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합성배아(배아모델)의 티핑 포인트를 준비하기 위한 논의 필요성 제기

  • 등록일2023-08-31
  • 조회수1729
  • 분류생명 > 생명과학,  생명 > 생물공학,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발간일
    2023-08-31
  • 키워드
    #합성배아#티핑포인트#논의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23-62(8.31)●합성배아(배아모델)의 티핑 포인트를 준비... (다운로드 8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차트+ ? 차트+ 도움말

합성배아(배아모델)의 티핑 포인트를 준비하기 위한 논의 필요성 제기

BioINwatch(BioIN+Issue+Watch): 23-62


◇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합성배아(배아모델)은 초기 배아 발달의 일부 특징을 재현하여 발달 결함이나 임신 손실 등의 연구에 활용할 수 있지만, 과학적 진보가 실제 배아와 배아모델 사이의 생물학적, 윤리적, 법적 격차를 좁히고 있어 새로운 정의나 윤리체계의 필요성이 제기

▸주요 출처: Nature News, Most advanced synthetic human embryos yet spark controversy, 2023.6.20.; Nature News, What is an embryo? Scientists say definition needs to change, 2023.8.18.; Cell, An ethical framework for human embryology with embryo models, 2018.8.17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합성배아(배아모델) 연구 트렌드를 반영하여 인간배아에 대한 새로운 정의 및 인간 배아모델의 윤리체계 논의를 제안

○ 오스트리아 IMBA(Institute of Molecular Biotechnology,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Nicolas Rivron 교수* 연구팀은 최근 인간 배아모델**의 윤리 체계에 관한 논문을 발표

※ Cell, An ethical framework for human embryology with embryo models, 2018.8.17

* 2018년 마우스의 배반포(blastoid) 유사체 제작에 성공한 연구결과를 발표(Nature, Blastocyst-like structures generated solely from stem cells, 2018,5.2). 배아모델 연구의 주요한 과학자

** 불완전하지만 줄기세포를 통해 자연적 프로그램으로 실행되며, 합성배아(synthetic embryo)라는 용어는 완성형의 배아를 암시하여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어 ISSCR은 합성배아 대신 배아모델(embryo model)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도록 권고하며 저자 또한 이에 동의


○ 논문에서는 인간 배아모델의 발전으로 인간배아의 법적 정의를 재검토할 필요성을 제기

배아 외 태아 형성에 필수적인 지원 환경(자궁)도 정의에 포함해야 한다고 설명

※ 인간배아에 대한 정의는 "배아 외 및 자궁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에 의해 지원되는 인간세포 그룹으로, 이들이 결합하여 태아를 형성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the potentiality of cells to develop into a fetus should take into account both an intrinsic developmental potential and an absolute requirement for support normally provided at least by the extraembryonic cells and the uterine environment)"고 제안


○ 아직 태아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 배아모델은 없지만, 향후 태아 형성 가능성에 대한 티핑 포인트를 통과하면 배아로서의 완전한 자격을 갖도록 제안

- 태아 형성 가능성이 없는 한 "배아모델(embryo models, embryonic models)" 또는 "줄기세포 기반 배아모델(stem cell-based embryo models)"이라는 용어 사용을 제안

티핑 포인트는 아래와 같은 경우에 배아와 동등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제안

※ (1) 윤리적, 규제적 고려사항에 따라 결정되는 시점까지 체외에서 정상적으로 발달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입증된 경우, (2) 동등한 동물 배아모델이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예: 돼지, 원숭이)을 포함하여 여러 종에서 살아 있고 가임력이 있는 동물을 형성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입증된 경우


○ 마지막으로 기본적인 윤리 원칙을 제안하면서 폭넓은 논의를 제안

- 이러한 논의는 (1) 인간 통합 배아모델의 체외배양 기간에 어떤 제한을 둘 것인지, (2) 완성도가 다른 배아모델을 사용하는 과학적, 의학적 목표의 정당성은 무엇인지, (3) 줄기세포를 이용한 인간배아 연구가 바람직한 대안이 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할 것으로 전망


배아모델에 대한 기본적인 윤리 원칙의 적용 가능성 ]

  •  인간 배아모델은 비정상적으로 발달하여 해를 끼칠 수 있는 위험 때문에 동물이든 사람이든 자궁으로 이식해서는 안된다(ISSCR 가이드라인에서 시행 중).

  •  인간 배아모델 배양에 대한 윤리위원회의 심의 허가는 잠재적 이익의 비례적 증가를 요구해야 한다.

  •  특정 기간 동안 인간 배아모델을 배양하기 위한 윤리위원회의 심의 허가는 배아모델의 적절성목적의 정당성기술적 타당성국내 및 국제적 가치와의 일관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  특정 목표를 위해 필요 이상으로 완전한 배아모델을 만들면 동일한 이점을 얻을 수 있지만 더 많은 우려를 야기할 수 있다따라서 가능하면 덜 완전한 모델을 우선시해야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