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영국, 세계 최초로 크리스퍼 치료제 승인

  • 등록일2023-11-24
  • 조회수2918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제품 > 바이오의약
  • 발간일
    2023-11-23
  • 키워드
    #크리스퍼 캐스9 치료제#카스게비#겸상적혈구빈혈증#베타-지중해성 빈혈증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23-80(11.23)●영국 세계 최초로 크리스퍼 치료제 승인... (다운로드 173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차트+ ? 차트+ 도움말

 영국, 세계 최초로 크리스퍼 치료제 승인

BioINwatch(BioIN+Issue+Watch): 23-80


◇ 영국 의약품 규제청이 CRISPR-Cas9을 활용한 Ex-vivo 골수세포 치료제, ‘카스게비(Casgevy)’의 판매를 세계 최초로 승인(2023.11.16.). 크리스퍼 기술 발견 10년 만에 이룩한 역사적 이정표이나 높은 약가와 비표적 유전자편집에 대해 우려

▸주요 출처: Nature News, UK first to approve CRISPR treatment for diseases: what you need to know, 2023.11.16


 영국 의약품 규제청은 CRISPR-Cas9 유전자편집기술이 적용된 세포치료제, 카스게비(Casgevy,미국 상품명 Exa-cel)의 판매를 세계 최초로 승인

○ 2020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CRISPR-Cas9 기술이 발견 10년 만에 ‘카스게비’ 라는 사상 첫 크리스퍼 치료제로 재탄생

- ‘카스게비’는 유전성 혈액질환인 겸상적혈구빈혈(SickleCellDisease, SCD)과 β-지중해성빈혈(Transfusion-dependent β-Thalassaemia, TDT)증 치료제로,

- 두 가지 병증 모두 혈액 내 산소 운반과 관련된 헤모글로빈 이상에 의해 발생 하는데, 성인 헤모글로빈을 구성하는 β-글로빈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주요 원인


 

인간 발달과정에서 헤모글로빈의 성분변화

 

 

 

  • 성인 헤모글로빈(HbA)은 철(Fe2+)을 포함한 헴(Heme) 색소에 α-글로빈 2β-글로빈 2개가 결합한 단백질로 헤모글로빈 1개 당 4개의 산소(O2)와 결합인간 발달과정에서 헤모글로빈의 성분변화

  • 태아 헤모글로빈(HbF)은 철(Fe2+)을 포함한 헴 색소에 α-글로빈 2γ-글로빈 2개가 결합한 단백질로 태아의 간에서 생성되며 성인 β-글로빈 보다 산소와 더 잘 결합 하여 태반에서 산소가 엄마로부터 태아로 전달될 수 있음

  • 출생 시간에서 태아 헤모글로빈(HbF)의 생성은 중지되고 골수세포가 물려받아 성체 헤모글로빈(HbA)을 생산

출처 Nature, CRISPR-Cas9-mediated gene editing of the BCL11A enhancer for pediatric TDT, 2022.8


○ 특히 BCL11A*는 성인에게서 태아 헤모글로빈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전사인자로 SCD, TDT 등 β-글로빈 이상 질환의 치료 타겟으로 주목

* BCL11A는 태아 헤모글로빈 성분 중 γ-글로빈의 발현을 억제하는 전사인자

카스게비는 BCL11A 유전자를 Cas9으로 제거하여 태아 헤모글로빈의 발현을 촉진하는 전략으로 환자의 β-글로빈 기능을 대체하는 치료제


 환자 골수에서 채취한 조혈모세포에 CRISPR-Cas9을 투입하여 BCL11A의 DNA를 제거 후, 환자의 골수로 다시 주입하는 방식으로 치료

○ BCL11A 유전자가 제거된 조혈모세포가 골수에 생착하면 골수에서는 태아 헤모글로빈이 생성되어 빈혈증이 치료

- 이번 승인은 임상시험 2건(정맥주사로 1회 투여 받은 환자 대상)에서 보여준 제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이 중요하게 작용


○ 45명의 SCD 환자 임상시험(CLIMB-111)에서 중간결과가 도출된 29명 중 28명이 최소 1년 동안 통증이 완전히 개선되었고,

- 54명의 TDT 환자 임상시험(CLIMB-121)에서는 중간결과가 도출된 42명 중 39명이 최소 1년 동안 수혈이 불필요했고 나머지 3명은 수혈 필요성이 70% 이상 감소

※ 임상에 참여한 환자들은 메스꺼움, 피로, 발열, 감염 위험 증가 등의 부작용을 경험했지만, 주목할 만한 안전성 문제는 확인되지 않았음

겸상적혈구증

▲ 겸상적혈구증은 낫 모양의 기형적인 적혈구로 인해 산소 공급이 원활치 않아 빈혈을 유발하고통증을 발생시킴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