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사이언스, 2022년 주목해야 할 과학기술 전망
- 등록일2022-02-03
- 조회수11619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2-01-27
-
키워드
#Science#2022년#과학기술#전망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22-8
사이언스, 2022년 주목해야 할 과학기술 전망
◇ 사이언스(Science)는 2022년 헤드라인을 장식할 주요한 과학기술 주제로 코로나19 모니터링 및 연구, 미국의 연구보안 재정의, 이온 빔, 중국의 엑사스케일 컴퓨터 출시, 달 탐사, 유엔 환경총회, 나선형 블랙홀, 생물다양성 보존, 중국의 GM 작물 허용 등에 관한 내용을 소개
▸주요 출처 : Science, More than a virus: Science’s areas to watch in 2022, 2021.12.23.
▣ 사이언스, 코로나19의 엄중한 상황과 더불어 2022년 한 해 과학기술 및 정책 관련하여 헤드라인을 장식할 기사를 전망
○ 3년째 전 세계를 위협하고 있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연구자들의 노력이지속되고 또한 우주, 환경, 공공보건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질것으로 전망
-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에 대한 과학적 모니터링과 더불어 2022년에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변이에 대해서도 예의주시
- 또한 장기적인 코로나19 영향(Long COVID-19)연구와 저소득국가에 대한 원활한 백신 공급이 주요한 관심사임을 언급
○ 주요 과학기사로는 미국 연구보안 재정의, 희귀 동위원소 생성 이온 빔, 엑사스케일 컴퓨터 출시등이 있으며,
- 미국 ARPA-H 등 혁신기구 설치, 유엔 환경총회, 생물다양성 보존, 중국 GM 작물 허용등의 기사가 2022년 주목해야 할 과학기술 헤드라인이 될 것으로 전망
< 사이언스 선정, 2022년 주목해야 할 과학기술 헤드라인>
과학기사 | 주요 내용 |
미국, 연구보안 재정의 (U.S. redefines research security) * POLICY | ◦미국 의회와 백악관은 학술 연구자금 조달에 있어 개방성과 국가 안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고안된 법안과 규정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 ◦ 이는 연방 연구비가 중국의 기술 발전을 촉진할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 의회는 연방 자금을 지원받는 과학자들이 외국 인재 모집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하고 경제계에서 제공하는 모든 유형의 연구지원에 대한 감독을 강화 |
희귀 핵을 생성하는 이온빔 (Ion beam to conjure rare nuclei) * NUCLEAR PHYSICS | ◦ 미시간 주립대학에서 7억 3,000만 달러 규모의 희소 동위 원소 빔 시설(FRIB*)에서 일반적으로 항성 폭발에서만 만들어지는 희귀 원자핵을 생성 * Facility for Rare Isotope Beams ◦ 본 연구의 목표는 이제까지 관측된 적이 없는 1,000개 이상의 동위원소를 포함하여 이론적으로 가능한 모든 동위원소의 80%를 생성하는 것 ◦ 물리학자들은 FRIB를 통해 핵 구조에 대한 이해를 강화하고 항성 폭발이 어떻게 무거운 원소를 생성하는지 해독하며 자연의 새로운 힘을 찾기를 희망 |
중국, 엑사스케일 컴퓨터 출시 (China debuts exascale computers) * INFORMATION TECHNOLOGY | ◦ 2022년에 중국은 초당 1조(1018) 이상 연산이 가능한 세계에서가장 빠르고 강력한 두 대의 컴퓨터를 선보일 것으로 예상 ◦ 이러한 엑사스케일 슈퍼컴퓨터는 인공지능과 방대한 데이터 세트를 결합할 수 있게 할 것으로 예상 ◦ 아직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았으며 성능에 대한 세부 정보는세계 최고의 머신 순위를 매기는 슈퍼컴퓨터 TOP500 목록에도 아직 미등재 ◦ 전문가에 따르면 새로운 슈퍼컴퓨터는 Sunway Computer Co.의 ‘OceanLight’와 National Supercomputing Center의 ‘Tianhe-3’로 추정 |
새로운 전기를 맞은 달 탐사 (Bevy of landers heads for Moon) * SPACE SCIENCE | ◦ 인간이 마지막으로 달에 발을 디딘 지 50년이 지난 지금, 달 탐사에 대한 임무가 다시 시작 ◦ 성공적인 중국 탐사선 착륙에 이어, 소규모 신생 기업이 개발하였고 NASA도 자금을 지원한 3개의 로봇 착륙선이 2022년에 발사될 예정이며 러시아, 일본 및 인도 탐사선도 발사 예정 ◦ 금번 NASA의 프로그램에는 달의 물 흔적 범위와 이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와 먼지가 많은 표면에 탑재물를 저렴하게 전달하여 인간 탐사의 길을 닦는 것을 목표 ◦ 또한 달과 그 너머까지 우주비행사와 무거운 탑재물을 실을 수 있는 두 개의 매머드 로켓의 첫 번째 궤도 발사가 이루어질 전망 |
유엔, 오염 해결 (U.N. panel to tackle pollution?) * ENVIRONMENT | ◦ 유엔 환경총회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을 모델로 하여 화학오염 및 폐기물 위험을 연구하기 위한 과학자문 기구를 창설하는 제안에 대해 2022년 2월에 투표할 예정 - 1,800명 이상의 과학자들이 총회에 제출할 지원 청원서에 서명 ◦ UN은 이미 수은 및 잔류성 유기 화학물질과 같은 특정 유형의 오염에 관한 여러 협약을 가지고 있으나 새로운 패널의 지지자들은 정책 입안자들이 새로운 문제를 발견 하고 연구 필요성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광범위한 평가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 |
