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세포질 DNA 센싱에서 시작되는 새로운 면역 기전

  • 등록일2024-01-23
  • 조회수2307
  • 분류생명 > 생명과학,  생명 > 생물공학
  • 발간일
    2024-01-23
  • 키워드
    #DNA센싱#cGAS#MRN복합체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24-6(1.23)●세포질 DNA 센싱에서 시작되는 새로운 면역... (다운로드 165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차트+ ? 차트+ 도움말

세포질 DNA 센싱에서 시작되는 새로운 면역 기전

BioINwatch(BioIN+Issue+Watch): 24-6

◇ DNA가 핵이 아닌 세포질에 존재한다는 것은 감염 또는 핵에 있는 DNA가 손상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최근 연구에서 세포질 DNA를 인식하여 유도되는 면역반응의 새로운 메커니즘을 발견. 평소 비활성 상태로 핵에 머물러 있는 세포질 DNA 센서(cGAS)가 언제, 어떻게 세포질로 이동하는지를 밝힌 이번 연구결과는 향후 암을 예방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Nature, DNA sensing and repair team up against cancer, 2024.1.10.; Nature, MRE11 liberates cGAS from nucleosome sequestration during tumorigenesis, 2024.1.10


 일반적으로 DNA는 핵에 존재하며 핵 외부인 세포질(cytoplasm)에서 발견 되는 DNA는 병원체 감염이나 암을 나타내는 오류 지표(harbinger)로 인식

○ 인체의 방어 기전으로 오류 지표인 세포질 DNA(cytolasmic DNA)를 인식하여 유도되는 면역반응을 통해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파괴

- 이 과정에서 cGAS(cyclicGMP-AMPsynthase)라는 세포질 DNA 센서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

- 하지만 cGAS는 평소에 뉴클레오좀 단백질(히스톤)과 결합된 비활성 상태로 핵에 머물러 있는데, 세포질 DNA를 감지하기 위해 언제, 어떻게 세포질로 이동하는지 밝혀지지 않은 상황


○ 최근 연구에서 핵 내에 있던 cGAS가 어떻게 세포질로 이동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지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이 규명

※ 관련 논문 : Nature, MRE11 liberates cGAS from nucleosome sequestration during tumorigenesis, 2024.1.10.(한국인 과학자인 조민국 박사가 제1저자로 연구 주도)


 이번 연구를 통해 DNA 손상 복구와 cGAS-STING 경로의 연결(link)에 의한 새로운 방어 기전을 발견

○ DNA 이중가닥 손상(double-strand break, DBS)* 복구 신호를 전달하는 복합체 (MRN)의 구성 요소인 MRE11이 cGAS 대신 뉴클레오좀에 결합함으로써 cGAS가 분리되어 핵을 벗어나 세포질로 이동한다는 사실을 밝힘

* DNA 손상은 돌연변이로 이어져 암 등을 유발할 수 있는데, 특히 DNA 이중가닥이 모두 절단되는 DBS는 유전자 손상 중 가장 심각하여 파손 부위가 신속히 복구되지 않을 경우 유전자 불안전성 축적되어 세포 사멸이나 암을 유발

- 세포질로 이동한 cGAS는 면역반응의 중간 매개체인 cGAMP(cyclicGMPAMP)를 합성하고, cGAMP는 인터페론* 발현 촉진자인 STING(StimulatorofInterferonGenes)을 활성화하여 인터페론 매개 면역 반응을 유도

* 사이토카인의 일종으로 다양한 병원체나 암세포에 대응하여 면역 반응을 야기


< DNA 손상 복구 신호전달 복합체MRN complex)에 의한 cGAS-STING 경로 활성화 >

DNA 손상 복구 신호전달 복합체MRN complex)에 의한 cGAS-STING 경로 활성화

◈ (그림 설명) 세포질에 DNA가 존재한다는 것은 감염 또는 핵에 있는 DNA가 손상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DNA 손상(DBS)을 인식하여 복구 신호를 전달하는 MRN 복합체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MRE11이 뉴클레오좀에 대체 결합하면서 cGAS가 분리  활성화된 cGAS는 세포질로 이동  2차 전령체인 cGAMP 생성  인터페론 발현 촉진자(STING) 활성화  인터페론 방출  염증성 선천면역 유도  암세포 등 비정상 세포를 파괴

출처: Nature, DNA sensing and repair team up against cancer, 2024.1.10.


 cGAS가 세포질로 이동하여 시작되는 세포질 DNA 센싱은 결과적으로 MRN, MRE11 활성화를 통해 암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 MRE11은 유방암 마우스 모델에서 cGAS-STING 경로를 활성화시켜 암을 억제하는 반면에, MRE11 돌연변이는 종양세포를 계속 증식시켜 발암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

- 향후 뉴클레오좀과 cGAS를 분리하는 추가적인 메커니즘 여부와 세포질 이동을 돕는 요소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 핵 내 뉴클레오좀이 MRN 복합체 보다 훨씬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cGAS가 뉴클레오좀에 재결합하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에 대한 확인도 필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