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장내 바이롬(virome) 차이가 염증성 장질환을 유발
- 등록일2022-05-12
- 조회수4380
- 분류생명 > 생명과학,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발간일
2022-05-12
-
키워드
#장내 바이롬#염증성 장질환#gut virome#inflammatory bowel disease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22-33
장내 바이롬(virome) 차이가 염증성 장질환을 유발
◇ 장내 바이롬(gut virome)의 불균형이 염증성 장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면역 질환에서 관찰. 건강인 유래 바이롬은 항염증 단핵식세포 증식을 유도하는 반면에 염증성 장질환자는 염증성 세포 증식을 유도. 바이러스는 무조건 해롭다는 인식과 달리, 장내 바이러스-숙주 상호작용이 인체 면역 체계의 형성·발달·유지에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제시
▸주요 출처 : Science Immunology Vol 7 Issue 70, Human enteric viruses autonomously shape inflammatory bowel disease phenotype through divergent innate immunomodulation, 2022.4.8.
▣ 염증성 장질환자가 지닌 장내 바이러스가 선천 면역 반응을 과도하게 유도함으로써, 염증성 장질환(궤양성대장염과 크론병)을 유발
○ 다양한 미생물로 구성되어 있는 장내 미생물군(gut microbiota)은 인체 생리활성의 주요 조절자이며, 장내 미생물 불균형(dysbiosis)*은 염증성 장질환을 포함한 면역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짐
* 미생물 불균형(dysbiosis)이란? 인체 미생물군의 조성, 다양성, 기능성이 건강한 또는 일반적인 미생물군의 그것과 달라진 상태를 말함
- 하지만 염증성 장질환을 포함한 대부분의 장내 미생물 연구는 세균 (bacteria)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
○ 바이러스는 장내 미생물군의 주요 구성원으로, 장내 바이롬(virome)*의 불균형(viral dysbiosis)이 염증성 장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면역 질환에서 관찰
* 바이롬(virome)이란? 특정 환경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집단을 말함. 사람의 장내 바이롬(gut virome)은 주로 세균을 감염하는 박테리오파지, 사람을 감염하는 동물바이러스, 음식물로부터 유래한 식물바이러스로 구성되어 있음
- 하지만 장내 바이롬의 불균형이 염증성 장질환의 발생에 미치는 메커니즘은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음
○ 최근 Science Immunology에 실린 이번 연구는 장내 바이러스 그 자체가 선천 면역 반응을 유도하며, 염증성 장질환에서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장내 바이러스가 과도한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것을 규명
- 내포작용을 통해 면역세포와 장 점막세포 안으로 유입된 장내 바이러스는 핵산을 탐지하는 패턴 인식 수용체(DNA sensor cGAS, RNA sensor RLRs)에 인지되어 면역반응을 유발
- 유전적 변이에 의한 장내 바이러스 인지 결핍은 장 점막세포의 기능과 연결성(integrity)을 감소시킴
- 염증성 장질환자의 바이롬은 일반인의 바이롬에 비해 엔테로바이러스와 특정 박테리오파지군이 많이 존재하였으며,
- 염증성 장질환자 유래 바이롬은 염증성 단핵식세포(CX3CR1+ mononuclear phagocytes) 증식을 유도한 반면, 건강인 유래 바이롬은 항염증성 단핵식세포 (CD103+ mononuclear phagocytes)의 증식을 유도
▣ 장내 바이러스-숙주 상호작용에 기반한 새로운 염증성 장질환 개선 및 치료법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바이러스는 무조건 해롭다는 인식과 달리, 장내 바이러스-숙주 상호작용이 인체 면역 체계의 형성·발달·유지에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제시
- 장내 바이러스-숙주 상호작용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장내 바이롬이라는 복합체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도 필요
- 장내 바이롬 실험 모델, 바이러스 순수 분리, 식이/약물 처리 등을 통한 장내 바이롬 제어법 개발을 통해 바이러스 불균형을 예방, 개선, 치료할 수 있는 연구 역시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
< 염증성 장질환 특이적 장내 바이러스에 의한 염증 반응 >
출처 : Science Immunology Vol 7 Issue 70, Human enteric viruses autonomously shape inflammatory bowel disease phenotype through divergent innate immunomodulation, 2022.04.08.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