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전기 자극에 의한 유전자 스위치로 작동하는 인슐린 임플란트
- 등록일2023-09-12
- 조회수1833
- 분류생명 > 생명과학, 생명 > 생물공학,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발간일
2023-09-12
-
키워드
#전기자극#인슐린#임플란트#스위치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전기 자극에 의한 유전자 스위치로 작동하는 인슐린 임플란트
BioINwatch(BioIN+Issue+Watch): 23-65
◇ 약간의 전류로 인슐린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여 혈중 인슐린과 혈당 수치를 제어하는 ‘인슐린 임플란트’에 관한 연구결과가 발표. 전기적 자극을 통해 특정 유전자를 켜거나 끄는 ‘전기적-유전적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유전질환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용 임플란트,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될 경우 실시간 투약을 포함한 유전자 및 세포 기반 치료법에도 유용할 것으로 전망 ▸주요 출처 : Nature, Experimental insulin implant uses electricity to control genes, 2023.8.1.; Nature Metabolism, An electrogenetic interface to program mammalian gene expression by direct current, 2023.7.31 |
■ 최근 전기적 자극을 통해 특정 유전자를 켜서 생물학적 과정을 제어하는 ‘전기적-유전적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결과가 발표
○ 세포 내 중요한 신호 분자이자 유전자 발현의 조절자로 기능하는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작용 원리를 이용하여 인슐린 유전자 발현을 유도
- ROS는 대사과정 중에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세포에 직접 전류를 가해서 생성 가능
○ 연구팀은 ROS에 반응하여 작동하는 합성 프로모터 서열 뒤에 인슐린 유전자를 배치한 리프로그래밍 세포를 제작
- 합성 프로모터 서열은 산화 스트레스 조건하에서 항산화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는 반복적인 항산화 반응 서열로 구성
○ ROS 생성을 위해 세포에 약한 전류를 가하자 인슐린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in vitro 실험을 통해 관찰
- 방출되는 인슐린의 양은 전류를 가하는 시간과 강도에 비례하나, 일정 수준 이상을 넘어갈 경우 세포의 생존률과 인슐린 발현량이 급감
■ 연구팀은 마우스 in vivo 실험을 통해서도 인슐린 임플란트가 제대로 기능하는 것을 확인
○ 위와 같이 리프로그래밍된 인간세포를 미세캡슐에 넣어 고혈당이 있는 마우스에게 이식한 후,
- 전기장치와 니들을 사용하여 피부 바로 아래 있는 미세캡슐에 전류를 전달
○ 이식된 미세캡슐 내 세포에 전기 자극이 전달되었을 때 마우스의 혈중 인슐린 수치가 증가했으며 혈당 수치가 정상 수준으로 변화
- in vitro 실험과 같이 방출되는 인슐린의 양은 전류를 가하는 시간과 강도에 비례했으며, 주변 조직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