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네이처 인덱스(Nature Index) 2023, 우리나라 8위
- 등록일2024-01-30
- 조회수2356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4-01-30
-
키워드
#네이처 인덱스#학술지#우수논문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네이처 인덱스(Nature Index) 2023, 우리나라 8위
BioINwatch(BioIN+Issue+Watch): 24-8
◇ 네이처(Nature)는 전세계 연구기관에서 직전년도에 발표한 우수논문으로 네이처 인덱스(Nature Index)를 발표. 2022년 미국이 우수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국가로, 중국과학원은 연구기관으로 선정. 중국의 약진이 돋보이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지난해에 이어 8위를 유지하였으며, 상위 500위 안에 10개의 국내 기관 포함 ▸주요 출처: Nature Index(www.natureindex.com) Annual tables; Nature Index Annual Tables 2023, 2023.6.15 |
■ 2022년 우수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국가는 미국, 중국, 독일, 영국, 일본 순으로 조사
○ ‘Nature Index’는 2016년부터 세계적으로 우수한 학술지를 선정하고, 저자의 소속기관, 소속국가, 공동저자의 기여도 등을 분석하여 500위까지 순위를 집계
- 직전년도에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국가별, 연구기관별(대학, 기업연구소, 정부연구기관, 헬스케어, NPO/NGO), 연구분야별(Biological sciences, Chemistry, Earth & environment sciences, Health sciences, Physical sciences)로 분석
* 네이처 인덱스 2023부터 Health sciences 분야가 추가되었으며, Life sciences → Biological sciences로 명칭 변경
- 네이처에서 선정한 우수 학술지에 2022.1.1.∼12.31일까지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Share Value*를 분석하여 순위를 발표
* 네이처 인덱스의 Share는 해당 국가 또는 기관의 저자 비율과 논문 당 소속 기관의 수를 고려하여 Share 값을 계산할 때 모든 저자는 논문에 동등하게 기여한 것으로 간주(논문 한 편의 Share는 1.0)
○ 2022년 우수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국가는 미국으로 지난해에 이어 1위를 차지. 우리나라는 지난해에 이어 2022년에도 8위에 위치
- 미국은 Biological sciences, Health sciences 분야에서 1위를 유지 하였지만, Chemistry, Earth & environment sciences, Physical sciences 분야는 중국이 빠른 성장 추세를 보이며 1위를 차지
- 우리나라는 Chemistry, Earth & environment sciences, Physical sciences 분야에서 6위를 보인 반면에, Biological sciences, Health sciences 분야에서는 각각 13위, 12위에 위치
※ 우수 학술지에 발표하는 생명과학, 바이오의학 관련 연구는 미국이 주도하는 가운데 격차가 존재
< 네이처 인덱스 2023 : 국가별 순위 >
순위 | 국가 | Share 2022 | Count 2022 | 순위 | 국가 | Share 2022 | Count 2022 |
1 | United States of America (USA) | 21473.33 | 30503 | 11 | India | 1280.23 | 2012 |
2 | China | 20050.89 | 24536 | 12 | Italy | 1267.14 | 3429 |
3 | Germany | 4554.69 | 9409 | 13 | Spain | 1219.38 | 3330 |
4 | United Kingdom (UK) | 3967.42 | 9057 | 14 | Netherlands | 1115.64 | 3011 |
5 | Japan | 2959.83 | 5044 | 15 | Sweden | 800.1 | 2371 |
6 | France | 2315.72 | 5397 | 16 | Israel | 660.69 | 1393 |
7 | Canada | 1791.24 | 4200 | 17 | Denmark | 574.82 | 1627 |
8 | South Korea | 1635.07 | 2675 | 18 | Singapore | 551.45 | 1366 |
9 | Switzerland | 1421.02 | 3547 | 19 | Taiwan | 452.55 | 1035 |
10 | Australia | 1373.33 | 3510 | 20 | Russia | 448.19 | 1260 |
출처 : Nature Index, 2023 tables: Leading coutries/territories
■ 2022년 상위 5대 글로벌 연구기관은 중국과학원, 미국 하버드대학, 독일 막스프랑크연구소, 프랑스 국립연구센터, 중국과학원대학 순
○ 미국 스탠포드대학에서 지난해 5위였으나 중국과학원대학에 의해 6위로 밀려났으며,
- 상위 10위권 내 중국 대학(중국과학기술대학, 난징대, 북경대, 칭화대 등)이 대거 진입
○ 국내 연구기관은 500위 안에 10개 기관이 포함되었으며, 서울대학교가 60위로 국내 1위를 차지(서울대 순위 : 2019년 69위, 2020년 66위, 2021년 59위, 2022년 60위)
- 상위 500위 안에 포함된 국내 연구기관 수가 2021년 12개 → 2022년 10개로 감소
※ 상위 500위 안에 포함된 국내 연구기관 수는 2015년 이후 10∼13개 수준 : 2015년 13개, 2016년 12개, 2017년 11개, 2018년 13개, 2019년 12개, 2020년 12개, 2021년 12개, 2022년 10개
- 서울대에 이어 KAIST(79위), 연세대(138위), 성균관대(165위), 포항공대(166위), 고려대(218위), IBS(219위), 한양대(343위), KIST(347위)가 포함되었으나, 지난해에 비해 순위가 밀림
※ 2021년에는 서울대에 이어 KAIST(67위), 포항공대(126위), 연세대(147위), 기초과학연구원(180위), 성균관대(187위), 고려대(215위), UNIST(220위), KIST(344위), 한양대(350위), GIST(414위), 이화여대(500위)가 포함
< 네이처 인덱스 2022 vs 2023 : 연구기관별 순위 비교 >
네이처 인덱스 2022 | 네이처 인덱스 2023 | |||||
순위 | 연구기관 | 국가 | 연구기관 | 국가 | Share 2021 | Count 2021 |
1 | Chinese Academy of Sciences(CAS) | China | Chinese Academy of Sciences (CAS) | China | 2065.15 | 6803 |
2 | Harvard University | USA | Harvard University | USA | 1161.62 | 3626 |
3 | Max Planck Society | Germany | Max Planck Society | Germany | 686.29 | 2539 |
4 | French National Centre for Scientific Research(CNRS) | France | French National Centre for Scientific Research (CNRS) | France | 621.55 | 4370 |
5 | Stanford University | USA | University of Chinese Academy of Sciences (UCAS) | China | 589.77 | 2918 |
6 | Helmholtz Association of German Research Centres | Germany | Stanford University | USA | 586.89 | 1865 |
7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MIT) | USA |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China (USTC) | China | 566.94 | 1634 |
8 | University of Chinese Academy of Sciences (UCAS) | China | Nanjing University (NJU) | China | 562.1 | 1336 |
9 |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China (USTC) | China | Peking University (PKU) | China | 557.38 | 2090 |
10 | Peking University (PKU) | China | Tsinghua University | China | 523.99 | 1566 |
출처 : Nature Index, 2023 tables: Leading institutions
■ 바이오 관련 연구분야(Biological sciences, Health sciences)에서는 미국이, 그 외 연구분야(Chemisty, Earth & environment sciences, Physical sciences)에서는 중국이 선두에 위치
○ 우리나라는 화학과 물리과학 분야에서 6위에 위치하며 전분야 순위(8위) 보다 높은 수순을 보이나, 바이오 관련 분야와 지구·환경과학 분야에서는 12∼13위를 차지
- Biological sciences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Share 값 차이는 12.9%로 빠르게 상승한 것으로 조사
※ 이번에 처음 도입된 Health sciences 분야는 Share 값 차이가 없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