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암 등 질병 발생에 대한 바이러스의 역할
- 등록일2022-01-27
- 조회수4170
- 분류생명 > 생명과학,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발간일
2022-01-25
-
키워드
#다발성 경화증#바이러스#multiple sclerosis#virus
- 첨부파일
BioINwatch(BioIN+Issue+Watch): 22-7
암 등 질병 발생에 대한 바이러스의 역할
◇ 최근 다발성 경화증(MS)이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VB) 감염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 향후 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의 발생 기전에 있어 바이러스의 역할이 과학적으로 규명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Science, Epstein-Barr virus and multiple sclerosis, 2022.1.13.; 메디팜스투데이, EBV, MS의 선두 원인 가능성 발견, 2022.1.14.; American Cancer Society
▣ 유전체 분석 등 바이오 혁신기술의 진보와 바이러스에 대한 지식이 늘어나면서 감염질환 외에 암, 면역질환 등 질병과 바이러스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
○ 최근 사이언스에는 다발성 경화증(MS, multiple sclerosis)*이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VB, Epstein-Barr virus)** 감염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
* 전 세계 280만 명이 영향을 받고 있고 확실한 치료법이 없는 진행성 질환으로, 뇌, 척수, 시신경으로 구성된 중추신경계에 발생하는 만성질환이면서 환자의 면역체계가 건강한 세포와 조직을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
** 헤르페스 바이러스 속에 속하는 DNA 바이러스로, 사람에서 흔히 발견되는 바이러스 중 하나. 감염성 단핵구증(발열, 편도선염, 림프절 비대)의 가장 큰 원인이며, 주로 침을 통해 전염되어 ‘키스병’으로 불리기도 함
- 하버드대 Alberto Ascherio 연구팀은 EBV와 MS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미군에서 복무 중인 1,000만 명 이상의 젊은 군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955명이 MS로 진단
- 연구팀은 2년마다 채취한 혈청 샘플을 분석하여 EBV 감염과 MS 발병의 관계를 파악
※ 이 코호트에서 MS 발병은 EBV에 감염된 후 32배 증가한 반면, 다른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에는 변화가 없었고, MS의 대표적인 신경퇴행 바이오마커인 신경미세섬유 경쇄의 혈청 수치는 EBV 감염 이후에만 증가하는 것을 발견
○ 아직 EBV에 의한 MS 유발 기전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지만, 위와 같은 결과는 MS의 주요 원인이 EBV일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
- 연구팀은 “현재 EBV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치료할 방법이 없지만, EBV 백신이나 EBV 항바이러스제로 바이러스를 공략하면 궁극적으로 MS를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고 연구의 의미를 제시
▣ 20세기 초부터 특정 감염이 동물의 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규명되었으며, 최근에는 특정 바이러스, 박테리아 및 기생충에 의한 감염이 인간의 여러 유형의 암에 대한 위험 요소로 인식
○ 전 세계적으로 감염은 암의 약 15~20%와 관련이 있고, 이 비율은 개발도상국에서 훨씬 높지만 선진국에서는 비교적 낮음
- 특정 감염이 개발도상국에서 더 흔한 반면에, 선진국에서는 비만과 같은 일부 다른 암 위험 요소가 높은 것으로 조사
○ 감염은 다양한 방식으로 암 위험을 높일 수 있는데, 일부 바이러스는 성장을 제어하는 세포 내부의 유전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바이러스는 자신의 유전자를 세포에 삽입하여 세포가 통제 불능 상태로 성장
- 일부 감염은 신체 일부에 장기적인 염증을 유발하여 이는 세포와 주변 면역세포에 변화를 일으켜 결국 암으로 이어지거나, 일부 유형의 감염은 암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면역체계를 억제
○ 감염이 특정 유형의 암에 걸릴 위험을 높일 수 있지만 감염된 대부분의 사람들은 암이 발생하지 않는데 암 발병 위험은 다른 요인의 영향도 받기 때문
- 예를 들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 박테리아에 감염되면 위암 위험이 증가할 수 있지만 먹는 음식, 흡연 여부 및 기타 요인도 위암 위험에 영향을 미침
- 또한 감염은 사람 간 전염될 수 있지만, 암 자체는 전염될 수 없음
○ 암의 원인으로서 바이러스의 역할*에 대한 지식이 늘어남에 따라 특정 암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백신이 개발
*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인유두종바이러스(HPV, human papilloma virus), 만성 간염에서 간암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원인인 B형 및 C형 간염바이러스(HBV, Hepatitis B virus 및 HCV, hepatitis C virus), 백혈병의 원인 중 하나인 human T-lymphotropic virus-1(HTLV) 등이 있음
- HPV 백신 접종은 HPV 암의 90% 이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 백신은 여성과 남성의 사용이 승인
○ 향후 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의 발생 기전에 있어 바이러스의 역할이 과학적으로 규명된다면, 더 많은 질병을 사전에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기여하여 전 세계적인 의료적 부담을 완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