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미국 바이든 정부, 새로운 버전의 Cancer Moonshot Initiative 발표

  • 등록일2022-02-28
  • 조회수1851
  • 분류레드바이오 > 보건・간호기술
  • 발간일
    2022-02-24
  • 키워드
    #바이든#Cancer Moonshot Init
  • 첨부파일

 

 

미국 바이든 정부, 새로운 버전의 Cancer Moonshot Initiative 발표

BioINwatch(BioIN+Issue+Watch): 22-14

 

◇ 2022년 2월, 미국 바이든 정부는 새롭게 갱신한 Cancer ’Moonshot‘ Initiative 계획을 발표. 향후 25년 동안 사망률을 50%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추진할 예정

▸주요 출처 : White House, Fact Sheet: President Biden Reignites Cancer Moonshot to End Cancer as We Know It, 2022.2; Nature, Cancer ‘moonshot’ has lofty new goal: halve deaths in 25 years, 2022.2

 

❏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향후 25년 암 사망률을 최소 50% 줄이고, 암 환자 삶의 질 개선을 주요한 목표로 새로운 버전의 계획 발표

○ 최근 암 치료·진단 및 환자 중심의 치료뿐만 아니라 코로나19 전염병의 과학적 진보와 공중보건 학습의 진전을 기반으로 암 사망률을 최소 50% 줄이고 암과 생존하는 환자들과 가족의 경험을 향상시키는 목표를 설정

※ 바이든 대통령은 2016년 오바마 행정부 시절 부통령으로서 암 극복을 위한 Cancer Moonshot Initiative를 착수

○ 백악관 Fact Sheet에서 제시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궁극적으로 암 정복을 위해 암 진단 가속화, 암 예방, 올바른 치료법 개발 및 환자와 그 가족 그리고 생존자를 위하여 다양한 접근방법을 추구

- 이외에도 소아암을 포함하여 치명적이고 희소한 암 치료 가속화, 암 치료를 통한 학습 경험을 축적하고 암 치료에 대한 지역사회 및 인종 간 불평등 해소도 구체적인 목표로 설정

-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바이든 행정부는 18억 달러를 투자하고 보건복지부(HHS), 국방부(DOD), 에너지부(DOE), 농무부(USDA), 환경보호국(EPA), 국립보건원(NIH), 국립암연구소(NCI), 식품의약품안전청(FDA),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등 다양한 기관이 참여 혹은 지원할 예정

※ 바이든 대통령은 함께 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국과 양자 간 노력을 기울일 것임을 밝힘


국립암연구소(NCI)는 본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광범위한 암 연구를 다루는 240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착수할 계획

○ 소아암과 싸우기 위해 면역체계를 자극하는 치료법 연구 및 종양세포의 3D 지도를 제작하고 있으며, 의료 접근의 격차를 해결하고 임상시험에서 확인된 모범 임상 사례의 구현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도 추진 예정

- NCI는 생성된 데이터의 사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Cancer Research Data Commons’와 같은 데이터 공유 인프라도 구축할 예정

※ 1차 문샷 프로젝트에 참여한 연구원들의 데이터 업로드가 예상했던 것보다 느린 점을 지적하고 데이터 공유가 프로그램의 영향을 극대화하는 데 중요하다고 언급

○ 바이든 행정부는 본 프로젝트에서 무엇보다 ‘암의 조기 진단이 가능한 진보된 기술의 활용’과 ‘종양을 표적으로 하는 mRNA 백신 활용’ 및 연구 결과의 ‘데이터 공유’에 대해 강조할 예정

○ 새로운 Moonshot 프로그램의 추진 의지에도 불구하고 바이든 대통령의 초기 공약을 이행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점을 언급

- NCI의 Dinah Singer 부국장은 “Cancer Moonshot 프로그램을 통해 이미 1,212개의 논문 발간, 14개의 특허 및 22개의 임상시험 성과를 산출했다”고 언급

- Singer는 평균적으로 Moonshot 프로그램 논문은 다른 NCI 지원 연구보다 더 많이 인용되는 경향이 있지만, 대규모 협업에 의한 효과일 수 있다고 지적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