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살아 움직이는 생물학적 로봇(Motile living biobots)
- 등록일2023-12-07
- 조회수1793
- 분류종합 > 종합,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발간일
2023-12-07
-
키워드
#생물학적#로봇#바이오봇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살아 움직이는 생물학적 로봇(Motile living biobots)
BioINwatch(BioIN+Issue+Watch): 23-83
◇ 인체 세포 배양을 통해 자가 조직화된 다세포의 생물학적 로봇(biological robot, biobot)이 스스로 움직이면서 손상된 신경조직을 복구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 살아있는 바이오봇은 미래의 바이오의학 또는 조직공학적 응용이 가능하며, 특히 유전적 변형 없이 새로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중요 ▸주요 출처 : Nature News, Tiny robots made from human cells heal damaged tissue, 2023. 11. 30; Advanced Science, Motile Living Biobots Self-Construct from Adult Human Somatic Progenitor Seed Cells, 2023. 11. 30 |
■ 인체 세포 배양을 통해 자가 조직화된 다세포의 생물학적 로봇(biological robot, biobot)이 스스로 움직이면서 손상된 신경조직을 복구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
○ 이를 인류로봇(Anthrobot)이라 이름 붙인 연구팀은 직경이 30∼500미크론(micron)의 구 모양이며, 섬모로 움직이는 다세포의 바이오봇(biological robot, biobot) 플랫폼을 소개
- 연구팀은 바이오봇을 만들기 위해 인체 기도 조직(airway tissues)의 전구세포 (progenitor cells)를 선택하였는데, 전구세포의 자가 조직화(self-organizing) 특성과 기도 조직 내 섬모(cilia)를 이용한 것이 이 연구의 핵심
- 더불어 세포 내부가 아닌 외부에 섬모가 형성되도록 유도하고, 형태적 다양성을 확보하여 자발적인 운동 능력을 나타낼 수 있도록 배양* 프로토콜을 개발
* 세포외기질(extra cellular matrix)에서 2주간 배양한 후 점성이 낮은 배양 환경으로 옮겨 1주 더 배양하여 섬모가 바깥을 향하도록 유도
○ 바이오봇은 섬모가 코팅된 상태로 구형, 타원형 등의 여러 형태로 자라는데, 다양한 운동 패턴은 형태적 다양성과 상당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
- 특히, 섬모는 바이오봇이 움직일 수 있는 노(oars) 역할을 하며, 일부는 직선으로, 다른 일부는 원이나 원호를 그리면서, 또 다른 일부는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등 다양한 운동 패턴을 관찰
■ 바이오봇은 시험관 내 배양된 인간 신경세포를 가로질러 이동하고, 손상된 신경세포를 빠르게 복구한다는 것을 확인
○ 바이오봇의 치료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손상된 뉴런*을 만든 뒤, 여기에 바이오봇을 두자 스스로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손상된 신경세포를 복구
* 인간 유도 신경줄기세포(human induced neural stem cells, hiNSCs)에서 유래한 인간 뉴런의 2D층을 형성한 뒤, 뉴런 층을 기계적으로 긁어 400∼1000 미크론 정도의 스크래치를 형성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공학생물학(Engineering Biology)을 위한 국가비전 발표
-
다음글
- “유선”의 화학적 시냅스가 아닌 “무선”의 뉴로펩타이드 신경망이 새롭게 발견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