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기아 종식과 지속가능한 식품 시스템에 기여하는 블루 푸드(Blue Food)의 잠재력

  • 등록일2021-09-28
  • 조회수4367
  • 분류그린바이오 > 해양수산기술,  그린바이오 > 식품기술

  

BioINwatch(BioIN+Issue+Watch): 21-66

기아 종식과 지속가능한 식품 시스템에 기여하는 블루 푸드(Blue Food)의 잠재력


◇ 최근 Nature에서는 ‘블루 푸드(Blue Food)’라고도 불리는 수산 식품이 기아를 종식시키고 지속가능한 글로벌 식품 시스템 구축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해 집중 조명

    ▸주요 출처 : Nature, Harness the world’s aquatic ‘blue’ food systems to help end hunger, 2021.9.15


▣ 최근 Nature에서는 기아 종식을 지원하기 위한 수산 식품 공급과 관련된 글로벌 ‘Blue food’ 시스템 활용을 강조


 ○ 이번 주 9월 23일 UN 푸드시스템 정상회의(United Nations Food Systems Summit)가 개최될 예정

 

< UN의 17개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SDGs) >

기아 종식과 지속가능한 식품 시스템에 기여하는 블루 푸드(Blue Food)의 잠재력.png


 

 출처 : UN 홈페이지


   - UN의 17개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중 하나인 2030년까지 기아를 종식시키는 목표를 위해 논의가 이루어질 전망

 ○ WFP(World Food Plan) 에 따르면 거의 7억명 (세계 인구의 약 9%)이 굶주리고 있으며, 

   - 이 중 2.5억명이 기아 위기에 직면

   - 이러한 수치는 코로나19로 인해 2030년까지 전 세계 굶주리는 인구가 8.4억명 으로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정상회의 대표단의 강력한 조치가 필요

▣ Nature, ‘블루 푸드(Blue Food)’가 기아를 종식시키고 지속가능한 글로벌 식품 시스템 구축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해 집중 조명

 ○ 이 연구는 100명 이상의 연구원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Blue Food Assessment의 일부로, 수산 식품이 농업에서 나오는 식품을 넘어 세계 식량 안보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평가

   - 블루 푸드에는 어패류를 비롯하여 강, 바다에서 채취한 다양한 동식물, 조류도 포함되어 32억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단백질과 풍부한 영양소를 제공

    ※ 하버드대학의 공공영양학과 Christopher Golden 교수 연구팀은 3,753가지 유형의 수산 식품(어류, 갑각류 등 포함)의 영양 프로필을 수집하여 분석. 일부 수산 식품은 7가지 영양분(오메가 3 긴사슬 불포화 지방산, 비타민A와 B12, 칼슘, 요오드, 철 및 아연).이 쇠고기, 양고기, 닭고기나 돼지고기보다 더 풍부한 것으로 분석

   - 영양 데이터와 식품 시스템 모델을 결합하여 2030년까지 수산 식품 생산의 급격한 증가가 1.7억 명의 영양 부족을 예방할 수 있고, 성별의 차이가 나타나는 국가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혜택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보고

 

< 수산 식품과 닭고기의 100g 당 오메가-3 지방산 하루 권장량 제공율 >

 

1.png

 

출처 : Nature, Blue Food, 2021.9.15.   

          (https://www.nature.com/immersive/d42859-021-00055-6/index.html#section-GI1tX73Kw7)

 ○ 전 세계적으로 식량 생산은 온실가스 배출량의 4분의 1을 차지하나, 일부 수산 식품은 자연에서 채집하거나 잡은 식품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낮음

   - 양식으로 생산된 조개, 굴 등 패류와 새우는 자연산에 비해 온실가스의 평균 배출량이 낮으며, 질소, 인의 배출량은 가장 효율적인 육상 가축인 닭고기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 

   - 영양분이 풍부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환경적 스트레스 요인을 생성하는 소규모 원양 어패류 양식에 대한 투자는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이로울 것으로 전망

    ※ 아메리칸대학의 Jessica Gephart 교수 연구팀은 전 세계 생산량의 4분의 3을 차지하는 23종의 수산 식품의 온실가스 배출량 등을 분석

 

...................(계속)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