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숙주-미생물 상호작용체(interactome) 아틀라스

  • 등록일2024-04-17
  • 조회수2366
  • 분류종합 > 종합

숙주-미생물 상호작용체(interactome) 아틀라스

BioINwatch(BioIN+Issue+Watch): 24-24


◇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을 구성하는 수많은 미생물이 분자 수준에서 어떤 영향을 끼쳐 치는지 거의 알려진 바가 없었는데, BASEHIT라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여 인체 외분비 프로테옴(exoproteome)과 미생물 간의 상호작용을 대규모로 분석. 기존에 탐색되지 않은 분자 수준의 네트워크와 방대한 데이터를 통해 미생물이 인체의 건강과 질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

▸주요 출처 : Nature, A host-microbiota interactome reveals extensive transkingdom connectivity, 2024.3.20

 

 인체 내 마이크로바이옴은 장 건강 뿐 만 아니라 면역 및 대사질환, 뇌·신경질환까지 광범위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

○ 하지만 마이크로바이옴을 구성하는 수많은 미생물이 분자 수준에서 어떤 영향을 끼쳐 치는지 거의 알려진 바가 없었는데,

- 최근 연구에서 인체 조직과 미생물 간의 상호작용을 광범위하게 분석한 아틀라스를 발표

- 연구팀은 BASEHIT*라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여 인체 외분비 프로테옴(exoproteome)**과 미생물 간의 상호작용을 대규모로 분석

* Bacterial Selection to Elucidate Host-Microbe Interactions in High Throughput

** 세포 밖으로 분비되거나 세포막에 위치하는 단백질의 집합으로, 세포 간 신호 전달, 면역반응 조절, 조직 구조 유지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

○ BASEHIT는 인체 단백질과 개별 미생물 사이의 결합을 스크리닝 하기 위해 개발된 고속 처리 기술로,

- 인체 단백질을 발현하는 효모 라이브러리, 바이오틴화된 미생물이 핵심 요소이며, 스트렙타비딘 자성 비즈, 차세대 시퀀싱 등 단백질-미생물 결합을 포착하여 분석하는 핵심 기술로 구성

○ 먼저 3,324개의 인체 외분비 단백질(expprotein)을 효모 표면에 발현하는 효모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를 제작

- 이때 외분비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앞에 각각의 단백질 식별을 위한 유전자 바코드를 추가

* 인간 외분비 프로테옴의 60% 이상을 포괄하며, 각 단백질 당 평균 20개의 바코드(식별을 위한 유전자 서열)를 추가

- 또한 이렇게 발현되는 외분비 단백질이 제대로 접혀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재현하는 것을 확인


< 효모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 제작 과정(상)과 외분비 단백질 발현을 위한 유전자 배열(하) >


< 효모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 제작 과정(상)과 외분비 단백질 발현을 위한 유전자 배열(하) >

¶ 인체 외분비 단백질 서열에 기반한 유전자로 효모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로 제작하고, 디스플레이된

각각의 단백질이 제대로 발현되었는지 확인(에피토프, 항체, 리간드 사용)

< 효모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 제작 과정(상)과 외분비 단백질 발현을 위한 유전자 배열(하) >


¶ 인체 외분비 단백질 식별을 위한 바코드 유전자(Barcode), 외분비 단백질이 효모 표면 위치하도록

하는 유전자(Aga2 Signal Sequence), 외분비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Exoprotein) 포함

출처 : Nature, A host-microbiota interactome reveals extensive transkingdom connectivity, 2024.3.20


○ 인체 조직(구강, 피부, 장, 생식기)별로 서식하는 마이크로바이옴에서 519개의미생물 균주를 분리하고, 미생물 표면에 바이오틴(biotin)*을 부착

* 스트렙타비딘 자성 비즈(streptavidin magnetic beads)에 결합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미생물-효모 결합체를 쉽게 분리

- 특히, 스트렙티비딘 자성 비즈는 특정 미생물 균주가 결합한 효모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고 농축하여 BASEHIT 점수를 도출할 수 있게 하는 핵심 사항

※ 이러한 농축 과정을 통해 특정 미생물과 인체 단백질 간의 결합을 세밀하게 탐색할수 있었는데, 이는 인체 외분비 프로테옴과 미생물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 네트워크를구축하는 데 중요하게 역할

