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일본의 ‘연구 디지털전환(DX) 전략’
- 등록일2022-07-15
- 조회수4108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발간일
2022-07-14
-
키워드
#일본#디지털 전환#연구의 디지털#자동화#원격화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22-49
일본의 ‘연구 디지털전환(DX) 전략’
■ 일본 문부과학성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뉴노멀을 연구 활동에 반영하기 위해 연구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을 추진 중
○ 연구 DX를 S/W, H/W 양면에서 추진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는데, S/W 측면에서 연구데이터의 수집·공유·활용을 강화하고,
- H/W 면에서는 실험자동화, 연구시설·장비의 원격화·스마트화, 차세대 정보 인프라(고속통신네트워크, 고성능계산인프라) 구축 추진
< 주요 추진과제 >
1 | 데이터 기반 구축 및 AI·데이터 구동형 연구 추진 | |
| ㅇ 고품질 연구데이터 수집, 전략성을 가진 데이터 공유 플랫폼 구축, 인재 육성·확보, 데이터 활용 선도적 AI·데이터 구동형 연구 추진
| |
2 | 연구시설·장비의 원격화·스마트화 | |
| ㅇ 스마트 랩 구축 등을 통해 시간이나 장소에 얽매이지 않고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혁신적인 연구환경을 구축
| |
3 | 차세대 정보 인프라 구축 | |
| ㅇ 전국의 대학·연구기관을 초고속으로 연결하는 학술정보네트워크(SINET)의 기능을 강화·확충하여 전국적인 연구 DX를 지원
ㅇ AI·데이터 구동형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슈퍼컴을 비롯한 고성능·대규모 계산 자원의 구축 및 이를 활용한 성과창출 가속화 |
출처 : 일본 문부과학성, 研究のデジタルトランスフォーメーション(DX)(연구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DX)), 2021.6.3.
■ AI, IoT, 로봇 등을 활용한 스마트랩화 촉진
○ AI, IoT, 로봇 등을 활용해 연구장비 자동화나 원격 연구환경을 구축(스마트랩화)하여 연구자가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함으로써 국가 연구역량 향상에 기여
준비시간 최소화 | × | 연구시간 최대화 | × | 연구효율 최대화 | = | 세계를 선도하는 연구성과 창출 |
※ 연구실의 스마트랩화는 실험의 자동화·원격화도 가능하여 코로나19에 따른 연구활동의 지장을 해소하는 데에도 효과적
○ (추진사례 1) 물질·재료연구기구(NIMS) : '재료 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한 스마트랩 구축
- 측정장치 자동화, 스마트화(AI·기계학습 등)를 통한 혁신적 재료 창출
- AI와 화상 해석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화·자동화 재현
○ (추진사례 2) 이화학연구소(RIKEN) : 정밀·고속 신약타겟 발굴 AI 기반 구축
-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밀·고속 신약개발 AI 개발
공공DB(문헌 등) | + | 시뮬레이션 데이터 | + | 소내 실험데이터 (DMP 기반) |
- 기업 컨소시엄 등과의 제휴를 통한 신약 AI 구축·검증 실시
< 일본 이화학연구소 사례 >
출처 : 일본 과학기술종합혁신기구, AI、IoT、ロボット等を活用したスマートラボ化の促進(AI, IoT, 로봇 등을 활용한 스마트랩화 촉진), 2020.5.8.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