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단백질 혼합물을 모방한 합성고분자 앙상블

  • 등록일2023-05-02
  • 조회수1976
  • 분류생명 > 생물공학,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발간일
    2023-05-02
  • 키워드
    #합성고분자 #단백질 혼합물#단백질 모방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23-31(5.2)●단백질 혼합물을 모방한 합성고분자 앙상블... (다운로드 109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차트+ ? 차트+ 도움말

    단백질 혼합물을 모방한 합성고분자 앙상블

BioINwatch(BioIN+Issue+Watch): 23-31

 

◇ 가장 복잡한 혼합물인 생물학적 유체(biological fluids) 속 단백질 작용을 모방할 수 있는 합성고분자 조합(앙상블, ensemble)을 설계하고 합성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결과가 발표. 이러한 합성고분자 조합은 생체, 환경과의 호환성을 높이는 바이오-비바이오 하이브리드 소재개발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Nature, Population-based heteropolymer design to mimic protein mixtures, 2023.03

  

■ 가장 복잡한 혼합물인 생물학적 유체(biological fluids) 속에서 단백질이 개별적 그리고 집합적으로 어떻게 행동하는지 모방이 가능한 프레임워크를 개발

○ 이 프레임워크는 천연 단백질과 유사성이 높고상호작용이 가능한 합성 고분자 설계에 대한 접근방식을 제시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재료공학·통계학과 연구팀은 약 6만개의 단백질 서열 정보로부터 50개의 아미노산(50-mer*)으로 구성된 단백질 단편(segment) 서열 조합을 구성

* 핵산단백질고분자 중합체에서 단위체의 개수를 나타내는 단위로예를 들면 50-mer 단백질은 5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을 의미

연구팀은 아미노산 대신 합성 단량체로 대체하여 50-mer 단백질 단편을 합성하였는데아미노산의 특성(소수성극소수성이온성친수성)*을 모방한 4개의 합성 단량체를 활용

* MMA(소수성탄소사슬), 2-EHMA(극소수성가지형 탄소사슬), 3-SPM(이온성, (salt)), OEGMA(친수성에틸글리콜기)


< 4개 합성 단량체의 화학 구조식과 특성 >

 

MMA(소수성)

2-EHMA(극소수성)

3-SPMA(이온성)

OEGMA(친수성)

화학 구조식

methyl(탄소사슬)- methacrylate

2-ethylhexy(가지형 탄소사슬)- methacrylate

3-sulfopropyl ​  methacrylate ​  potassium salt(염)

oligo-ethyleneglycol(에틸글리콜)-methacrylate

methyl(탄소사슬)- methacrylate

2-ethylhexy(가지형 탄소사슬)methacrylate

3-sulfopropyl 

methacrylate 

potassium salt()

oligo-ethyleneglycol(에틸글리콜)-methacrylate

출처: Nature, Population-based heteropolymer design to mimic protein mixtures, 2023.03

 

○ 4개의 합성 단량체로 대체하여 만들어진 단백질 단편을 무작위로 혼합하여 랜덤 이종고분자(RHP, Random Heteropolymer) 7종을 합성

이렇게 합성된 RHP는 생물학적 유체 내 단백질 혼합물의 특성을 모방하는 것으로 분석되며인공적 물질에서 생명으로의 변환을 실현하기 위한 규칙을 제공

※ 아래 그림과 같이 7종의 RHP를 겉보기 소수성(PC1)과 합성 단량체 서열(PC2)로 맵핑한 결과생물학적 유체의 막 단백질(녹색 점)과 구 단백질(주황색 점)의 특성을 반영하여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 7종의 RHP의 화학적 특성 범위 분석 >

7종의 RHP의 화학적 특성 범위 분석

출처: Nature, Population-based heteropolymer design to mimic protein mixtures, 2023.03

 

■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모방한 이종고분자 합성은 생체환경과의 호환성을 높여 다양한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

○ 천연 단백질과 유사성이 높은 이종고분자 조합(앙상블, ensemble)은 번역 중 단백질 접힘(folding) 도와주어 단백질의 열 안정성을 향상시켜 체액의 많은 단백질의 기능을 유지하도록 지원

※ 혈청을 냉장 보관할 필요 없이 상온에서도 단백질 구조 파괴 없이 안정하게 보관 가능

○ 플라스틱이라고도 하는 합성 고분자는 부피 기준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는 소재로이종고분자 조합은 환경과의 호환성을 고려한 차세대 플라스틱 설계에 대해서도 친환경적인 접근방식을 제시

생물학적 유체 내 단백질 혼합물의 특성을 이종고분자 조합으로 구현함으로써 바이오/비바이오틱(bio/abiotic) 하이브리드 소재를 엔지니어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