○ 농축된 효모의 DNA 바코드를 NGS로 시퀀싱하여 어떤 외분비 단백질이 특정 미생물 균주와 상호작용하는지 식별하고 정량화

- 이 데이터를 통해 효모가 발현하는 인체 단백질과 개별 미생물 사이의 상호작용(결합) 정도를 나타내는 BASEHIT 점수*를 도출

* 각각의 미생물-인간 단백질 상호작용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내며, 이 점수는 효모의 바코드가 초기 라이브러리 대비 얼마나 높은 비율로 농축되었는지를 통해 계산

< 숙주-미생물 상호작용체(interactome) 아틀라스 분석 개요도 >

< 숙주-미생물 상호작용체(interactome) 아틀라스 분석 개요도 >

¶ 3,324개의 인체 외분비 단백질(DNA 바코드 추가)을 발현하는 효모 라이브러리 제작 + 인체 조직(구강, 피부, 장, 생식기)별 미생물 균주(519개)를 분리 → 바이오틴화된 미생물 균주와 효모 라이브러리를 혼합 → 스트렙티비딘 자성 비즈를 통해 미생물-효모 결합체 분리 및 농축 → NGS를 통해 바코드를 시퀀싱 → 바코드 농축의 상대적 정도에 따라 각 단백질의 BASEHIT 점수를 계산 → 170만 개 이상의 잠재적인 상호작용 발견, 3,650개의 유의미한 상호작용 식별

출처 : Nature, A host-microbiota interactome reveals extensive transkingdom connectivity, 2024.3.20


BASEHIT라는 혁신적인 기술로 숙주-미생물 간의 상호작용을 대규모로분석하였고, 기존에 탐색되지 않은 분자 수준의 네트워크를 제시

○ 연구팀은 인체 단백질과 마이크로바이옴 사이에서 170만 개 이상의 잠재적인상호작용과 3,650개의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발견

- 개별 조직(구강, 피부, 장, 생식기)에서 분리한 미생물 균주들은 그 조직에서 주로 발현되는 단백질과 결합하는 조직 특이적 상호작용 패턴을 보였는데,

- 이러한 조직 특이적 결합 패턴은 해당 미생물이 인체 조직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

※ 이는 미생물이 특정 조직에 정착하고 생존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특정 미생물이 질병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

○ 3,650개의 상호작용은 인간과 미생물 간의 복잡한 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방대한 데이터를 통해 미생물이 인체의 건강과 질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

- 이 연구는 인간의 생리 및 다양한 질병 상태에서 미생물이 어떻게 역할을하는지 이해하는데 기여

※ 특히, 미생물이 인간의 면역 체계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이러한 상호작용이 건강 및 질병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

- 숙주-미생물 상호작용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는 새로운 치료 전략의 개발을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

※ 특정 미생물-숙주 단백질 상호작용을 표적으로 하는 것이 질병 예방이나 치료에 유용할 수 있음

- 인간과 미생물 간의 상호작용을 근거로 맞춤형 건강관리 전략 개발 또한 가능 ※ 프로바이오틱스나 프리바이오틱스와 같이 인간의 미생물군을 조절하여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활용 가능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발견된 숙주-미생물 상호작용의 광범위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다양한 후속 연구를 계획

○ 상호작용의 분자적, 생화학적, 구조적 세부 사항을 규명하고, 이러한 상호작용이 인간 건강, 질병, 그리고 미생물의 생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이해하는 것에 중점을 둘 것으로 예상

- 분자적 및 생화학적 분석 : 상호작용이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대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특정 단백질-단백질 결합 부위의 구조를 분석

- 유전체 및 메타게놈 분석 :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미생물 유전자를 식별하기 위해 유전체 및 메타게놈을 분석

※ 특정 상호작용이 미생물 내에서 어떻게 조절되고, 미생물의 생태 및 진화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해

- 질병 모델을 활용한 기능적 연구 : 특정 상호작용이 질병 발생 및 진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

※ 이는 새로운 진단, 예방,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

- 치료적 개입의 가능성 탐색 : 특정 상호작용을 조절함으로써 건강을 개선하거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탐색

※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또는 합성생물학적 접근 방식을 포함

- 공동체 수준의 상호작용 연구 : 개별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생물종 사이의 상호작용과 이러한 상호작용이 호스트 건강에 미치는 집단적 영향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를 계획


참고1. 공간 전사체(Spatial transcriptomics) 분석으로 숙주-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 규명

◇ 공간 전사체(Spatial transcriptomics) 분석기술을 이용하여 숙주와 마이크로 바이옴 간의 상호작용을 규명할 수 있는 연구전략이 제시. 공간 전사체학을활용하여 in situ에서 숙주-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체(interactomes)를분석할 수 있는 이러한 연구전략은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 새로운 접근방안과 관점을 제시할 것으로 전망

