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차세대 무세포 합성생물학의 새로운 규제 과제
- 등록일2022-10-04
- 조회수3448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발간일
2022-09-27
-
키워드
#합성생물학#무세포 합성생물학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차세대 무세포 합성생물학의 새로운 규제 과제
BioINwatch(BioIN+Issue+Watch): 22-68
◇ 합성생물학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기존의 세포 기반의 하향식 접근법을 넘어서 무세포 기반의 상향식 접근법이 부상. 새로운 접근방식인 만큼 규제 대응 등 정책 결정 과정에서 과학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 ▸주요 출처 : Biochem. Cell Biol, Emerging regulatory challenges of next-generation synthetic biology, 2021.9.24. |
■ 합성생물학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기존의 세포 기반의 하향식 접근법을 넘어서 무세포 기반의 상향식 접근방식으로 발전
○ 합성생물학은 큰 잠재력을 가진 분야로 부상하며, 식량 부족, 기후변화, 에너지 자원 고갈 등의 글로벌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인식
○ 합성생물학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기존의 세포 기반의 하향식 접근법*에서 벗어나 무세포 기반의 상향식 접근법**을 지향하는 추세 형성
* 하향식 접근법 : 살아있는 세포를 기반으로 기존의 시스템을 재사용하고 재프로그래밍하는 것으로, LMO법의 규제 대상이며 GMO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논란으로 인해 규제 측면에서 한계가 존재
** 상향식 접근법 : 무세포 및 생명체 유사 시스템을 기반으로, 기존의 살아있는 세포 기반의 하향식 접근법이 갖는 한계들을 회피할 수 있어 주목
○ 무세포 합성생물학은 생명현상을 세포 이하 수준, 즉 세포의 구성물인 DNA나 단백질 수준에서 합성생물학을 구현
- (무세포 합성생물학의 장점) ① 살아있는 세포의 제약에서 벗어나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 ② 현재 무세포 구성 요소의 복제, 전파, 진화는 불가하므로 생물 오염 위험이 줄어듦, ③ 신진대사와 같은 세포 과정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 ④ 빠른 설계-구축-테스트 주기가 가능, ⑤ 사용 용이성, ⑥ 생물 시스템의 복잡성 감소, ⑦ 비천연 아미노산 통합 능력, ⑧ 독성 화합물에 대한 내성 지님
○ 합성생물학의 발전 단계는 응용 프로그램, 지원 기술, 접근성, 안전 및 보안 위험, 규제에 대한 대응 가능성과 활용성에 따라 구분
- 합성생물학 1.0은 세포 및 유전공학을 포함한 하향식 접근법의 초기 단계
- 합성생물학 2.0은 균주 공학, 최소 세포 및 인공 세포와 같은 하향식 및 상향식 합성생물학 접근법을 모두 활용하는 단계
- 리팩토링 라이프는 주로 상향식 접근법을 통한 무세포 및 생명체 유사 시스템 개발을 포함하는 차세대 합성생물학 연구 분야를 의미
※ 살아있는 생물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존의 규정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장점 지님
< 합성생물학 발전 추이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pro [국가 바이오 경쟁력] 국가 바이오 경쟁력 평가: 합성생물학(과학기술)과 바이오파운드리(인프라)를 중심으로 2025-04-14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regulation 바이오 분야 비용편익분석: '합성생물학 개발·실험 규제완화’를 중심으로 2024-10-07
- BioINwatch 합성생물학과 생체전자공학이 융합한 Living drug 2024-07-09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