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생물학 탐색 영역을 한 차원 넓힐 성(性)의 차이

  • 등록일2022-10-06
  • 조회수2098
  • 분류생명 > 생명과학,  생명 > 생물공학
  • 발간일
    2022-09-29
  • 키워드
    #생물학적 성#젠더 다양성#임상시험#면역 체계
  • 첨부파일

 

 

생물학 탐색 영역을 한 차원 넓힐 성(性)의 차이

BioINwatch(BioIN+Issue+Watch): 22-69

 

◇ 남성 위주의 임상시험으로 인해 여성은 생명을 구해줄 수 있었을 HIV 치료를 받을 수 없었고 남성과 같은 양의 약물 투여와 백신 접종으로 인해 최악의 부작용을 견뎌야 했는데, 최근 양성을 모두 다루는 면역학 연구 비중이 증가하는 등 성(性)의 차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는 새로운 치료제 개발의 길을 열어줄 것으로 전망

▸주요 출처 : MIT Technology Review, The quest to show that biological sex matters in the immune system, 2022.8.22

 

생물학적 성(性)은 면역체계가 질병과 백신에 반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나, 이러한 영향에 관한 연구는 오랫동안 간과되어 옴

○ 남성과 여성은 감염병이나 자가면역질환 등에 대해 다르게 반응하는데, 여성이 루푸스(lupus)에 걸릴 확률은 남성보다 9배나 더 높으며 독감에 의한 입원율도 남성보다 여성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

- 한편 남성은 결핵에 걸리거나 코로나19로 인해 사망할 확률이 여성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분석

○ 역사적으로 대부분의 임상시험은 주로 남성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그 결과는 공중보건과 의학에 큰 영향을 끼쳐 옴

- 예를 들어 남성 위주의 임상시험으로 인해 여성은 생명을 구해줄 수 있었을 HIV 치료를 받을 수 없었고 남성과 같은 양의 약물 투여와 백신 접종으로 인해 부작용이 발생

※ 1997∼2001년 사이에 FDA가 시장에서 철수시킨 약물 10개 중 8개는 여성에게 중대한 건강 위험을 초래한다는 사실이 FDA 승인 후에 발견

○ 전임상시험에서도 최근 5년 전까지만 해도 설치류 동물실험의 75% 이상이 수컷만을 이용해서 진행

- 동물실험을 수행할 때 암컷과 수컷을 모두 사용하려면 더 큰 노력과 더 많은 연구비가 필요한데, 암컷 동물 사용 시 생식주기(reproductive cycle)를 고려해야 하는 등 많은 과학자들은 암컷 동물 사용을 기피해 옴

- 반면에 다른 연구원들은 수컷들이 서로 싸울 가능성이 더 크다는 이유로 암컷만 사용하기도 함

- 하지만 각종 연구에서는 유전자 발현부터 호르몬 수치까지 다양한 특성에서 암컷 쥐나 햄스터가 수컷과 차이를 보인다고 보고


■ 최근 연구자들의 노력에 힘입어 성(性)차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

○ 존스홉킨스대학의 사브라 클라인(Sabra Klein) 교수 연구팀은 비교적 오랜 시간 동물모델과 인간에서 남성과 여성의 면역 체계 차이를 연구

- 연구를 통해 남성과 여성의 면역체계가 독감 바이러스, HIV, 특정 암 치료에 어떻게 다른 반응을 보이는지, 어째서 여성 대부분에서 백신의 보호 효과가 더 큰지, 중증 천식과 자가면역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더 큰지를 제시

* Nature Reviews Immunology, The non-specific and sex-differential effects of vaccines, 2020.5.27.

○ 성이나 젠더에 따른 계층화된 자료를 요구하는 등 학술지와 정부 연구비 지원기관에서도 변화를 보이는 중

- 양성을 모두 다루는 면역학 연구 비중이 2009년 16%에서 2019년 46%로 증가

- 1993년 미국 의회는 NIH가 연구비를 지원하는 모든 임상시험에 여성이 반드시 포함되도록 하는 법안을 통과시킴

※ 2016년 NIH는 척추동물과 인간에 대한 연구 설계, 분석, 보고에서 생물학적 성을 고려하도록 하는 ‘생물학적 변수로서의 성(Sex as a Biological Variable)’ 정책을 도입

○ 성에 따라 계층화한 자료를 요구하는 것은 기존의 치료법을 더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면역학에서 성차를 바탕으로 메커니즘을 조사하는 것은 새로운 치료법을 위한 길도 열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이미 다발성경화증과 천식에 대한 임상시험에서 일부 유망한 결과를 제시

※ 존스홉킨스대학의 면역학자이자 감염병 연구원 아일린 스컬리(Eileen Scully)는 “두 그룹의 서로 다른 차이는 새로운 발견이 쏟아져 나올 금광을 발견한 것과 같다”고 말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