▸주요 출처 : Nature Biotechnology, Spatial methods for microbiome-host interactions, 2023.11.20; Nature Biotechnology, Spatial metatranscriptomics resolves host-bacteria-fungi interactomes, 2023.11.20; Nature Biotechnology, Spatial host-microbiome sequecing

reveals niches in the mouse gut, 2023.11.20

 

공간 전사체학 분석기술을 이용하여 숙주와 마이크로바이옴 사이의 상호작용을 규명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법이 제시

○ 대부분의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는 미생물의 DNA/RNA 시퀀싱을 통해 진행되는데, 이러한 방법은 미생물의 공간적 정보, 미생물-미생물, 미생물-숙주 사이의 상호작용을 포착하기 어려움

- 하지만 최근 단일세포 전사체학과 고해상도 이미징 기술을 기반으로 공간정보를 보존하는 동시에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는 공간 전사체학이 부상

○ 스웨덴과 미국의 연구팀에서 공간 전사체학을 활용하여 in situ에서 숙주- 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체(interactomes)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

- 특히 박테리아와 진균, 숙주의 전사체를 포괄적으로 잡아낼 수 있는 역전사프라이머를 재구성

- 해당 기술은 바코드 역전사 프라이머가 나열된 슬라이드 위에 샘플을 올려 결합하게 한 뒤에 시퀀싱을 거쳐 숙주의 유전자 발현 및 미생물 군집에 대한 공간 지도를 구성

○ 스웨덴 연구팀은 애기장대 잎에 있는 미생물 군집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 - 이를 위해 박테리아와 진균(곰팡이) 그리고 숙주의 RNA를 포착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제작

- 분석 결과, 숙주에서 발현된 유전자와 미생물군이 갖는 RNA 사이에 상당한 중첩이 있음을 관찰

※ Nature Biotechnology, Spatial metatranscriptomics resolves host-bacteria-fungi interactomes, 2023.11.20.

○ 미국의 연구팀도 이와 유사하게 숙주의 mRNA와 박테리아의 16S rRNA를타겟으로 프로브를 제작하여 마우스 장 샘플의 공간 전사체를 분석

- 그 결과, 장 세포들이 미생물 환경에 따라서 특정 유전자 발현에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

※ Nature Biotechnology, Spatial host-microbiome sequecing reveals niches in the mouse gut, 2023.11.20.

아직 기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남아있지만 공간 전사체학을 활용한 분석방법은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전망

○ 극복해야 할 과제 중 하나는 박테리아, 진균의 RNA가 균일하게 분석 슬라이드 위에 배포될 수 있도록 하는 것

- 세포 용해, RNA 방출 등의 문제로 RNA 접근성에 편차가 생기면 미생물 군집 분석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음

- 이외에도 공간 해상도(Spatial resolution)가 다소 떨어진다는 점, 환경적인 오염이나 참조 데이터베이스의 오류로 인한 왜곡, 침습적 조직 샘플링으로 인해 in vivo 연구에 기술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들이 존재 

※ slide-seq, stereo-seq와 같은 spatial RNA 시퀀싱 플랫폼, 형광 in situ 결합, 비침습적 장 샘플링 기기 등 신규 유망기술과 융합 시 문제해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 숙주-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분석 방법 >

< 숙주-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분석 방법 >

< 숙주-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분석 방법 >

 출처: Nature Biotechnology, Spatial methods for microbiome-host interactions, 2023.11.20.

 

○ 이러한 방법을 통해 미생물과 숙주 사이의 상호작용을 탐색할 수 있게 된다면 새로운 관점의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가 가능

- 숙주-병원체, 종양세포/종양-마이크로바이옴, 식물병원균- 마이크로바이옴, 마이크로바이옴-면역시스템 간의 다양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참고2. 단일세포 수준에서 단백질 합성의 공간 아틀라스 (Spatial Atlas)를 생성하는 분석기술 개발

◇ 단일세포 내에서 공간적으로 잘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단백질 번역 (translation)을 분석하는 것은 생물학 연구의 오랜 목표로, 최근

