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옥수수 알갱이는 왜 단백질이 적을까? : 야생 옥수수로부터 잃어버린 유전자를 찾다.

  • 등록일2023-01-26
  • 조회수2251
  • 분류생명 > 생물공학,  그린바이오 > 식품기술,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발간일
    2023-01-26
  • 키워드
    #옥수수#단백질#교배체#합성 유전자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23-6(1.26)●옥수수 알갱이는 왜 단백질이 적을까 야생... (다운로드 8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차트+ ? 차트+ 도움말

옥수수 알갱이는 왜 단백질이 적을까? : 야생 옥수수로부터 잃어버린 유전자를 찾다.

BioINwatch(BioIN+Issue+Watch): 23-6

 

◇ 현재 널리 재배되는 옥수수 품종은 알갱이의 단백질 함량이 유독 낮은 반면, 야생종은 단백질 함량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 야생종과 재배종의 교배체를 제작하고 유전자 변이를 분석하여 재배 과정에서 잃어버린 단백질 합성 유전자를 발견. 해당 유전자를 재배종에 도입할 경우 단백질 함량이 높아질 뿐 아니라 질소 활용 효율도 높아져 옥수수 육종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

▸주요 출처 : Nature, THP9 enhances seed protein content and nitrogen-use efficiency in maize. 2022.11.16

■ 옥수수 야생종 유래의 유전자를 재배종에 도입하여 단백질 함량이 높고, 질소 활용 효율이 높아져 옥수수 육종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한 연구결과가 발표

○ 옥수수 야생종(teosinte)의 알갱이 내에는 재배종(corn)에 비해 월등히 많은 단백질을 함유

※ 옥수수는 중앙아메리카 지역에서 teosinte라고 불리는 야생종의 육종을 통해 현대 옥수수가 개발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 옥수수 야생종 Ames21814와 재배종 B73의 단백질 함량을 분석한 결과, 야생종 알갱이의 단백질 함량이 2배 이상 높았고, 특히 아미노산의 일종인 asparagine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

※ 이는 재배 과정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단백질 함량 보다는 눈으로 보이는 알갱이의 크기를 중심으로 육종되었고,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녹말의 함량이 높아지는 쪽으로 선택된 것으로 추측

○ 연구팀은 야생종과 재배종 간의 교배체를 만들어 유전자를 서로 섞고, DNA 서열을 분석

- 단백질 함량이 높은 야생종 Ames21814와 단백질 함량이 낮은 재배종 B73을 교배한 뒤 나온 첫 세대(F1 잡종)의 DNA 서열을 분석

○ 교배체의 경우 단백질 함량의 차이 이외에도 잎의 구조나 성장 정도 등 야생종과 재배종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재배종인 B73과의 지속적인 교배를 수행

- 다른 형질은 재배종과 같으나 단백질 함량이 다른 세대가 나올 때까지 교배를 수행하여 9번의 세대를 내려감

○ 교배 과정 중에 얻은 개체들의 DNA 서열을 분석하고 이들의 단백질 함량 정보를 활용하여 QTL(Quantitative Trait Loci) 분석*을 수행

* 특정 형질에 대하여 대비되는 특성을 나타내는 집단 간의 표현형과 유전자 분석을 통해 형질을 결정하는 유전자좌를 탐색하는 분석 방법

- 9세대까지 내려가 QTL 분석을 수행한 끝에 최종적으로 3개의 유전자가 포함된 지역/유전자좌(논문에서는 이 지역을 THP9으로 이름 붙임)가 단백질 함량과 관련되어 있음을 파악

- 3개 유전자 중 2개는 거의 발현되지 않는 유전자였고 1개는 아미노산 asparagine을 합성하는 효소인 asparagine synthetase 4(ASN4)를 코딩하고 있어 이것이 유력한 후보로 선정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