나선형 블랙홀에 주목 (Listening for spiraling black holes) * ASTROPHYSICS | ◦ 중력파 탐지기는 별 크기 블랙홀의 충돌을 인식했지만 과학자들은 더 큰 목표를 찾기 위한 다른 종류의 검색을 시도 ◦ 2022년에 나선형으로 나아가면서 질량이 태양의 수십억 배인 초대질량 블랙홀 쌍에서 중력파의 저주파 울림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충분한 데이터를 갖기를 희망 ◦ 나선 쌍을 감지하기 위해 관찰자는 수십 개의 펄서(pulsar)에 대해 대형 전파망원경을 조종 ◦ 붕괴된 별은 펄서가 회전할 때 시계와 같은 규칙성을 가진 펄스로 나타나는 전파빔을 방출하는 것을 확인 |
미국, 연구혁신 기구 출범 예정 (U.S. research innovators launch) * FUNDING | ◦ 두 개의 가장 큰 미국 연구기관이 실질적인 발전을 가속화하기 위해 의회의 명령을 이행할 준비 ◦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은 2022년에 최대 30억 달러를 확보하여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획기적인" 접근 방식에 자금을 지원하는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for Health(ARPA-H)를 설립 ◦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은 진행 중인 프로그램에 의해 자금이 지원되는 학술 연구의 상업적 적용을 가속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 새로운 기술 이사회에 대해 그 금액의 최대 절반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더욱 강화되는 생물다양성협약 (Biodiversity pact to get stronger) * CONSERVATION | ◦ 2022년 중국에서 열리는 15차 생물다양성협약(CBD) 총회를 위해 개발한 계획에 따라 관련 196개 국가는 확대를 모색할 것 ◦ 이번 총회의 목표는 육지와 바다의 30%를 보존하고 침입종의 확산 감소 및 살충제 사용을 2/3로 줄이고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여 세계 오염을 절반으로 줄이자는 것 ◦ 또한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의 보호는 참여 국가가 생물다양성협약에 대한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채택하면 2050년까지 유효할 수 있음 ◦ 자연 생태계 보호, 지속 가능성의 강조 및 유전자원을 사용하여 얻은 이익을 공평하게 공유하고, 이러한 노력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2030년까지 최소 7억 달러를 모금할 예정 |
중국, GM작물 허용 움직임 (China moves to allow GM crops) * AGRICULTURE | ◦ 중국은 2021년 11월에 발표된 현장 시험 및 안전 요구 사항에 대한 개정 제안에 따라 유전자변형(GM) 옥수수와 대두의 첫 상업적 재배를 승인할 가능성이 높음 ◦ 현재 파파야는 중국 내에서 생산이 승인된 유일한 식용 유전자변형 식물이며, 유전자변형 옥수수 종자는 2022년 말까지 시장에 출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또한 유전자변형 면화가 널리 재배되고 있으며 유전자변형 포플러도 많이 보급 ◦ 중국은 가공식품과 동물사료에 사용하기 위해 유전자변형 옥수수와 대두를 대량으로 수입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정부 관리들은 국내에서 유전자변형 품종 재배에 대한 제한을 완화해야 한다고 촉구 |
궤도를 도는 메탄 사냥꾼 (Methane hunter to orbit) * GLOBAL WARMING | ◦ 2021년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기후정상회담에서 세계 지도자들은 강력한 온실가스인 메탄의 배출량을 2030년까지 30% 줄이기로 약속 ◦ 이러한 온실가스 감축이 실제로 발생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비영리 기후 단체인 Environmental Defense Fund가 개발한 위성인 ‘MethaneSAT’가 10월 발사를 목표 ◦ 이후 비영리 단체인 Carbon Mapper 프로젝트에서 개발한 두 개의 인공위성이 합류할 예정 ◦메탄뿐만 아니라 지구 온난화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세계 최악의 배출원의 감시를 목표 |
말라리아 백신, 아프리카에 도착 (Malaria vaccine arrives in Africa) * PUBLIC HEALTH | ◦ 2022년에는 처음으로 아프리카 전역의 국가들이 백신을 사용하여 말라리아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할 수 있게 될 예정 - 매년 5세 미만 어린이 중 26만 명 이상이 사망 ◦ 말라리아 백신은 30년 동안 개발되어 마침내 2021년 10월 세계보건기구(WHO)의 승인을 받았으며 12월에 백신 연합인 GAVI는 2025년까지 백신을 구입하고 출시를 지원하는 데 1억 5,500만 달러 이상을 지원할 예정 ◦ 백신은 중증 말라리아에 대한 입원율을 약 30%까지 낮출 것으로 예상되며 말라리아에 취약한 많은 어린이에게 영향을 미침 ◦ 또 다른 연구에서는 장마철에 항말라리아 약물과 함께 백신을 접종하면 예방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 ◦ 연구자와 공중보건 관계자들은 백신이 사용되는 곳과 백신이 말라리아 감염율 및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주의 깊게 추적할 예정 |
출처 : Science, More than a virus: Science’s areas to watch in 2022, 2021.12.23.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