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뇌질환 커뮤니케이터, 두개골(skull) 골수세포
- 등록일2023-10-26
- 조회수2084
- 분류생명 > 생명과학, 생명 > 생물공학
-
발간일
2023-10-26
-
키워드
#뇌질환#두개골#골수세포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뇌질환 커뮤니케이터, 두개골(skull) 골수세포
BioINwatch(BioIN+Issue+Watch): 23-74
◇ 두개골 골수세포의 독특한 분자(전사체, 단백체) 프로파일이 염증 관련 뇌 병리(brain pathologies)를 반영한다는 사실을 발견. 이를 통해 뇌졸중, 알츠하이머병 등 두개골 분자 프로파일과 염증신호를 이용하여 최소 침습적 뇌질환 진단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치료 타겟을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Science News, Bone marrow in the skull could be used to monitor Alzheimer’s, MS and more, 2023.9.5., Cell, Distinct molecular profiles of skull bone marrow in health and neurological disorders, 2023.8.17 |
■ 신경학적 병리(neurological pathologies)를 반영하는 두개골의 독특한 분자(전사체, 단백체) 프로파일을 분석한 연구결과가 발표
○ 독일 헬름홀즈 연구소 연구팀은 뇌염증(brain inflammation) 관련 신경질환에 반응하는 두개골의 새로운 기능을 발견
- 두개골의 골수세포는 뇌졸중, 뇌손상을 반영한 독특한 전사체 프로파일을 제공하는데,
- 대조군 대비 뇌졸중, 뇌손상 그룹에서 적혈구 감소, 백혈구 증가와 함께 호중구(neutrophils)*의 비율이 현저히 증가
* 백혈구의 약 60%를 차지하는 포식세포의 일종으로 손상 부위의 급성 염증반응 및 선천면역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면역세포
| 골수(bone marrow)세포의 기능 및 분화 과정 |
|
|
| |
◇ 골수(bone marrow) ▪︎ 뼈 내부에 있는 연한 조직으로 태아 때부터 평생동안 조혈 기능을 담당하여 골수 내 조혈모세포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을 생성 ◇ 골수 내 조혈모세포(혈구아세포)의 분화 과정
▪︎ 면역을 담당하는 백혈구는 호염구, 호중구 (중성구), 호산구, 림프구, 단핵구로 세분 ▪︎ 호중구와 단핵구(대식세포)는 식균작용을 하는 선천성 면역에 관여 ▪︎ 림프구는 B 세포, T 세포, NK 세포로 분류 |
○ 두개골 골수세포 단백체 프로파일은 뇌와 매우 유사하며, 특히 뇌신경 시냅스와 시냅스 신호 관련 단백질의 발현 수준이 다른 뼈(척추·골반 뼈)에 비해 높은 편
- 이러한 결과는 두개골과 뇌 사이에 신경전달물질 기반의 양방향 의사소통이 원활함을 시사하는데,
- 두개골 골수면역세포가 두개골-뇌수막 연결(Skull-Meninges Connection, SMC)을 통해 뇌로 이동 및 집결하는 것을 관찰
○ 또한 이번 연구에서는 두개골-뇌수막 간 면역세포 이동을 촉진하는 500개 이상의 두개골-뇌수막 연결(SMC) 통로를 발견하고 정량화
- 마이크로컴퓨터 단층촬영(micro-CT)으로 해부학적 수준에서 SMC의 존재를 확인하고 특성을 분석
※ 대체로 폭이 40~90um 이나 일부 150um 이상의 SMC는 종종 큰 혈관이나 이중 정맥(diploic vein, 두개골의 크고 얇은 벽의 판막이 없는 정맥)을 둘러싸고 있음
< 두개골-뇌수막 연결 통로(SMC)를 보여주는 micro-CT 영상 >
▲︎ 면역형광법으로 골수세포(blue 형광)와 정맥혈관(pink 형광)을 micro-CT로 이미징. 두개골- 뇌수막(dura) 연결 통로인 SMC의 존재 확인 |
출처 : Cell, Distinct molecular profiles of skull bone marrow in health and neurological disorders, 2023.8.17.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