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단일염기편집기술(Base editing)로 척수성근위축증을 영구적으로 치료

  • 등록일2023-05-23
  • 조회수2579
  • 분류생명 > 생물공학
  • 발간일
    2023-05-23
  • 키워드
    #단일염기편집기술#Base editing#척수성근위축증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단일염기편집기술(Base editing)로 척수성근위축증을 영구적으로 치료

BioINwatch(BioIN+Issue+Watch): 23-37

 

◇ 최근 Science에는 신생아 사망 관련 유전질환 중 주요 원인인 척수성 근위축증(SMA, Spinal Muscular Atrophy)을 단일염기편집기술로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 SMA 마우스 모델에서 관련 유전자의 단일염기편집으로 정상 단백질 발현을 복원하여 근육 기능 개선 및 수명 연장 효과를 관찰. 더욱이 1회 단일염기편집에 의해 영구적 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을 주목

▸주요 출처: Science, Base editing rescue of spinal muscular atrophy in cells and in mice, 2023.4.21

  

■ 신생아 사망 관련 유전질환 중 주요 원인인 척수성 근위축증(SMA, Spinal Muscular Atrophy)을 단일염기편집기술로 치료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한 연구결과가 Science에 발표

○ 척수성근위축증(SMA)은 운동신경세포(모터뉴런)에 필요한 SMN*이라는 단백질 결핍으로 발생

운동신경세포의 사멸 시근육은 신경자극을 받지 못해 점차 위축되고 소멸

* SMN(Survival Moter Neuron)은 뇌와 척수로부터의 신경자극을 근육으로 전달하는 운동신경세포의 유지와 생존에 중요한 단백질

○ SMN 단백질은 SMN1 유전자에 의해 만들어지는데이 유전자의 결함 또는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정상 SMN 단백질이 생성되지 않아 척수성 근위축증이 발생


SMN1 과 SMN2의 차이 >

SMN1 과 SMN2의 차이

◀ SMN2라는 SMN1의 복제본 (Copy)이 발견유일한 차이점은 7번 엑손의 6번째 염기가 원래 C에서 T로 치환

 이로 인해 RNA 이어맞추기(RNA splicing) 오류가 발생하여 비정상 SMN2단백질생성

 SMN2단백질은 급속히 분해되어 SMN1 유전자의 결함이나 돌연변이를 보완하지 못함

출처: Science, Base editing rescue of spinal muscular atrophy in cells and in mice, 2023.4.21.


■ 기존에 허가된 2종의 SMA 치료제(스핀라자졸겐스마)는 정상 SMN 단백질 발현양을 상당 수준 복원하나단일염기편집기술은 비표적 문제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영구 치료가 가능하다는 장점 보유

○ 스핀라자(바이오젠)는 SMN2 7번 엑손의 손실을 막는 anti-sense RNA 치료제정상 SMN 단백질을 생성하는 치료제

희귀질환인 SMA에 대한 최초의 치료제로 FDA 승인(2016.10)을 받았으나시간이 지나면서 약효가 감소해 4개월 주기의 반복 투여 필요

○ 졸겐스마(노바티스)는 정상 SMN1 유전자가 도입된 재조합 AAV* 벡터 기반의 유전자치료제로 FDA 승인(2019.5)을 받았으며, 1회 정맥 투여로 평생 치료가 가능

* AAV(Adeno-Associated Virus): 아데노부속바이러스는 생체 내(in vivo) 유전자를 전달하는데 최적화된 바이러스 벡터

- 1회 투여로 영구 치료는 가능하나내인성 유전자 발현의 복원이 아닌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해 재조합 유전자를 게놈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치료


 단일염기편집기술은 SMN2 유전자를 정상 SMN1 유전자로 효율적으로 교정하여 체내 고유(내인성) 유전자 발현을 복원

○ 단일염기편집기(AAV9-ABE*)를 SMA 마우스 척수강 내 주입한 결과중추신경계에 형질도입된 세포 중 SMN2 C6T 변이의 평균 87%가 교정

* AAV9-ABE(Adenine Base Editor) : 아데닌 염기 편집기를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삽입된 AAV9 벡터

 

아데닌 염기편집기 작동원리 >

아데닌 염기편집기 작동원리

◀ 염기편집기는 아데닌염기편집기(AG로 교정)와 시토신염기편집기(CT로 교정)만 존재

 아데닌염기편집기를 활용하여 티민(T)의 짝염기인 아데닌(A)구아닌(G)으로 교정하면 T-A 염기쌍을 C-G 염기쌍으로 교정 가능

 SMN2 점돌연변이를 정상 SMN1 유전자로 교정하여 정상(full-length) SMN 단백질 발현을 복원

출처: Science, Base editing rescue of spinal muscular atrophy in cells and in mice, 2023.4.21.

 

○ 아데닌 염기편집기가 투여된 SMA 마우스의 근육 기능이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으며수명 연장 효과를 관찰

뉴시너센스(스핀라자의 성분명) 단독 투여된 SMA 마우스의 수명은 대조군 대비 12일 연장된 반면에,

단일염기편집기와 뉴시너센의 1회 동시 투여한 경우에 수명은 대조군 대비 60일 연장

 

단일염기편집에 의한 SMA 마우스의 근육기능 개선 및 수명연장 효과 >

단일염기편집에 의한 SMA 마우스의 근육기능 개선

◀ 아데닌 염기편집기가 투여된 SMA 마우스 그룹(AAV9-ABE)의 근육 기능이 정상 마우스(Healthy)와 거의 유사한 것으로 관찰

 기존에 승인된 SMA 치료제 졸겐스마 (Zolgensma), 리스디플람(Risdiplam) 비해 높은 효과를 보임

수명연장 효과

▲ SMA 마우스의 평균 수명이 대조군(untreated) 17뉴시너센(스핀라자의 성분명)만 1회 투여한 실험군(AAV9-GFO + nusinersen) 29일 대비 AAV9-ABE와 뉴시너센 동시 1회 투여한 실험군(AAV9-ABE + nusinersen)에서 평균 77일로 연장

출처: Science, Base editing rescue of spinal muscular atrophy in cells and in mice, 2023.4.21.

 

○ 1회 단일염기편집으로 체내 고유의(내인성) SMN2 유전자를 정상 SMN1 유전자로 영구 복원하여 기존 치료법의 한계를 극복

단일염기편집으로 내인성 유전자의 SMN 전사체 및 단백질 발현 수준을 정상세포 수준으로 완전히 복원함과 동시에 비표적(off-target) 문제를 최소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