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네이처 인덱스 선정, 2021 과학도시
- 등록일2021-11-04
- 조회수3540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1-11-04
-
키워드
#네이처#인덱스#nature#index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21-75
네이처 인덱스 선정, 2021 과학도시
◇ 네이처 인덱스는 세계 주요 도시들의 과학기술 경쟁력을 살펴볼 수 있는 ‘2021년 과학도시(Science cities)’를 발간. 베이징이 세계 1위의 과학도시로 선정되었으며, 미국, 중국, 독일, 영국의 주요 도시들이 포함. 또한 UN의 17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주요 도시들의 연구 현황을 조사하였는데 여기에서도 베이징이 1위를 차지
▸주요 출처: Nature Index(www.natureindex.com), Nature Index 2021 Science cities, 2021.9.24.; Nature Index, Tracking 20 leading citie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research, 2021.9.24
▣ 세계 주요 도시들의 과학기술 경쟁력을 비교할 수 있는 네이처 인덱스(Nature Index)의 ‘과학도시 2021’에서 중국 베이징이 1위를 차지
○ 네이처 인덱스는 2020년 논문 점유율(Share)을 기준으로 세계 200대 도시를 선정하고 순위를 발표
- 중국의 베이징이 1위를 차지, 미국의 뉴욕, 보스턴, 샌프란시스코가 2∼4위를, 중국 상하이가 5위를 차지
< 세계 200대 과학도시 Top20 >
순위 | 도시명 | 소속국가 | Share 2020 | Count 2020 |
1 | Beijing | 중국 | 2,895.37 | 6,452 |
2 | New York metropolitan area | 미국 | 2,141.10 | 5,079 |
3 | Boston metropolitan area | 미국 | 1,861.13 | 4,280 |
4 | San Francisco Bay Area | 미국 | 1,742.71 | 4,077 |
5 | Shanghai | 중국 | 1,591.95 | 3,468 |
6 | Baltimore - Washington | 미국 | 1,394.25 | 3,758 |
7 | Tokyo metropolitan area | 일본 | 1,278.85 | 2,825 |
8 | Nanjing | 중국 | 1,001.69 | 2,125 |
9 | Paris metropolitan area | 프랑스 | 983.31 | 2,792 |
10 | Los Angeles metropolitan area | 미국 | 889.72 | 2,369 |
11 | London metropolitan area | 영국 | 819.06 | 2,426 |
12 | Chicago metropolitan area | 미국 | 812.57 | 2,024 |
13 | Seoul metropolitan area | 한국 | 795.55 | 1,712 |
14 | Guangzhou | 중국 | 738.21 | 1,801 |
15 | Wuhan | 중국 | 717.06 | 1,593 |
16 | Singapore*(도시국가) | 싱가포르 | 635.18 | 1,295 |
17 | Zürich | 스위스 | 598.88 | 1,519 |
18 | Cambridge | 영국 | 595.34 | 1,669 |
19 | San Diego metropolitan area | 미국 | 579.86 | 1,438 |
20 | Hefei | 중국 | 567.15 | 1,347 |
출처 : Nature Index 2021 Science Cities, Leading 200 science cities
○ 선정된 세계 200대 도시 중 미국의 56개 도시가 포함되었으며, 중국 27개, 독일 22개, 영국 14개 도시 순으로 많이 선정
- 한국은 서울(13위), 대전(40위), 울산(124위), 포항(156위)의 총 4개 도시가 포함
< 세계 200대 과학도시 – 국가별 순위 및 선정 도시 >
순위 | 국가 | 도시수 | 도시명 |
1 | 미국 | 56 | NeYork, Boston, San Francisco, Baltimore – Washinwgton, Los Angeles, Chicago, San Diego, Philadelphia, Houston 등 |
2 | 중국 | 27 | Beijing, Shanghai, Nanjing, Guangzhou, Wuhan, Hefei, Hangzhou, Tianjin, Hong Kong, Shenzhen, Xi'an, Chengdu 등 |
3 | 독일 | 22 | Berlin, Munich, Heidelberg, Dresden, Göttingen, Hamburg, Münster, Mainz, Würzburg, Karlsruhe, Frankfurt am Main 등 |
4 | 영국 | 14 | London, Cambridge, Oxford, Edinburgh, Bristol, Manchester, Glasgow, Leeds, Southampton, Durham 등 |
5 | 일본 | 8 | Toky, Kyoto, Tsukuba, Osaka, Nagoya, Sendai, Fukuoka, Sapporo |
6 | 프랑스 | 7 | Paris, Grenoble, Lyon, Toulouse, Strasbourg, Montpellier, Marseille |
7 | 네덜란드 | 7 | Amsterdam, Utrecht, Groningen, Delft, Leiden, Nijmegen, Eindhoven |
8 | 캐나다 | 6 | Toronto, Montreal, Vancouver, Waterloo, Edmonton, Ottawa |
9 | 호주 | 5 | Melbourne, Sydney, Brisbane, Canberra, Perth |
10 | 스위스 | 5 | Zürich, Lausanne, Genève, Basel, Bern |
11 | 인도 | 4 | Bengaluru, Kolkata, Mumbai, Delhi |
12 | 이스라엘 | 4 | Reẖovot, Haifa, Jerusalem, Tel Aviv |
13 | 이탈리아 | 4 | Milan, Rome, Trieste, Naples |
14 | 한국 | 4 | 서울(13위), 대전(40위), 울산(124위), 포항(156위) |
15 | 스웨덴 | 4 | Stockholm, Uppsala, Göteborg, Lund |
16 | 기타 국가 | 23 | 벨기에, 스페인, 덴마크, 러시아, 타이완, 브라질, 체코 등 |
출처 : Nature Index 2021 Science Cities, Leading 200 science cities
