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새로운 발견을 이끌 우리 몸 속 세포 지도(아틀라스)

  • 등록일2023-07-25
  • 조회수4011
  • 분류생명 > 생명과학,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새로운 발견을 이끌 우리 몸 속 세포 지도(아틀라스)

BioINwatch(BioIN+Issue+Watch): 23-53

 


◇ HuBMAP 이니셔티브는 인간의 태반(placenta), 장(intestine), 신장(kidney)에 있는 모든 세포를 지도화하여 생성한 단일세포 아틀라스를 Nature 최신호에 발표. 우리 몸 속 세포 지도는 질병과 관련된 세포의 공간적 위치를 정의하고 생체분자 변화를 규명하여 질병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 Nature, Cell-level reference maps for the human body take shape, 2023.7.19


 

Nature 표지(VOL 619, ISSUE 7970, 2023.7.20)

* Nature 표지(VOL 619, ISSUE 7970, 2023.7.20)


■ 2018년 시작된 인간 생체분자 아틀라스 프로그램(HuBMAP)*의 최근 성과와 노력에 대해 Nature 최신호와 컬렉션에서 소개

    * HuBMAP(Human Biomolecular Atlas Program)은 미국 NIH의 Common Fund 프로그램 중 하나로 2018년부터 시작

○ 인체를 이루는 수조 개 세포는 동일한 유전체 정보를 지니고 있지만, 발현되는 유전자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조직과 장기를 형성

- 조직, 장기별로 세포의 유형과 유전자 발현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면 정상 조직과 질병 조직 사이의 차이가 어디에서 기인하는지와 같은 질문에 답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이에 HuBMAP는 인체 조직과 장기에 걸쳐 분포하는 생체분자(유전체, 전사체, 대사체 등)를 단일세포 수준에서 지도화하고,

- 지도 작성에 필요한 기술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


■ 조직, 장기별로 세포의 유형과 유전자 발현 패턴을 분석하기가 힘들었지만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단일세포 분석기술을 통해 각 세포의 생체분자 프로파일 분석이 가능해짐

○ 단일세포 전사체학(single cell transcriptomics)은 단일세포 내 모든 RNA를 식별하여 각 세포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분석

- 최근 여기에 공간적 개념을 추가하여 조직 내, 세포 내에서의 서로 다른 패턴을 분석하는데, 공간적 방법(spatial methods)은 시퀀싱 기반과 이미징 기반 접근법으로 크게 구분

○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시퀀싱 기반 공간 분석방법 중 하나는 공간 전사체학 (spatial transcriptomics)으로, voxel로 위치가 지정된 슬라이드와 해당 위치에 따른 고유한 분자 바코드(molecular barcode)를 포함한 짧은 뉴클레오타이드를 결합시켜 분석

- 세포 내부 해상도(subcellular resolution)까지 가능한 이 기술의 최신 버전은 위치가 알려진 분자 바코드 비드를 사용

- 조직 외부에서 RNA 시퀀싱을 수행하고 각 RNA 시퀀스에 부착된 바코드를 사용하여 공간 정보를 재구성

○ 이미징 기반 방법은 단일세포 수준에서 단백체 또는 전사체의 상대적 양을 정량화

- 단백질을 이미지화하기 위해 중금속 동위원소(MIBI 기술) 또는 DNA 바코드 (CODEX 기술)가 부착된 항체를 사용하는데,

- 중금속 동위원소는 질량 분석기를 사용하고 DNA 바코드는 형광 프로브 결합을 파악하기 위해 형광 현미경을 사용

○ 위와 방법을 사용하면 각 세포에서 발현되는 단백질을 정확하게 정량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직의 구조를 분석 할 수 있음

- 하지만 분석 대상인 단백질을 미리 알고 있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수십 개의 단백질만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는 한계 존재


■ 최근 HuBMAP 이니셔티브는 위에서 설명한 3가지 기술을 통해 인간의 태반(placenta), 장(intestine), 신장(kidney)에 있는 모든 세포를 지도화 하여 생성한 단일세포 아틀라스를 Nature 최신호에 발표

○ MIBI를 사용하여 인간 태반, 특히 태아 태반과 모체 자궁벽 사이 경계면의 단일세포 지도를 확보

여러 발단 단계의 지도 분석을 통해 유전적으로 다른 태아 태반세포와 모체 면역세포가 어떻게 평화롭게 공존하는지에 대해 혈액을 공급하는 모체 동맥에 일어나는 변형을 발견

○ 다른 연구에서는 CODEX를 사용하여 길이에 따라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나타내는 복잡한 기관인 장의 8개 위치를 지도화

장의 위치에 따라 세포 구성이 급변한다는 것과 함께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상피세포의 세부 유형과 필요 시 면역세포가 쉽게 활성화될 수 있는 세포도 발견

- 이러한 발견은 장의 특수한 해부학적 영역이 고유한 기능을 가진 고도로 구조화된 공간 niche에 의해 뒷받침된다는 것을 제시

○ 또 다른 연구팀은 시퀀싱 기반의 공간 전사체학(spatial transcriptomics)을 통해 건강한 신장과 병으로 손상된 신장을 분석

- 손상된 신장에서 세뇨관 형성을 방해할 수 있는 이전에 확인된 적 없는 부적응 세포의 위치를 확인하였고, 이 부적응 세포가 섬유화 및 염증세포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관찰


[ 3가지 기술로 생성된 단일세포 아틀라스 ]

3가지 기술로 생성된 단일세포 아틀라스

a MIBI라는 기술을 사용하여 태아 태반과 모체 자궁벽 사이 경계면을 매핑

b CODEX라는 기술을 사용하여 장의 여러 위치를 매핑

c 공간 전사체 분석기술을 사용하여 신장을 매핑


출처 : Nature, Cell-level reference maps for the human body take shape, 2023.7.19



■ Nature 컬렉션은 HuBMAP에서 생성된 연구결과, 데이터 세트, 방법 및 도구를 소개하며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

○ 첨단의 공간 분석기술에 의해 전례 없는 해상도로 조직과 장기를 분석하여 세포지도를 생성하고 표준화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고 설명

- HuBMAP 아틀라스는 질병과 관련된 세포의 공간적 위치를 정의하고 특정 유전자 변이를 질병에 연결하여 질병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공간 기술의 폭과 깊이를 늘리면 궁극적으로 건강과 질병의 세포 구성과 기능 사이에 강력한 연관성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미래를 내다보는 이러한 연구는 공간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할 이유라고 강조

※ 2D로 수행된 연구에서 3D 재구성으로 이동해야 하며, 분석 샘플의 수도 증가해야 하지만 다른 질병 정보와 공간 구성을 연관시킬 필요


[ 줄기세포 관련 Nature Outlook 컬렉션의 주요 내용 ]

줄기세포 관련 Nature Outlook 컬렉션의 주요 내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