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Sweet medicine : 설탕 대체 감미료의 자가면역질환 치료 가능성

  • 등록일2023-04-20
  • 조회수4264
  • 분류생명 > 보건의료학,  생명 > 생물공학
  • 발간일
    2023-04-20
  • 키워드
    #대체 감미료#자가면역질환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Sweet medicine : 설탕 대체 감미료의 자가면역질환 치료 가능성

BioINwatch(BioIN+Issue+Watch): 23-28

 

◇ 수크로스(sucrose) 보다 600배 더 단맛을 내지만 칼로리는 없는 설탕 대체 감미료인 수크랄로스(sucralose)를 고용량으로 섭취한 마우스에서 과잉 면역반응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 향후 인체에서도 유사한 효과가 확인된다면, 자가면역질환 치료를 위해 면역억제제와 함께 제조 비용도 저렴하고 부작용도 적은 설탕 대체 감미료를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결과가 발표

▸주요 출처: Nature, Common sweetener suppresses mouse immune system - in high doses, 2023.3.15

  

■ 지난 수십 년간 인공 감미료에 대한 연구를 해왔고, 일부 설탕 대체제는 장내 미생물을 변화시키는 등 생물학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

○ 이번 연구는 마우스 실험을 통해 설탕 대체 감미료인 수크랄로스(sucralose)가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

- 수크로스(sucrose) 보다 600배 더 단맛을 내지만 칼로리는 없는 설탕 대체 감미료인 수크랄로스를 고용량으로 섭취한 마우스에서 과잉 면역반응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

* 관련 논문 : Nature, The dietary sweetener sucralose is a negative modulator of T cell-mediated responses, 2023.3.15

○ 영국 프란시스 크릭 연구소(Francis Crick Institut)의 Fabio Zani 박사 연구팀은 수크랄로스가 면역체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연구를 수행

- 마우스와 인간에게서 면역세포인 T세포를 채취하여 수크랄로스를 처리한 결과, T세포의 복제 및 기능을 손상시킨다는 것을 발견

○ 살아있는 동물에서도 효과가 동일한지 알아보기 위해 고용량(인간의 최대 안전 섭취량)의 수크랄로스가 들어 있는 물병을 실험용 마우스*에게 제공

* 세균 감염이나 종양이 있어 면역체계가 얼마나 반응하는지 확인 가능한 마우스 모델

- 수크랄로스를 섭취한 마우스는 물이나 다른 감미료를 공급한 대조군 마우스에 비해 손상된 T세포 반응을 보였으나, 수크랄로스 공급을 중단하자 T세포 반응이 회복되기 시작

- 감미료는 B세포나 골수세포 등 다른 면역세포는 손상시키지 않고 T세포만 손상시키는 것으로 보이며, 감미료가 T세포 내부에 축적되지 않는 것을 확인

※ 연구팀은 수크랄로스가 세포막의 유동성에 영향을 미쳐 T세포의 신호전달을 방해하여 T세포 기능을 손상시키는 것으로 추측


■ 연구팀은 수크랄로스가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은 본질적으로 부정적인 것이 아니며, 감미료가 언젠가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기대

○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서 수크랄로스의 가능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자신의 T세포가 췌장세포를 공격하는 제1형 당뇨병 마우스 모델에 고용량의 수크랄로스를 투여

- 약 30주 후에 수크랄로스를 투여한 마우스의 약 1/3만이 당뇨병에 걸린 반면에, 대조적으로 물만 먹인 마우스는 모두 제1형 당뇨병에 걸린 것을 확인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