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44개 핵심기술에서 한국은 글로벌 4위를 차지
- 등록일2023-03-23
- 조회수3950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3-03-23
-
키워드
#핵심기술#한국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44개 핵심기술에서 한국은 글로벌 4위를 차지
BioINwatch(BioIN+Issue+Watch): 23-21
◇ 호주전략정책연구소는 논문 분석을 통해 세계 흐름을 좌우할 44개 핵심기술 가운데 중국이 37개 기술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발표. 한국은 상위 5개국에 든 기술이 20개로 글로벌 4위를 차지(1위 중국, 2위 미국, 공동 3위 인도와 영국, 5위 독일)하며, 일본을 제치고 핵심기술 주요국으로서 지위를 확보 ▸주요 출처: ASPI, ASPI’s Critical Technology Tracker - The global race for future power, 2023.3.2 |
■ 호주전략정책연구소(Austrailian Strategic Policy Institute)의 핵심기술추적기(critical technology tracker)란?
○ 경제, 국가안보, 에너지 생산, 건강과 기후대응의 기초인 44개 핵심기술을 선정*하여 각 기술별 논문 분석으로 국가별 기술수준을 평가 및 추적
* 44개 핵심기술 : 정부 관계자 및 다른 이해관계자들이 특별히 관심을 표한 기술분야와 내부논의로 선정
- (수집) 44개 기술분야에서 5년간(‘18~’22) 발표된 연구논문(총 220만 편)을 Web of science(SCI급 논문 검색 사이트)로부터 수집
- (분석) 국가별 기술독점위험도(technology monopoly risk), 연구 수행력(highly cited research output and H-index), 전문인력의 밀도 및 흐름(talent tracker)
- (지표) 5년간(‘18~’22) 출간된 영향력이 큰 논문*, 영향력이 큰 논문을 많이 발표한 상위 10대 연구기관 수, 5년간 H-지수**를 기준으로 분석
* 5년간(‘18~’22) 출간된 연구논문 중 인용횟수 상위 10% 논문
** Hirsch index : 연구자의 연구 생산성과 영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발표한 논문과 논문별 피인용 횟수를 산출하여 학문적 역량을 측정
○ 44개 핵심기술별로 영향력이 큰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1위 국가의 기술독점위험도로 상·중·하로 평가
- 글로벌 상위 10대 연구기관 중 핵심기술별로 1위 국가에 소속된 기관의 수와 2위 국가 대비 논문 발표 비율을 합산하여 평가
기술독점위험도 |
| 상위 10대 연구기관 중 핵심기술별 1위 국가에 소속된 기관의 수 |
| 2위 국가 대비 1위 국가 논문 발표 비율 |
|
|
|
|
|
상(High risk) | = | 8개 이상/상위 10개 연구기관 | AND | 논문 발표 3배 이상 |
|
|
|
|
|
중(Medium risk) | = | 5개 이상/상위 10개 연구기관 | AND | 논문 발표 2배 이상 |
¶ 하(Low risk): 중(Medium)의 기준(criteria)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만약 2위 국가 대비 논문 발표 비율이 3.5배로 상(Hihg)의 기준을 넘지만 상위 10대 연구기관은 4개이면 중(Medium)의 기준을 충족하지 않아 Low에 해당
■ 중국이 44개 핵심기술 중 37개 분야에서 영향력이 큰 논문 산출량 1위 국가로 세계 최고의 과학기술 초강대국으로 자리매김
○ 7개 기술분야*에 대해서는 2위 국가(미국) 대비 논문 산출량이 3배 이상, 상위 10대 연구기관이 8개 이상으로 기술독점위험도 ‘상’ 으로 분석
* 나노물질과 제조, 첨단 무선주파수 통신(5G‧6G 통신), 수소‧암모니아 발전, 초고용량 축전기, 전기배터리, 합성생물학, 광센서 분야에서 기술독점 가능성 높음
- 중국은 첨단 항공기 엔진 분야에서 영향력이 큰 연구논문의 48.5%를 발간
- 일부 기술 분야의 상위 10대 연구기관은 모두 중국에 기반을 둔 곳으로, 특히 중국과학원의 경우 44개 부문 대부분에서 1∼2위 기관에 포함
○ 미국은 고성능컴퓨팅, 첨단집적회로 설계 및 제조, 양자컴퓨팅, 자연어 처리, 백신, 소형위성, 우주발사 시스템의 7개 분야에서만 1위를 차지
- 중국과 미국 다음으로 인도와 영국이 공동 3위(상위권 기술 29개 보유), 한국 4위(상위권 기술 20개 보유), 독일 5위(상위권 기술 17개 보유)로 조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