○ 미국과 중국의 주요 도시가 모든 연구분야(Chemistry, Earth & environment sciences, Life sciences, Physical sciences)에서 선두를 차지
- 세부적으로 생명과학 분야는 미국이, 화학 분야는 중국의 도시들이 우위
※ 생명과학 분야 주요 도시 1위는 뉴욕이며, 2위 보스턴, 3위 샌프란시스코, 4위 볼티어모(서울은 31위를 차지). 화학 분야 주요 도시 1위는 베이징, 2위 상하이, 3위 도쿄, 4위 난징(서울은 7위를 차지)
▣ UN의 17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도시별 연구현황을 조사한 지속가능발전 기여 순위에서도 베이징이 1위를 차지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관련된 주요 과학 도시에서 산출된 논문 분석을 통해 도시별 연구 강점과 우선순위를 조사
- 2015∼2020년 17개 지속가능발전목표와 관련된 논문 산출량을 측정하여 순위를 선정
* 2015년 제70차 UN총회에서 2030년까지 달성하기로 결의한 의제인 지속가능 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는 지속가능발전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인류 공동의 17개 목표로, '단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는 것(no one will be left behind)'이라는 구호와 함께 인간, 지구, 번영, 평화, 파트너십이라는 5개 영역에서 인류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17개 목표와 169개 세부목표로 제시
- 중국 베이징 1위, 미국의 샌프란시스코, 뉴욕, 볼티모어-워싱턴 순
< SDG 연구분야의 선도적인 200대 과학도시, Top20 >
순위 | 도시명 | 소속국가 | SDG Share 2015~20 | SDG Count 2015~20 | SDG(%) |
1 | Beijing | 중국 | 1753.49 | 3622 | 11.9% |
2 | San Francisco Bay Area | 미국 | 875.16 | 2077 | 8.5% |
3 | New York metropolitan area | 미국 | 862.76 | 2284 | 7.0% |
4 | Baltimore - Washington | 미국 | 745.4 | 2129 | 8.9% |
5 | Boston metropolitan area | 미국 | 720.97 | 1849 | 6.5% |
6 | Shanghai | 중국 | 579.22 | 1271 | 7.9% |
7 | Nanjing | 중국 | 499.42 | 1061 | 10.5% |
8 | Singapore*(도시국가) | 싱가포르 | 427.73 | 809 | 11.9% |
9 | Los Angeles metropolitan area | 미국 | 414.82 | 1092 | 7.8% |
10 | Seoul metropolitan area | 한국 | 395.26 | 784 | 8.7% |
11 | Wuhan | 중국 | 325.73 | 681 | 9.8% |
12 | Chicago metropolitan area | 미국 | 316.02 | 782 | 6.7% |
13 | Paris metropolitan area | 프랑스 | 300.29 | 964 | 5.1% |
14 | San Diego metropolitan area | 미국 | 295.05 | 782 | 8.0% |
15 | Guangzhou | 중국 | 286.37 | 677 | 9.8% |
16 | Tokyo metropolitan area | 일본 | 278.98 | 698 | 3.7% |
17 | Tianjin | 중국 | 273.49 | 571 | 12.5% |
18 | London metropolitan area | 영국 | 268.96 | 940 | 6.0% |
19 | Boulder | 미국 | 266.42 | 752 | 16.3% |
20 | Zürich | 스위스 | 258.72 | 650 | 7.2% |
출처 : Nature Index 2021 Science Cities, Leading 200 science cities in SDG research
○ 과학 관련 주요 SDG 목표(SDG3, SDG7, SDG13)에 대한 20개 과학도시의 연구 기여도를 분석
SDG3 : Good Health and Well-Being(모든 연령층을 위한 건강한 삶 보장과 복지 증진) SDG7 : Affordable and Clean Energy(신뢰/지속가능한 에너지, 깨끗한 에너지 보장) SDG13 : Climate Action(기후변화와 그 영향에 맞서기 위한 긴급 대응) |
- 대부분 주요 과학도시들은 청정에너지 연구에 매우 적극적이며 베이징의 SDG7 Share는 1,241.53으로 선두. 상하이는 473.35로 2위를 차지
※ 베이징은 중국의 대기 질을 개선하기 위해 2012년 비영리단체인 Bluetech Clean Air Alliance를 출범
- 볼티모어-워싱턴의 SDG3 Share는 264.45로, SDG3 관련 연구가 가장 활발한 지역
※ 볼티모어에는 Johns Hopkins 대학이 위치.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에 따르면 Johns Hopkins 대학은 2019년 R&D에 29억 달러를 지출했으며, 이는 41년 연속 미국의 다른 어떤 대학교보다 많은 금액
-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베이징과 뉴욕이 가장 앞선 연구를 수행. 베이징의 SDG13 Share는 339.93이며, 뉴욕은 325.00
- 콜로라도주의 볼더(Boulder)는 주요 20개 과학도시 중 17개 SDGs 관련 총 연구산출물 비중이 16.3%로 가장 높고,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SDG13에 대한 연구산출물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남
- 서울의 경우 SDG 관련 연구에서 10위를 차지. 세부적으로 SDG7에서 강점을 보이며, SDG13 49.48, SDG3 19.61 순
< 서울시의 주요 SDG 관련 연구현황 >
출처 : Nature Index, Tracking 20 leading citie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research, 2021.9.24.
< 주요 20개 과학도시의 3개 SDG별 연구 현황 >
출처 : Nature Index, Tracking 20 leading citie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research, 2021.9.24.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