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유전체편집기술로 질병 저항성과 생산량이 증가된 벼품종 개발
- 등록일2023-08-01
- 조회수2489
- 분류생명 > 농림수산식품학, 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제품 > 바이오식품
-
발간일
2023-08-01
-
키워드
#유전체편집기술#질병저항성#생산령#벼품종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유전체편집기술로 질병 저항성과 생산량이 증가된 벼품종 개발
BioINwatch(BioIN+Issue+Watch): 23-55
◇ 농작물의 유전자는 오랜 시간에 걸쳐 원하는 형질로 순화(domestication) 되지만 유전체편집기술로 원하는 형질을 갖는 품종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개량하는 시대가 도래. 최근 연구에서 1,500개 이상의 병변모방 돌연변이에 대한 대규모 NGS 분석과 유전자편집기술을 활용하여 도열병에 강하고, 생산량이 증가된 품종을 개발 ▸주요 출처 : Nature, Genome editing of rice CDP-DAG synthase confers multipathogen resistance, 2023.6.14 |
■ 농작물의 유전자는 오랜 시간에 걸쳐 원하는 형질로 순화(domestication) 되어 왔지만 유전체편집기술(genome editing)로 원하는 형질을 갖는 품종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개량하는 시대가 도래
○ 중국의 화중 농업대학 연구팀은 식물의 중요한 면역반응 중 하나로, 식물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는 병변모방 돌연변이(LMM)* 유전자들을 발굴
* 병변모방돌연변이(LMM, lesionmimicmutant)는 병원균에 감염되지 않은 주변세포가 감염세포의 병변을 모방해 면역체계를 작동시켜 스스로 사멸함으로써 감염의 확산을 방지하는 돌연변이
- 연구팀은 1,500개 이상의 병변모방 돌연변이의 유전체를 분석하여 도열병 (rice blast)균*에 저항성을 갖는 유전자 RBL1**을 발견
* 진균(곰팡이)인 마그네포르테 오리제(Magnaporthe oryzae)가 주요 병원균으로 감염 시 갈색 병반을 보이며 말라죽는 병으로, 매년 전 세계적으로 발병하여 쌀 수확량의 10∼30%를 감소시킴
** 도열병 감염균이 숙주 내로 침투할 때 필요한 단백질로, 외막 합성에 중요한 효소
○ 또한 연구팀은 유전체편집기술을 활용하여 야생형 대비 벼도열병에 대한 저항성과 수확량이 5배 증가한 품종을 효율적으로 개발한 결과를 발표
- 야생형 벼에 유전체편집기술을 활용하여 RBL1 유전자를 무작위 삭제한 다양한 돌연변이(총57종)를 제작하여 도열병 감염균을 접종하여 개체 당 병반(조직 사멸) 비율과 낟알 생산성을 측정
- 이를 통해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을 보이는 동시에 5배 많은 낟알을 생산하는 RBL1△12(RBL1 유전자 9번째 엑손의 12개 염기가 결실) 품종을 개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美 OSTP, 미래 바이오 인력 구축을 위한 바이오기술 및 제조 일자리 경로 확대 계획 수립
-
다음글
- GUINEA PIGBOTS : 행동 연구에서 AI 챗봇이 인간을 대체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