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중국, 우주생물학 실험플랫폼에서 연구 수행
- 등록일2022-07-01
- 조회수2080
- 분류생명 > 생명과학,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발간일
2022-06-30
-
키워드
#우주생물학#자기방사성#박테리아#중국#마그네토솜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22-46
중국, 우주생물학 실험플랫폼에서 연구 수행
■ 지구 근접 우주 고도에서 우주생물학 실험플랫폼인 CAS-BAP(Chinese Academy of Sciences Balloon-Borne Astrobiology Project)를 성공적으로 가동
○ 2018년 중국과학원은 근거리 우주 연구용 과학 풍선 플랫폼과 관련 분석기기를 개발하기 위해 5년 프로젝트를 시작
- 근거리 우주 과학 실험 시스템(the Scientific Experimental System in Near Space, SENSE) 프로젝트는 중국과학원 지질지구물리학연구소과 항공우주정보혁신연구소 중심으로 중국 본토 인접 우주공간에서 수행
○ CAS-BAP는 근거리 과학 실험 시스템(SENSE)의 지원하에 아래 세 가지 현장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개발
- (1) 생물학적/화학적 샘플을 근접 우주 환경에 노출, (2) 바이오에어로졸 및 먼지의 현장 수집 달성, (3) 주변 환경 매개변수의 현장 측정
※ 자체 개발한 생체 반응 탑재체(Biological Samples Exposure Payload, BIOSEP), 온도제어 생체 반응 탑재체(Temperature-Controlled BIOSEP, TC-BIOSEP), 바이오에어로졸/먼지 수집(Bioaerosols and Dusts Sampling, BANDS) 탑재체 및 자외선 분광계(Ultraviolet Spectrometer, UVS) 활용, 지구 근접 우주 공간의 감지 연구 수행
■ 생명체가 거주할 수 있는 환경과 지상의 생명체 신호를 탐색하는 것은 우주생물학 연구의 과제이며, 심우주 탐사의 중요한 목표
○ 지구의 극한 환경 중 일부는 우주생물학 연구를 위한 이상적인 실험 영역으로 인식
- 해발 20∼100km의 고도에 있는 지구 인접 공간은 화성의 표면 환경과 유사한 고복사, 저압, 저온, 건조 등 극한의 환경 조건을 가진 것으로 파악
< 지구 근거리 우주에서 CAS-BAP의 비행 모습 >
¶ 중국 칭하이성 다차이단 지역 해발 35km 고도에서 수행한 비행실험 모습
(왼쪽) 일반 생체 반응 탑재체인 BIOSEP, (오른쪽) 온도 제어 생체 반응 탑재체인 TC-BIOSEP
출처 : Nature Astronomy, Astrobiology at altitude in Earth’s near space, 2022.2.18.
○ 이를 토대로 연구진은 세계 최초로 자기방사성 박테리아(평면 비행 고도 23km)의 지구 근거리 우주 비행 실험을 수행
- 연구진은 인접 우주 환경에 노출된 후 생존할 수 있는 세포가 있지만, 마그네토솜*을 합성하지 않는 균주는 노출 후 감지되지 않음을 발견
* 세포 내 구조의 사슬에 배열된 Fe3O4 성분을 갖는 나노 규모의 자성 입자
※ CAS-BAP 플랫폼을 사용한 교차 연구 방법으로 마그네토솜을 합성하는 자기영양세균(Magnetospirillum gryphiswaldense MSR-1)에 대한 비교 실험을 수행
< 지구 근거리 우주에서 자기방사성 박테리아의 비행 실험 모식도 >
출처 : Laitimes, Lin Wei/Liu jia et al. - NA&SB : A series of advances have been made in the study of astrobiology in near space, 2022.4.14.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