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바이오 분야의 AI(인공지능) 특허 현황
- 등록일2023-06-27
- 조회수4526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발간일
2023-06-27
-
키워드
#바이오#AI(인공지능)#특허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바이오 분야의 AI(인공지능)특허 현황
BioINwatch(BioIN+Issue+Watch): 23-46
◇ 미국 특허청(USPTO)은 바이오(생명공학) 분야 특허에서 AI의 특성, 진화 및 확산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발표. 바이오 분야에서 AI 특허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미국의 특허 출원이 양적으로 크게 앞서고 있지만 그 뒤로 중국, 한국, 독일, 일본, 영국 순으로 특허를 출원한 것으로 조사 ▸주요 출처 : USPTO, AI in Biotechnology, 2022.9. |
■ 미국 특허청 수석 이코노미스트실(USPTO OCE)은 2021년 8월까지 공개된 AI 특허 데이터세트(AI Patent Dataset; AIPD)를 활용하여 생명공학 (바이오) 분야에서의 AI 활용 현황을 조사
○ (AI기술 정의) USPTO OCE는 머신러닝 방법론을 사용하여 인공지능 특허 데이터세트를 생성하였으며,
- 8가지 AI 구성 기술(지식 처리, 음성, AI 하드웨어, 진화적 계산, 자연어 처리, 머신러닝, 컴퓨터 비전, 계획/제어)을 사용하여 AI를 정의
※ AI 특허 데이터세트(AI Patent Dataset; AIPD, 2021.8월) : 1976~2020년까지 AI 관련 8개 구성기술을 포함한 특허 데이터(특허 건별로 여러 구성기술 할당 가능)
출처 : Th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Identify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vention: A Novel AI Patent Dataset, 2021.1
< AI 기술 분류(세부내용 붙임 참고) >
○ (전체 AI 특허) 1976년 AI 관련 특허가 출원되기 시작하여 2020년 약 17.5%가 AI 관련 기술을 포함한 것으로 조사
- 상위 30대 AI 관련 주요 발명자(출원기관)는 뱅크 오브 아메리카, 보잉, 제너럴 일렉트릭 등 일부 기업을 제외하고 대부분 정보통신기술 부문의 기업
< AI 관련 미국특허 출원 건수 및 점유율 추세(1976~2020년) >
미국 특허 제10,704,108호 악성 신경교종에서 이소시트레이트 탈수소효소 및 기타 유전자의 유전적 변화 (존스 홉킨스 대학 및 듀크 대학) | 미국 출원 제17/265,708호 단백질 구조 결정을 위한 머신 러닝 (DeepMind Technologies Limited 출원)
|
< 생명공학 분야의 AI 특허 예시 >
○ (생명공학 AI 특허의 정의) 미국 특허청 Technology Center 1600 (TC1600)의 "Biotechnology and Organic Chemistry(생명공학 및 유기 화학)*"에 속하는 것으로 정의
* 분리 및 재조합 단백질/효소, 제초제, 약물, 생물정보학, 재조합 DNA 및 RNA, 면역학, 유전자 조절, 약물 전달 등 포함
- 본 분석에서 생명공학 AI 특허는 AI 특허데이터(AIPD)에서 생명공학 관련 심사를 담당하는 TC1600에서 심사되는 경우 생명공학 AI 특허로 분류
※ 식물분야 특허의 경우 AIPD에서 분류되지 않아 본 분석대상에서 제외됨
■ 전체 기술 분야 대비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이지만 생명공학에서도 AI가 점점 더 많이 활용되는 추세
○ 2020년 기준 전체 분야 특허 출원 건의 약 17.5%가 AI를 포함하고 있으며, 생명공학 출원 중 AI를 포함하는 특허는 약 3.5%로 조사
< 생명공학 분야의 AI 특허 출원 건수 및 점유율 추세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