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Big team science 구축과 한계

  • 등록일2022-02-17
  • 조회수2351
  • 분류생명 > 생명과학,  종합 > 종합
  • 발간일
    2022-02-15
  • 키워드
    #대규모 연구팀#구축#Big team science#building up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22-11

Big team science 구축과 한계


◇ 최근 네이처에서는 풀뿌리 대규모 연구팀 네트워크 협력(grass-root big team science)이 그동안 얻기 어려운 지식을 확보할 수 있는 연구 방식이나, 협력연구에 대한 보상이나 연구자금 지원이 원활하지 않아 지속가능성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이라는 논평을 발표

▸주요 출처 : Nature, Buiding up big-team science, 2022.1.27  


▣ 과학계의 가장 큰 질문 중 일부는 연구 방식을 재정의하지 않고는 해결하기 힘든 과제들이 존재

 ○ 사례로서 영유아 발달에 대한 대규모 연구를 위해 200개 이상 기관의 약 450명의 연구자로 ‘풀뿌리 대규모 연구팀 네트워크(grass-root big team science)’를 구성

  - 영유아는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학습 기계로 인식되는데 영유아의 학습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이해하면 인공지능, 공공정책, 교육 등에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현재 연구모델과 방식으로는 유아 학습에 대한 완전한 이해가 어려운 상황

  - 영유아 학습 연구를 위해서는 수십 가지의 실험 조건과 수백 명의 영유아 참가자가 필요하나, 대부분의 연구 프로젝트는 소수 연구원이 25명 미만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실험

 ○ 하지만 상호의존·협력적으로 연구하고, 여러 실험실에 작업을 분산시키는 컨소시엄은 개별 연구실이 해결할 수 없는 질문에 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이에 ManyBabies Consortium은 전 세계 여러 지역 문화권의 영유아에 대한 탐구를 위해 69개 연구팀을 구성

  - 16개국 2,329명의 영유아로부터 얻은 데이터는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Google Scholar에 따르면 관련 연구결과는 출판된 지 1년 만에 100번 이상 인용 

 

< 풀뿌리 Big team science 사례 > 

컨소시엄 또는 프로젝트 이름

착수 시기와 인원

프로젝트 질문(예시)

데이터 수집

심리과학 액셀러레이터

(Psychological Science Accelerator)

2017년 블로그 포스트에 의해 시작된 풀뿌리 컨소시엄,

현재 약 1,200명의 연구자가 관련

'인지 재평가'는 코로나19 전염병에 대한 감정적 반응을 향상시킵니까?

450명 이상의 연구원이 수집한 87개국 20,000명 이상의 데이터 수집

많은 아기 컨소시엄

(ManyBabies Consortium)

2015년 블로그 포스트에 의해 시작된 풀뿌리 컨소시엄,

현재 약 450명의 연구자가 관련

영유아는 모국어가 아니더라도 '아기 이야기'를 선호합니까?

전 세계 16개국에서 150명의 연구원이 수집한 2,329명의 유아 데이터 수집

많은 영장류 프로젝트

(ManyPrimates project)

본 프로젝트는 2018년 심포지엄전자메일 및 소셜 미디어를 통해 시작지금 약 150명의 연구자가 관련

밀접하게 관련된 41종 영장류의 계통 발생은 생태나 사회적 요인보다 단기 기억에 더 중요합니까?

81명의 연구자가

421마리의 영장류를 연구데이터 수집

많은 미소 콜라보레이션

(Many Smiles Collaboration)

2018년에 시작협력자들은 소셜 미디어와 이메일을 통해 모집된 팀을 구성

얼굴 표정을 바꾸는 것이 감정에 영향을 미칩니까?

약 50명의 연구원이 19개국 3,878명의 참가자로부터 데이터 수집

영양소 네트워크 (너트넷)

(Nutrient Network (NutNet))

2006년에 이메일과 트위터의 네트워크 가입 요청을 통해 시작

초식 동물과 빛의 이용 가능성이 영양소 첨가로 인한 식물 종의 손실을 해결합니까?

데이터 수집은 2007년에 시작연구진은 광범위한 영양소 네트워크 실험 (130 개 이상의 협력 사이트)의 데이터를 사용

전 세계 40개 현장에서 식물 다양성에 대한 효과를 문서화

재현성 프로젝트암 생물학

(Reproducibility Project : Cancer Biology)

2013년 아놀드 벤처스가 open science&science exchange 센터에서 제공한 기금을 통해 출범

영향력이 큰 암 생물학 논문의 실험 결과를 재현할 수 있습니까?

200명 협력자는 50개의 전임상 실험에서 158개의 효과를 재현하려고 시도

글로벌 초원 네트워크의 방해 및 리소스

(Disturbance and Resources Across Global Grasslands network (DRAGNet))

2018년에 구상된 풀뿌리 컨소시엄전자 메일과 트위터를 통해 구축된 네트워크

경작과 영양분 첨가로 초원이 교란되면 어떻게 반응합니까?

데이터 수집은 2019년에 시작.

약 90명의 연구원이 18개국(https://dragnetglobal.weebly.com)에 있는 70개의 사이트를 감


▣ 풀뿌리 Big team science를 공공의 이익과 발전을 위한 점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있으나 지속가능성에 있어서 어려움에 직면

 ○ (장벽1) 팀 플레이어에 대한 보상 : 빅팀 과학은 연구자들이 자신의 이익보다 공동의 발견을 연구의 우선순위에 두는 점을 높이 평가할 필요

    ※ 테네시 주 멤피스 대학의 역사가인 Michele Grigsby Coffey는 기존 연구시스템을 "자기 몰두 집착에 대해 보상을 받고" "다른 사람들을 희생시키면서 자신을 우선시하는 것이 권장되는" "이기적인 스포츠"로 묘사

   - 여러 명의 저자가 포함된 논문에서 기여도는 낮게 평가되고 있는데, 저자의 배치를 개인보다 팀의 성취를 강조하는 등 학계는 팀 노력에 크게 기여한 연구원에게 보상을 제공할 방안 모색 필요

 ○ (장벽2) 다양성 : 빅팀 과학 방식의 큰 잠재적 이점 중 하나는 참가자, 연구자 및 연구 질문의 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회이나, 과학 인프라 불평등이 대규모 팀 과학을 제한

   - 기부금을 사용하여 대표성이 낮은 지역의 연구원에게 연구비를 지원하는 등 빅팀 과학의 다양성을 확장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할 필요

 ○ (장벽3) 자금 조달 및 지속 가능성 : 기존의 연구지원 시스템은 수백 명의 연구자가 협력해서 연구하거나 세계 각지 수십 개의 연구실을 지원할 수 있도록 연구지원 시스템이 설정되어 있지 않음

   - 빅팀 과학 연구는 작은 연구비로 시작될 수 있지만 이를 지속하고, 확장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비 지원이 필요

    ※ 2020년 초에 Psychological Science Accelerator에 COVID-19 심리학에 대한 66개 글로벌 연구 프로젝트 수요가 있었으나, 재정적 고려사항으로 3개의 프로젝트만 수용하고 나머지 프로젝트는 거절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

    ※ 거절된 프로젝트에는 대중에게 뉴스를 공유하기 전에 정확성을 고려하도록 상기시키는 것이 잘못된 정보를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포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