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발전을 위한 미국 NSF의 R&D 방향성(Cross-cutting advance)

  • 등록일2023-04-27
  • 조회수2963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발간일
    2023-04-27
  • 키워드
    #바이오제조 #미국 NSF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23-30(4.27)●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발전을 위한 미국... (다운로드 174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차트+ ? 차트+ 도움말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발전을 위한 미국 NSF의 R&D 방향성(Cross-cutting advance)

BioINwatch(BioIN+Issue+Watch): 23-30

 

◇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은 바이든 대통령의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의 후속 조치로,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의 범분야적 발전(Cross-cutting advance)을 위한 R&D 방향성을 6개의 테마로 제시

▸출처 : The White House, Bold Goals for U.S. Biotechnology and Biomanufacturing: Harnessing Research and Development to Further Societal Goals, 2023.03

  

■ 바이든 대통령 행정명령에 따라 NSF는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의 범분야적 발전(Cross-cutting advance)을 위한 방향성 제시

○ 2022년 9바이든 대통령은 지속가능하고 안전하며 안보적인 바이오 경제를 위한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에 서명

이에 따른 후속 조치로 NSF 등 각 부처는 생명공학과 바이오제조향후 바이오경제 발전에 중요한 연구개발 분야를 선정하고 이에 따른 범정부적 접근 방식을 제시

○ 특히, NSF는 미래의 바이오경제를 위해서는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기술 발전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

바이오경제의 모든 부문을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적인 발견 (Discovery) 등 범분야적 발전에 관한 R&D 목표 6개 테마로 분류

 

<미국 NSF에서 제시한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R&D 목표>

테마 1. 모든 생명체(Tree of Life) 전반에 걸친 생물다양성 활용

목표 1.1 미생물 게놈 시퀀싱 및 이해

- 5년 내 100만종의 게놈 시퀀싱 및 새롭게 발견된 유전자 최소 80% 이해

목표 1.2 유전자 분석 가속화

- 20년 내 모든 유기체에 걸쳐 현재보다 100배 빠르게 유전자 서열대사기능 분석

테마 2. 생물학적 시스템의 예측 모델링 및 공학적 설계 개선

목표 2.1 예측 모델링 기술

- 5년 내 원하는 표적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소분자 또는 효소를 예측 가능하게 설계하는 능력 향상

이 프로세스에 필요한 소요기간을 3주로 단축

목표 2.2 다학제적 발전기술 활용한 공학적 설계

- 20년 내 분자에서 생태계 수준에 이르는 모든 규모를 생물학적으로 높은 신뢰도(90%)의 설계가 가능할 수 있도록 다학제적 활용

테마 3. 생물학적 시스템의 성능과 품질을 측정하고 개선하기 위한 능력을 확장

목표 3.1 단일세포 구축 및 측정

- 5년 내 모든 유전체후성유전체전사체 및 단백체를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여 30일 이내에 모든 단일세포 구축 및 측정

목표 3.2 합성 공장 구축(synthetic plant)

- 20년 내 식품원자재(feedstock), 화학품의약품 생산에 사용할 수 있는 골격으로 최소한의 합성 공장 구축

테마 4. 생물 시스템 스케일업 및 제어 기술 향상

목표 4.1 상업화 규모의 생산 스케일업

- 5년 내 어떠한 생물학적 공정이든 상업화 수준으로 생산 규모를 확장하는 것을 예측 가능하도록 만듦

- 3개월 이내에 90% 성공률로 상업 생산 규모로 스케일업이 가능한 바이오 프로세스 디자인최적화 및 컨트롤 툴 개발

목표 4.2 지속가능성과 상업적 목표를 위한 생물학적 공정

20년 내 새로운 생물학적 공정이 처음 도입되는 첫 해에 지속가능성과 상업적 목표를 85% 이상 달성할 수 있도록 기술경제 분석과 함께 원자재 사용유기체 설계공정 설계 및 사용 종료 처리 등 모든 측면을 종합적으로 통합 발전

테마 5. 바이오제조기술 혁신

목표 5.1 바이오제조기술 혁신 기반 마련

5년 내 생체-비생체 구성요소를 통합하는 장치를 재현 가능하게 제조하여, 90% 이상의 생체 활성과 연결성을 유지하는 Organ-chip 또는 인간-로봇 인터페이스를 개발

인간의 건강한 노후를 위한 보조 장치 개발 등의 바이오제조기술 혁신 기반 마련

테마 6. 바이오제품의 윤리 및 안전공정한 생산 및 전달

목표 6.1 바이오제조기술 혁신 기반 마련

5년 내 생물공학 제품이나 생물공학 생산기술 등을 개발할 때대중 및 최종 사용자들의 참여와 공동생산사회적행동적경제적기술적 요소들의 통합엄격한 평가 등을 고려하여 윤리적이고 안전하며 공정한 과정으로 진행

출처 The White House, Bold Goals for U.S. Biotechnology and Biomanufacturing: Harnessing Research and Development to Further Societal Goals, 2023.03

 

■ (테마1) 바이오경제 발전을 위한 생물다양성 강화

○ (필요성) 다양한 종의 서열 분석 및 유전자 기능 이해를 위한 새로운 도구와 방법이 필요하며이를 가속화하고 비용을 줄이기 위한 지원이 필요

대규모 유전체 및 표현형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 등의 컴퓨팅 기술의 혁신 필요

새로운 바이오경제 제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생명공학 및 생물 설계 분야의 혁신과 필요한 인프라 지원이 필요

○ (연구방향 1) 모든 생명체(Tree of Life) 전반에 걸쳐 유전체 분석과 기능을 발굴

민간과 공공의 유전체 시퀀싱 역량을 결합하여 유전체 분석 가속화 및 비용 절감

생물학적 설계에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을 발견하기 위해비교 분석이 용이한 생물체들을 선택하기 위한 전략 개발

진화적으로 다양한 생명체로부터 유전자형-표현형 관계를 발견하기 위한 계산 및 실험 도구 개발

○ (연구방향 2) 생물다양성을 새로운 생명공학 기술에 적용

생물다양성 연구결과를 다양한 유기체*에 적용

* 인공 생물학 시스템 내의 쉐시(chassis, 유전자 조작 기술로 특정 유전자를 이식하여 만들어진 생물체활용 등

염기서열 및 기능적 분석 결과와 화학·재료공학을 융합하여 생물학적 부품(Biological parts) 확보

○ (연구방향 3) 바이오경제를 위한 다기관 간 안전한 데이터 인프라 생태계 구축

생물다양성 연구 데이터에 대한 광범위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사이버 인프라를 구축해 FAIR*하도록 만들고다양한 데이터세트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지원

* FAIR : 찾기 쉽고(Findable), 접근하기 쉽고(accessible), 이해하기 쉽고(interoperable), 재사용 가능(reusable)

※ 지적재산권과 개방형 데이터의 필요성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적절한 보호 및 보안 조치가 필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