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희귀유전질환 맞춤형 유전자치료 컨소시엄 출범

  • 등록일2022-02-15
  • 조회수3689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 발간일
    2022-02-10
  • 키워드
    #희귀유전질환#유전자 치료#ultra-rare diseases#Gene Therapy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22-10(2.10)●희귀유전질환 맞춤형 유전자치료 컨소시엄... (다운로드 25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22-10

희귀유전질환 맞춤형 유전자치료 컨소시엄 출범


◇ 최근 미국 NIH와 신약개발 공공-민간 파트너십인 AMP(Accelerating Medicines Partnership)는 희귀유전질환 치료를 위한 기초연구에서 치료제 생산까지 유전자치료 플랫폼을 공동으로 구축하는 컨소시엄(Bespoke Gene Therapy Consortium, BGTC)을 출범

▸주요 출처 : Nature, Bespoke Gene Therapy Consortium’ sets out to enable gene therapies for ultra-rare diseases, 2021.11.12.; NIH, Bespoke Gene Therapy Consortium

 

▣ BGTC(Bespoke Gene Therapy Consortium)은 희귀유전질환자 수백만 명을 치료할 수 있는 맞춤형 유전자치료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구성

 ○ 2021년 10월 출범한 BGTC는 신약개발 공공-민간 파트터쉽인 AMP (Accelerating Medicines Partnership)*에서 주도한 컨소시엄으로, 희귀질환**에 중점을 둔 첫 번째 AMP 프로그램

    * 미국 NIH, FDA 등 공공 및 민간기관 간 파트너쉽으로, 혁신신약 개발 가속화를 위해 형성

   ** 개별 국가에서 전체 인구 중 동일질환을 겪는 환자의 수가 일정 수 미만인 질병. 국내는 동일한 질환(유병)자의 수가 2만 명 이하이거나, 하나의 질환이 10만 명당 43명 이하로 발병될 때 희귀질환으로 지정(복지부)

 

< AMP 프로그램 타임라인 >

bioinwatch22-10.png

출처 : NIH(https://www.nih.gov/about), accelerating-medicines-partnership-amp


○ 대부분의 희귀질환은 단일 유전자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유전자치료 요법은 잠재적으로 강력한 치료 접근 방식

    ※ 희귀질환의 약 80% 이상이 선천적, 유전적 질환으로 대부분 평생에 걸쳐 병으로 인한 지속적인 고통을 수반하게 되는 만성질환이라고 할 수 있음

  - 많은 희귀질환의 경우 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제한하는 요소는 과학적 지식이 아니라 운영 및 재정적 장애

    ※ 현재 연구 및 임상시험은 한 번에 하나의 질병만 가능. 또한 기업은 제한된 환자를 단일 유전자치료법을 개발 및 출시하는 데 수년의 연구와 수백만 달러를 투자하는 것이 어려움

 

▣ BGTC는 유전자치료제 개발의 주요 장애물을 극복하는 것을 목표

 ○ BGTC 프로젝트에는 5년간 총 7,600만 달러가 투입될 예정으로, 희귀질환에 대한 유전자치료제 및 치료기술을 개발하여 유전자치료 프로토콜이 확립되는 것을 목표

    ※ 총 프로젝트 연구비 : 76.5$M / 39.5(NIH), 29.9(기업), 7.1(비영리기관)

 ○ 기초연구 : 아데노 관련 바이러스(Adeno-associated virus, AAV) 등 유전자 전달 매개체, 벡터의 기본 생물학에 초점

  - 유전자치료제를 전달하는 생물학적 원리와 단계를 연구하고, 벡터 제조의 효율성을 개선하여 유전자치료제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중요

 ○ 임상연구: 다양한 희귀유전질환에 대해 3∼6건의 임상시험을 계획 

  - 다양한 유형의 AAV를 사용하여 동물모델 연구에서 임상시험으로의 경로를 간소화하는 데 중점

 ○ 제조 및 생산 : 바이러스 벡터 제조에 적용할 표준분석 시험세트를 개발

  - 다양한 제조방법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는 분석은 유전자 및 벡터 제조 및 생산 공정을 개선하고 가속화

 ○ 규제 요건 : 독성 등 전임상시험에 대한 표준화된 접근방식 등을 개발하여 유전자 요법의 FDA 승인을 위한 규제 요건 및 프로세스를 간소화

 ○ 희귀유전질환 환자 단체 참여를 통해 임상시험 대상 질환을 지정할 계획

  - 2022년 말까지 3가지 질병을 선발하고 개발된 유전자치료제의 임상시험 계획 및 각 질환에서 각각 10명의 환자 등록을 목표

    ※ 대상 질환 선발기준 : ① 단일 유전자 손실에 의한 희귀유전질환 ② 임상정보 확보가 가능한 질환, ③ 치료에 참여할 환자가 있는 질환 ④ 치료결과를 짧은 기간 내 확인할 수 있는 질병


▣ 참고 : AMP 파트너쉽 구성 현황

Governmentc

Industry

Non-Profit

Organizations

FDA

 

NIH

 

European Medicines Agency

AbbVie

 

Amgen

 

Biogen Inc.

 

Bristol Myers Squibb

 

Boehringer Ingelheim

 

Celgene Corporation

 

Eisai Inc.

 

Eli Lilly and Company

 

Gates Ventures

 

GlaxoSmithKline plc

 

Janssen Research & Development, LLC

 

Merck Sharp & Dohme Corp.

 

Novo Nordisk

 

Novartis Pharma AG

 

Otsuka Pharmaceutical Development& Commercialization, Inc.

 

Pfizer Inc.

Alliance for Regenerative Medicine (ARM)

 

Alzheimer’s Association®

 

Aligning Science Across Parkinson’s (ASAP) Initiativ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Foundation

 

American Society of Gene & Cell Therapy

 

CureDuchenne

 

Foundation for the NIH

 

JDRF International

 

Lupus Foundation of America

 

Lupus Research Alliance

 

Michael J. Fox Foundation for Parkinson’s Research

 

National Alliance on Mental Illness

Government

Industry

Non-Profit

Organizations

 

REGENXBIO Inc.

 

Sanofi

 

Spark Therapeutics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Taysha Gene Therapies

 

Thermo Fisher Scientific

 

UCB

 

Ultragenyx Pharmaceutical

 

Verily Life Sciences

National Organization forRare Disorders (NORD)

 

National Psoriasis Foundation

One Mind

 

PhRMA

 

Rheumatology Research Foundation

 

Sjögren’s Foundation

 

The Arthritis Foundation, Inc.

 

The National Institute for Innovation in Manufacturing Biopharmaceuticals (NIIMBL)

 

Schizophrenia & PsychosisAction Alliance

 

Wellcome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