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미국 대통령과학기술자문위원회(PCAST), 바이오제조 정책 권고
- 등록일2023-03-16
- 조회수2531
- 분류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화학・에너지기술,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제품 > 바이오자원
-
발간일
2023-03-16
-
키워드
#PCAST#바이오제조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미국 대통령과학기술자문위원회(PCAST), 바이오제조 정책 권고
BioINwatch(BioIN+Issue+Watch): 23-19
◇ 미국 과학기술자문위원회인 PCAST는 바이오제조에 관한 3대 주요 과제 (생산능력, 규제, 전략)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권고사항을 제시 ▸주요 출처 : PCAST, REPORT TO THE PRESIDENT: Biomanufacturing to Advance the Bioeconomy, 2022.12 / KIAT, 미국 바이오제조 증진을 위한 정책 권고 2023.01 |
■ 바이든 대통령 행정명령에 따라 PCAST*는 미국 바이오경제의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주요 권고사항을 도출하여 보고
* President's Council of Advisors on Science and Technology
○ 바이든 대통령의 행정명령 14081호는 생명공학 혁신 가속화, 미국 바이오경제 성장, 바이오제조 발전 촉진을 위한 정부의 정책 목표와 향후 방향성을 제시(2022.9)
- 바이오경제 확장에 따라 바이오제조(Biomanufacturing) 중요성 및 변화의 필요성 주목
※ 최근 개발된 RNA 백신, 세포기반 약물 등 혁신적인 바이오제품(Bioproduct)의 파급 효과로 바이오경제 확장 추세
<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연간 바이오경제 효과(2030~2040) >
출처: KIAT, 미국 바이오제조 증진을 위한 정책 권고 2023.01
○ 바이오경제는 식품, 의약품, 연료, 소비재 등 다양한 제품을 포괄하며 농업, 바이오산업, 바이오의학 부문을 비롯해 경제 전반에 영향력 확산
- 바이오경제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2016년 9,592억 달러로 추산, 2030∼ 40년에는 2~4조 달러 창출 예상(McKinsey Global Institute, 2020)
- 바이오제조는 바이오제품을 상업적 규모로 생산하는 과정이며, 기초연구의 혁신적인 진보가 시장으로 연결되어 바이오경제의 성장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새로운 제조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
< 바이오경제에서의 바이오제조의 역할 >
출처: KIAT, 미국 바이오제조 증진을 위한 정책 권고 2023.01
■ 바이오제조는 향후 미국 경제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탄소배출, 일자리, 경제적 기회, 국가 안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 (화석연료 의존도 감소 및 온실가스 배출 저감) 기후 목표 달성 기여
- 재생 가능한 생물학적 성분을 사용, 석유화학물질 없는 바이오제조방법 개발 등을 통해 기존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 감축
○ (일자리 창출) 바이오매스 확장 생산 시스템 및 바이오제품 전환에 필요한 기술 개발에 필요한 고용기회 창출
○ (경제적 이득) 바이오제조의 확장으로 공평한 고용 혜택 기회 제공 가능
- 지역사회 및 소외된 계층을 우선으로 바이오 제조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경제적으로 취약한 지역에서 새로운 고용 기회 창출
○ (국가 안보 강화) 자국 공급망 개발 및 제조역량 온쇼어링을 위한 연방 투자는 국가 안보 강화에 영향
- 바이오연료 및 의약품 등 필수 제품에 대한 접근성 보장, 국방 관련 제품 개발 지원, 자국 지적재산 보호, 해외 에너지 생산자에 대한 의존도 축소, 바이오기술의 응용 촉진, 악의적 사용 금지를 위한 표준 개발 및 시행을 포함
■ 바이오제조 분야의 주요 과제를 3개(생산 능력, 규제, 전략)로 분류
○ (생산 능력, Capacity) 현재 미국의 바이오제조 생산 능력은 새로운 바이오제품의 대량 생산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실정
- 2011년 PCAST는 미국의 첨단제조 분야 권고를 통해 바이오제조 USA 프로그램*의 기반을 형성하였으나, 다양한 바이오제품 지원 및 바이오제조 역량이 각 센터에 부재
* BioFab, BioMade, NIIMBL
- 바이오제품 개발업체 중 다수는 제한된 바이오제조 인프라와 높은 신제품 출시 비용 때문에 바이오제조 사업을 다른 국가로 이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watch 미국, 바이오제조 역량 가속화를 위한 2차 후속 조치 발표 2024-08-27
- BioINwatch 미국, ‘신흥 바이오기술에 관한 국가안보위원회’ 중간보고서 발표 2024-06-11
- BioINpro [바이오제조 행정명령] 안보, 통상, 공급망 관점의 초격차 바이오 전략기술 육성 전략 2023-07-12
- BioINpro [바이오제조 행정명령]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행정명령과 과제 2023-07-12
- BioINwatch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발전을 위한 미국 NSF의 R&D 방향성(Cross-cutting advance) 2023-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