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유전체 분석에 따른 정밀의료 프레임워크 설계 및 치료효과 향상에 관한 보고
- 등록일2022-10-14
- 조회수3528
- 분류생명 > 생명과학
-
발간일
2022-10-04
-
키워드
#유전체 분석#표적치료법#유방암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유전체 분석에 따른 정밀의료 프레임워크 설계 및 치료효과 향상에 관한 보고
BioINwatch(BioIN+Issue+Watch): 22-70
◇ 개인 유전체 분석 시대 진입으로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Nature에는 유전체 분석에 따른 표적치료(정밀의료)를 기존 화학요법(표준치료)과 비교하는 무작위 임상시험의 첫 번째 연구결과를 보고 ▸주요 출처 : Nature, Precision medicine improves outcomes in metastatic breast cancer, 2022.9.7 |
■ 유전체 분석에 따른 표적치료법(정밀의료)이 기존 화학요법(표준치료)에 비해 효과적이라는 임상시험 연구결과가 처음으로 보고
○ 2020년 전 세계적으로 약 600,000명의 여성이 종양이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 퍼진 전이성 유방암으로 인해 사망
- 유방암은 부분적으로 유전적 변화 때문에 유발되며 DNA 분석에 따르면 관련된 유전적 변화는 암별로 상당히 다른 것으로 분석
○ 암 치료에 DNA 시퀀싱을 사용하여 개인별로 암에 대한 유전자 변이를 알아내고, 특정 변이 때문에 활성화되는 분자 메커니즘을 차단하는 표적치료를 시행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 표적치료에 대한 방법이 불분명하고, 표적치료의 결과가 향상되었다는 증거가 거의 없는 상황
○ 최근 전이성 유방암의 무작위 2상 임상시험에서 표적치료에 유전체 분석을 사용하면 그 결과가 개선될 수 있다는 정밀의료 연구결과*가 발표
* Nature, Genomics to select treatment for patients with metastatic breast cancer, 2022.9.7
- 전이성 유방암 환자 1,462명의 유전체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238명이 표적치료 또는 유지치료에 무작위로 배정
- 표적치료는 이전에 약물 감수성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가 있을 때 생존을 개선하는 것으로 확인
- 연구팀은 표적치료 결정은 유전자 변형이 임상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확고한 증거를 기반으로 해야 한다고 제안
■ 전문가들은 암에 대한 유전체 프로파일링이 임상적으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유의미한 연구결과라고 평가
○ 유전체 시퀀싱 분석 결과를 임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석하기 위한 ESCAT(ESMO Scale for Clinical Actionability of Molecular Targets)를 개발
- ESCAT은 임상 표적으로서의 유전자 변이의 순위를 매기는 프레임워크로, Tier I은 임상시험에서 뚜렷한 개선 결과를 보였고 Tier II는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지만 개인 맞춤형에 대한 이점은 낮은 것으로 조사
- 이번 연구를 통해 유전체 시퀀싱 결과는 ESCAT에 따라 Tier I/II 유전자 변형이 있는 암 환자에 대해서만 표적치료를 결정할 수 있음을 시사
< 유전체 분석을 기반으로 표적치료제를 평가하는 무작위 임상시험 설계 >
출처 : Nature, Precision medicine improves outcomes in metastatic breast cancer, 2022.9.7.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