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Biorisk(생물위험) 관리에 대한 국가별 점수
- 등록일2023-04-18
- 조회수1592
- 분류생명 > 생명과학, 생명 > 생물공학, 기타 > 기타
-
발간일
2023-04-18
-
키워드
#Biorisk#생물위험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risk(생물위험) 관리에 대한 국가별 점수
BioINwatch(BioIN+Issue+Watch): 23-27
◇ Global BioLabs Report 2023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생물안전 4등급 (BSL4, biosafety level-4) 연구시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 지역의 건설이 활발한 상황. 보고서에서는 빠르게 늘어나는 BSL4 등 생물안전 등급이 높은 연구시설을 모니터링할 강력한 방안을 촉구하는 한편, 생물위험 관리와 정책의 안정성 측면에서 우리나라는 캐나다, 스웨덴, 호주, 영국 등이 분포한 영역에 위치하며 비교적 높게 평가 ▸주요 출처: Science, News at a glance, High-risk pathogen labs mushroom, 2023.3.16.; Global Biolabs, Global BioLabs Report 2023, 2023 |
■ 가장 치명적인 병원체를 연구하는 데 필요한 격리 기능을 갖춘 생물안전 4등급(BSL4, biosafety level-4) 연구시설이 급증
○ Global BioLabs Report 2023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51개의 BSL4 연구시설이 가동 중이며, 이는 10년 전에 비해 2배 가량 증가한 수치
< 연도별 글로벌 BSL-4 실험실의 수 >
출처: Science, News at a glance, High-risk pathogen labs mushroom, 2023.3.16.
- 18개 이상의 BSL4 연구시설이 향후 몇 년 안에 문을 열 예정으로,
- 빠르게 늘어나는 BSL4는 치명적인 병원체의 우발적인 방출이나 테러리스트에 의한 사용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고 경고
※ BSL4는 감염 개체에서 다른 개체로 쉽게 전파되며 치료제가 없는 바이러스를 취급하는 연구시설로, 에볼라 바이러스가 대표적
- 또한 전 세계적으로 57개의 BSL3+ 실험실이 있으며, 그 중 다수는 동물 병원체를 연구
○ 그러나 많은 국가에서 생물안전 등급이 높은 연구시설을 모니터링할 강력한 방법이 부족하다고 보고서에 설명하며,
- 국제기구 차원에서 WHO가 실험실 안전지침을 강화할 것을 촉구하고, 개별국 차원에서는 BSL4 연구시설이 국제표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외부 감사를 권고
○ BSL4 연구시설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유럽에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중 3/4은 도시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조사
- BSL4 연구시설 건설이 가장 활발한 지역은 아시아로, 아시아 지역의 총 20개 중 11개가 현재 건설 중이거나 향후 건설이 계획되어 있는 상황
< BSL4과 BSL3+ 연구시설의 글로벌 분포 현황 >
출처: Global Biolabs, Global BioLabs Report 2023, 2023.
< 생물위험 관리에 대한 국가별 점수 >
출처: Global Biolabs, Global BioLabs Report 2023, 2023.
■ 전반적인 바이오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우리나라는 29점으로 평가(48점 만점)
○ BSL4 연구시설을 운영 중이거나 계획 중인 27개국을을 대상으로 평가
- 전반적인 바이오리스크 관리 점수를 평가하는 항목은 크게 3개(Biosafety, Biosecurity, Dual-use)로 구성되며, 각각 세부항목 포함
- 우리나라는 48점 만점에서 29점으로, 27개 국가 중 헝가리와 함께 14위에 해당
○ 전반적인 바이오리스크 관리 측면과 정책의 거버넌스와 안정성 측면에서 살펴보면,
- 우리나라는 캐나다, 스웨덴, 호주, 영국 등이 분포한 영역에 위치하며 비교적 높게 평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