감염병 대응을 위해 원헬스(One Health)** 접근법에 기반한 감염병 감시체계 통합, 디지털기술 활용, 개발도상국 지원, 지속적인 투자 및 자금조달 등에 대해 논의
* Group of 7 countries 또는 G7 회의 : 국제문제에 대한 협력을 위한 주요 선진국협의체로, 회원국은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이탈리아, 캐나다
** 인간·동물·환경 간의 연계를 고려해 모두에게 최적의 건강을 제공하기 위한 다학제적 접근방법
○ 더 건강하고 탄력적이며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회복 전략을 계획하고 제공하는 데 있어, G20 글로벌 보건정상회의에서의 토론을 적극 활용하고 보건비상사태에 대한 대응 개선을 위해 ‘로마 선언*’지지
* 미래 보건위기 예방을 위한 공동행동의 주요원칙을 규정하는 조약으로, G20 Global Health Summit(’21.5.21) 회의를 통해 채택됨
| 로마선언(Rome Declaration) 주요 내용 |
|
|
| |
◈ 전 세계적인 공평한 백신 접종, 적절한 공중보건조치 및 글로벌 공공재에 대한광범위한 사회·경제적 투자 필요 ◈ 코로나19 장비(백신, 치료제, 진단기기, 개인보호장비)의 시의적절하고 공평한접근에 대한 노력 강화 필요성 강조 ◈ 팬데믹 예방과 대비 관련, 국제적 합의 가능성 제안을 주목 ◈ 글로벌 연대, 공평성, 다자협력, 효과적 거버넌스, 사람 중심의 대비 및 효과적인대응역량 지원, 과학 및 증거 기반 정책 수립 및 신뢰 구축, 지속가능한 글로벌보건 재원조달 촉진을 위한 약속 재확인 |
○ 코로나19에 대한 과학기반 대응 및 학제 간 융합 연구개발을 촉진하고, 다자간 협력을 강화
- 과학기반조치 및 One Health 접근방식으로 증가하는 항생제 내성(AMR, Antimicrobial resistance)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공중보건 위기상황에 대한 준비 및 대응을 주도함에 있어 적절하고 지속가능하며 예측가능한 자금 지원을 받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중요성 강조
○ 백신, 치료제 및 진단에 대한 공평한 글로벌 접근을 촉진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
- COVAX facility를 포함한 모든 ACT-A* 및 G7 외교·개발장관회의에서 공동성명한 COVID-19 Tool에 대한 공평한 접근을 위한 헌장을 지지
* Access to COVID-19 Tools Accelerator : 코로나19 백신, 치료제, 진단의 개발, 생산 및 공평한 분배를 촉진하는 국제 이니셔티브
| COVID-19 Tools의 공평한 접근을 위한 헌장(Charter for Equitable Access to COVID-19 Tools) 주요 내용 |
|
|
| |
1. 공공 자금 지원을 받는 연구 활용 추구 2. 데이터 및 지식 공유 장려 3. 공정하고 투명한 가격의 기술 이전 장려 4. 공정한 접근 위한 공동 자금 조달 5. 코로나19 제품 전달을 기반으로 건강 시스템 강화를 촉진 6. 코로나19 진단, 치료 및 백신의 공평한 배분 및 접근성 강화 |
▣ 주요 4대 전략(strategic actions)
○ (글로벌 건강안보) 건강 위험에 대한 효과적인 예측, 예방, 감지 및 대비할 수 있는 더욱 유연하고 일관되며 강화된 글로벌 건강안보의 필요성
- 국제보건규정(IHR,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이행과 보건시스템 강화를 통한 저소득국가(LMIC, Low and Middle Income Country) 지원
- 감염성 병원체 유전체분석 분석 등 과학적 역량 강화를 통한 글로벌 병원체 감시 및 정보 교환
○ (항생제 내성) 항생제 내성의 위험을 완화, 최소화 및 억제하기 위한 과감한 조치
- 항생제 연구개발의 지속가능한 혁신을 보장하고자 공유원칙 적용을 장려
-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여 공동행동 경로를 모색할 예정
※ 항생제 내성 극복을 위한 이니셔티브 : ▲Global Antibiotic Research and Development Partnership(GARDP), ▲Biomedical Advanced Research and Development Authority (BARDA), ▲Combating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Accelerator(CARB-X),▲Replenishing and Enabling the Pipeline for Anti-Infective Resistance(REPAIR), ▲SECURE
○ (임상시험) 백신 및 치료제의 신속한 임상시험을 위한 국제 협력과 조정 강화
- ‘G7 치료제 및 백신 임상시험 헌장’은 임상시험을 신속화하기 위한 공유원칙을 설정하고, 그 결과가 현재 그리고 미래 팬더믹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함
- WHO 및 GloPID-R* 등과 같은 관련기관과의 협력기반의 소통과 조정을 촉진
* GloPID-R(Global Research Collaboration for Infectious Diseases Preparedness)은 WHO와 함께 ‘R&D Blueprint’를 통해 감염병 R&D 대비·대응을 위한 기술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으며, UKCDR(UK Collaborative on Development Research)과 함께 글로벌 코로나19 관련 연구자금의 매핑과 분석을 ‘COVID Tracker’를 통해 제공 중
| G7 치료제 및 백신 임상시험 헌장(G7 Therapeutics and Vaccines Clinical Trials Charter) 주요 내용 |
|
|
| |
◈ 중복 방지 및 유효한 증거의 효율적 생산을 위한 연구 아젠다 및 우선순위 공유 ◈ 다국가 임상시험에 실용적 정보의 적시 제공 및 규제기관과의 협력 ◈ 임상시험 결과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위한 데이터 공유 촉진 ◈ 새로운 감염증이나 변이바이러스 발생시, 임상시험 방법 및 치료제 공유 |
○ (디지털 헬스) 데이터 거버넌스, 시스템 보완, 개인정보 보호, 규제 및 데이터 보호 표준 마련을 통해 디지털 헬스 혜택의 극대화
- WHO 지침에 따라 개인정보보호 및 의료접근의 형평성을 위한 포괄적인 디지털 의료정책 개발 지원 확대
- 국가간 상호운용성을 높이기 위해 환자의 건강 정보에 대해 표준화된 최소 건강 데이터셋을 채택하고자 GDHP(Global Digital Health Partnership)과 협력
- 의료 AI 알고리즘에 대한 임상적 검증방법에 대한 프레임워크 개발의 중요성 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