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아프리카에 새로운 지평을 열 유전자편집 작물

  • 등록일2024-02-16
  • 조회수1805
  • 분류그린바이오 > 식품기술,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제품 > 바이오식품
  • 발간일
    2024-02-15
  • 키워드
    #유전자편집#GMO규제#품종개량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24-11(2.15)●아프리카의 새로운 지평을 열 유전자편집... (다운로드 115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차트+ ? 차트+ 도움말

 아프리카에 새로운 지평을 열 유전자편집 작물

BioINwatch(BioIN+Issue+Watch): 24-11

◇ 최근 아프리카에서도 유전자편집 작물에 대한 GMO 규제가 완화되는 추세로,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 조작이 간편한 크리스퍼 기술을 활용하여 현지에 적합한 형질을 갖는 농축산물 품종을 개량하는 연구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 중. 그러나 크리스퍼 유전자편집기술을 둘러싼 지식재산권 분쟁이 이러한 아프리카의 노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불투명한 상황

▸주요 출처 : Nature News, CRISPR-edited crops new ground in Africa, 2024.1.25


 최근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지역 환경에 적합한 농축산물 품종 개량을 위한 유전자편집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 중

○ 아프리카 나이로비 케냐타 대학(Kenyatta University)의 스티븐 루노(Steven Runo) 박사는 유전자편집기술을 활용하여 스트리가 헤르몬티카(Striga hermonthica)* 저항성 사탕수수(sorghum) 종자를 개발하는 프로젝트에 착수

* 식물 뿌리에 부착하여 양분과 수분을 흡수해서 작물에 피해를 입히는 기생 식물로, 주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 곡류 작물에 막대한 피해를 일으킴

※ 사탕수수는 아프리카에서 식품, 건축 자재 및 사료로 사용되는 유용한 작물이나 기생 식물인 스트리가에 의해 연간 큰 손실이 초래되는 상황

  • -︎연구팀은 스트리가 헤르몬티카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야생형 사탕수수 3가지 품종을 발견하고, 여기에서 스트리고락톤(strigolactones)* 돌연변이를 확인

* 스트리가 헤르몬티카의 발아를 촉진하는 식물 호르몬의 일종

  • -︎야생형 사탕수수에 크리스퍼(CRISPR) 유전자편집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스트리고락톤 돌연변이를 제작하고, 스트리가 저항성과 생산성이 증가된 종자를 개발하여 시험재배(Field trials)가 진행 중


○ 멕시코 국제 옥수수·밀 연구소와 케냐 농림축산 연구소는 괴사병(necrosis disease)에 저항성을 갖는 유전자편집 옥수수 종자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 중

  • -︎그 외에도 크리스퍼 기술로 제분 직후 산패되는 경향이 감소된 유전자편집 진주기장(pearlmillet), 아플라톡신 생성 곰팡이에 저항성을 갖는 땅콩(ground nuts) 종자도 개발 중


○ 유전자편집 전문기업 Recombinectics의 연구책임자 댄 칼슨(Dan carlson) 박사는 아프리카 소(Cattle) 품종 개량 프로젝트를 수행 중으로,

  • -︎크리스퍼 기술로 우유 생산성과 열과 질병에 내성이 강한 소 품종 개발을 목표


< 기생식물인 스트리가에 저항성을 갖게 된 유전자편집 사탕수수의 시험재배 >

기생식물인 스트리가에 저항성을 갖게 된 유전자편집 사탕수수의 시험재배

출처 : Nature News, CRISPR-edited crops break new ground in Africa, 2024.1.25.


 아프리카 과학자들은 외국에서 개발된 비싼 종자 대신 저렴하고 조작이 간편한 크리스퍼 기술로 지역 농축산물을 보호·개량할 수 있기를 희망

○ 아프리카 현지 수요 작물에 대해 해외에서 개발한 종자에 의존하기보다 현지에서 직접 개발할 필요

  • -︎대규모 다국적 기업은 스트리가처럼 아프리카 지역에서 한정적으로 발생하는 기생 식물 문제에 대해 해결기술을 개발할 동기가 거의 없지만,

  • -︎2022년 케냐에서는 유전자편집 작물을 GMO 규제 대상에서 제외하면서 유전자편집 종자의 재배가 가능해졌으며,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도 이를 따를 것으로 예상


○ 이에 따라 유전자편집 작물이 아프리카의 주요 산업인 농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

  • -︎하지만 크리스퍼 유전자편집을 둘러싼 지식재산권 분쟁이 아프리카의 노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불투명한 상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