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디지털화된 바이오경제 : 바이오경제-디지털경제 시장 간 융합 현상

  • 등록일2023-01-12
  • 조회수2665
  • 분류종합 > 종합,  기타 > 기타,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디지털화된 바이오경제 : 바이오경제-디지털경제 시장 간 융합 현상

BioINwatch(BioIN+Issue+Watch): 23-4

 

◇ 독일 보훔 루르 대학(Ruhr-Universität Bochum) 연구진은 바이오경제 기업과 디지털경제 기업 간의 M&A 활동을 분석하여 양 시장 간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바이오경제와 디지털경제 간 융합을 통해 지식 기반의 디지털화된 바이오경제로 발전하는 것이 바람직한 진보 방향임을 제시

주요 출처 : Bus Strat Dev, Convergence towards a digitalized bioeconomy-exploring cross-industry merger and acquisition activities between the bioeconomy and the digital economy, 2022.9


■ 화석기반 경제에서 바이오경제 체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바이오경제 기술과 디지털경제 기술 간 융합을 주목

○ 바이오경제는 화석 자원 기반 경제에서 재생가능한 바이오 기반 자원을 사용하는 경제 체제로 전환하는 개념*으로현재 전환을 위한 과학적 지식 기반은 마련되어 있으나 과학기술-시장/산업 간 격차 해소 필요

바이오경제 체제 전환의 저해요인은 기술적 미성숙복잡한 가치사슬 내 다양한 주체 간 커뮤니케이션 장애불충분한 혁신 활동사회적 인식 부족과 같은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 경제적 상호작용에서 기인

재생가능한 생물자원의 생산 및 이를 식품사료바이오기반 제품바이오연료 등으로 전환하는 활동을 포함하며광범위한 과학 및 산업 기술을 이용함에 따라 강력한 혁신 잠재력을 보유(유럽위원회, 2012)

○ 바이오경제 체제로의 전환 가속화 및 저해요인 해소를 위해 바이오경제 기술과 디지털경제 기술 간 융합이 중요

디지털경제 전환은 아날로그 프로세스 기반 경제에서 디지털 경제로의 발전을 설명하는 개념*으로디지털기술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새로운 제품서비스 및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통일된 언어를 제공

디지털기술은 데이터 관리지식 생성 및 혁신 프로세스를 가속화하여 바이오경제로의 전환을 촉진하는데 기여

디지털화된 정보와 지식을 생산의 핵심 요소로 이용하고정보 네트워크를 중요 활동 공간으로 활용하며생산성 성장과 경제 구조 최적화를 위해 ICT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경제적 활동을 의미(G20, 2016)


■ 바이오경제-디지털경제 시장 간의 연결고리를 밝히고 기업들이 상호 분야에 참여하는 방식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문헌 분석 및 기업간 M&A 거래 분석을 실시

○ Web of Science DB를 사용하여 84개의 연구논문을 분석한 결과바이오경제와 디지털경제 간 융합 과정(과학기술시장산업 간 융합) 중 과학·기술 수준의 융합 및 상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

디지털화는 데이터 관리지식 생성 및 혁신 프로세스를 통해 바이오 기반 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으며전환 과정에서 바이오기술과 접목하여 새로운 디지털기술 개발 및 프로세스 개발을 지원할 수 있음

○ 시장(market) 수준에서의 융합 현상을 확인하기 위해 바이오경제 기업과 디지털경제 기업 간 M&A 거래 분석을 실시

* M&A 거래용 데이터를 제공하는 SDC Platinum(총 110만건의 거래 데이터 보유)을 활용하여 1991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데이터를 분석

바이오경제-디지털 경제를 구분할 수 있는 SIC(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코드를 할당하여 M&A 거래를 분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