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인류의 마지막 질병, 노화 극복을 위한 최근 동향
- 등록일2022-03-08
- 조회수5815
- 분류생명 > 생명과학, 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
발간일
2022-03-08
-
키워드
#노화#aging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22-16
인류의 마지막 질병, 노화 극복을 위한 최근 동향
◇ 급속한 고령화로 사회적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최근 네이처는 인간의 수명과 노화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소개하는 컬렉션을 발표. 생물학적 노화를 측정하는 방법의 발전, 코로나19가 노화에 미치는 영향, 노화 방지 및 관련 질병 퇴치를 위한 R&D 동향, 일본과 같은 초고령사회의 대처사례 등을 제시
▸주요 출처 : Nature Outlook, Ageing, 2022.1.19
▣ 촤근 Nature에서는 인간 수명과 노화에 관한 연구동향을 종합하여 노화 과학의 진전 및 R&D 동향, 사회・경제적 이슈를 컬렉션으로 소개
○ 노화를 막고 노화와 관련된 질병을 퇴치하기 위해 자가포식(autophagy)을 활성화하는 연구가 진행
- 생체나이(biological age) 변경과 관련된 후성유전학적 시계 및 인간 수명의 한계에 대한 연구도 추진
○ 전 세계는 고령화 추세로 고령인구를 부양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소요.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일본의 돌봄 위기 대처 사례를 제시
- 장기요양보험(LTCI) 제도 도입, 로봇을 활용하여 가정 및 의료기관에서의 돌봄 문제 해결 시도
▣ 인간 수명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라는 오랜 질문에 대한 대답
○ 인간 수명의 한계를 매핑하려는 최초의 노력은 1825년 영국 수학자이며 보험계리사인 Benjamin Gompertz로,
- 그의 분석에 따르면 20세 후반 이후 사망 위험이 해마다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그 위험이 100%에 도달하는 지점이 있다고 분석
- 의학적 발전으로 시기가 다소 바뀌었으나 Gompertz의 모델은 여전히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사망률 패턴을 정확히 매핑한 것으로 평가
※ 1996년 미국 남가주대학의 Caleb Finch와 Malcolm Pike는 Gompertz의 모델을 사용하여 인간의 최대 수명을 약 120년으로 추정
- 그러나 점차 더 많은 사람이 몇 세대 전에는 예외적으로 생각하던 나이에 도달하면서 Gompertz 모델을 적용하는 데 한계 발생
○ UN에서는 2020년 전 세계적으로 573,000명의 100세 노인이 살고 있다고 추정
- 이는 50년 전의 20배 이상으로 Super centenarians 수백 명이 포함. 이러한 추세는 인간이 어디까지 살 수 있는가에 대한 논쟁을 촉발
- 2016년 유전학자 Jan Vijg 연구팀은 프랑스, 일본, 미국 및 영국에서 보고된 최대 사망 나이를 분석한 결과, 인간의 최대 수명이 125세 이상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을 내림
- 2년 후 인구통계학자 Elisabetta Barbi 연구팀은 105세 이상의 이탈리아인에 관한 연구를 통해 Vijg의 발견에 이의를 제기하는 등 몇몇 연구자들은 특정 연령에서 사망률이 정체되는 고원이 있다고 주장
※ IQVIA의 데이터 과학자 Brandon Milholland는 105세가 지나면 사망 가능성이 멈춘다고 말함(105세에서 114세 사이 사망률 정체 시기)
▣ 후성유전학적 변화, 텔로미어 길이 등 생물학적 노화 측정방법 개발
○ 과학자들은 20년 전만 해도 노화는 수정할 수 없으며 모든 사람에게 같은 비율로 발생한다고 생각했으나, 1980년대 C. elegans 일부 유전적 변형이 훨씬 더 긴 수명으로 연결된다는 연구를 통해 변화하기 시작
- 수명은 노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와 신호전달 경로뿐만 아니라 칼로리 제한 및 약리학적 개입과 같은 행동 변화의 영향도 받음
○ 노화 생물학과 질병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더 깊은 이해는 노화 과정을 늦추기 위한 개입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노화 속도를 측정하는 신뢰할 만한 방법이 필요
- 나이에 따른 후성유전체를 AI로 분석한 결과,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변화하는 것이 보고. 이러한 패턴을 기반으로 미국과 중국에서 사람의 후성유전적 나이를 계산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2013)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watch 노화 시계(aging clock)를 늦추는 당뇨병 치료제 2024-10-10
- BioINwatch 특정 줄기세포에 대한 항체로 노화된 면역체계의 회춘 가능성 제시 2024-05-09
- BioINpro [면역제어 기술]대사·후성유전학 기반 면역노화(immunosenescense)의 이해 2023-11-21
- BioINwatch 생식 노화를 복구하는 천연 폴리아민, 스페르미딘(spermidine) 2023-11-09
- BioINwatch 젊은 혈액(young blood)에서 뇌 노화를 되돌리는 혈소판 인자 4(Platelet factor4) 발굴 2023-09-19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