연구에서 리보솜 결합 mRNA 맵핑(ribosome-bound mRNA mapping, RIBOmap)에 대한 결과를 발표. 이러한 접근 방식은 DNA에서 RNA, 단백질 및 세포 기능에 이르는 분자생물학의 central dogma를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Science, Mapping RNA translation, 2023.6.29.; Science, Spatially resolved

single-cell translatomics at molecular resolution, 2023.6.30

생물학 연구의 오랜 목표는 단일세포 내에서 공간적으로 잘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단백질 번역(translation)을 분석하는 것

○ 기존의 공간 전사체학(spatial transcriptomics)은 생명과학 및 바이오 연구를위한 혁신기술로 등장했지만 활발하게 번역이 진행 중인 mRNA의 공간 매핑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부족

- 현재까지 공간 전사체학을 구현하기 위해 mRNA 시퀀싱과 이미징기술 (smFISH 등)을 조합하였으나, mRNA 존재 유무만으로는 단백질 생산과 연계된 기능적 정보를 알아내기에는 한계

* smFISH(single-molecule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 특히, RNA는 DNA 전사에서 시작하여 초기 RNA 합성, 스플라이싱, 내보내기, 번역 및 분해에 이르기까지 풍부하고 역동적으로 변화하는데,

- 특정 조직, 세포 내 RNA 변화를 정확히 알아내기 위해서는 RNA 존재 자체를 검출하기 보다는 현재 번역이 진행 중인 mRNA의 양과 공간적 위치 정보를 한꺼번에 분석하는 것이 중요

최근 연구에서는 활발하게 번역 중인 mRNA(translating mRNA)의 수가단백질 발현과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가설을 두고 번역 중인 mRNA의 공간 프로파일링 분석방법을 개발

○ 연구팀은 단일세포 수준에서 단백질 합성의 공간 차트를 작성하기 위해 리보솜 결합 mRNA 맵핑(ribosome-bound mRNA mapping, RIBOmap)을 고안

- RIBOmap은 3개의 프로브(probe)를 통해 리보솜에 결합하여 단백질 번역이진행 중인 mRNA를 선택적으로 감지하고 증폭하는 전략을 사용

○ 3개의 프로브는 바코드를 포함한 자물쇠(padlock) 프로브, 바코드를 포함한프라이머(primer) 프로브, 리보솜 RNA(ribosomal RNA)와 결합하는 동시에 자물쇠 프로브를 동그랗게 만드는 부목(splint) 프로브로 구성

- 작동 원리는 바코드를 포함한 자물쇠 프로브가 특정 mRNA를 표적으로 결합하고, 바코드를 통해 프라이머 프로브가 자물쇠 프로브와 결합하면 DNA를 복제할 수 있게 되는데, 이 때 리보솜 RNA와 결합하여 자물쇠 프로브를 원형화(circularize)하는 부목 프로브가 필요

- 결과적으로, 복제된 DNA 내 포함된 바코드는 형광물질로 표지된 프로브와결합하여 표적 mRNA의 위치 정보를 제공

< RIBOmap을 구성하는 3개 프로브와 작동 방식 >

< RIBOmap을 구성하는 3개 프로브와 작동 방식 >



RIBO-map은 리보솜 결합 mRNA를 선택적으로 분석하도록 설계된 3차원 실시간 프로파일링 기술로, 세포 유형별·조직 영역별 공간 아틀라스(spatial atlas)를 생성

○ 연구팀은 RIBO-map을 사용하여 HeLa 단일세포에서 981개 유전자의 번역을 프로파일링하고,

- 세포 배양 과정에서 세포 성장 주기, 단계에 따라 달라지는 mRNA의 번역 패턴을 확인

○ 또한 마우스 뇌 조직에 RIBO-map을 적용하여 119,173개의 단일세포에서5,413개의 유전자를 검출하였는데,

- 희소돌기아교세포 계통 세포에서 전사체(transcriptome)와 번역체(translatome) 사이의 강한 불일치를 관찰하였으며, 또한 해마의 세포 내에서도 위치(cell body와 periphery)에 따른 번역의 차이를 관찰


< 단일세포의 번역체(single-cell translatome)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RIBOmap >

< 단일세포의 번역체(single-cell translatome)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RIBOmap >

< 단일세포의 번역체(single-cell translatome)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RIBOmap >


RIBO-map은 조직에서 많은 유전자에 대한 공간 매핑을 입증했지만, 여전히 염기서열이 알려진 mRNA만 분석할 수 있다는 점이 한계

○ 복잡한 조직, 세포 내에서 염기서열에 따라 번역하는 mRNA를 공간적으로프로파일링하면 서열 특이적 RNA-단백질 상호작용과 번역 활동을 감지할수 있지만 알려지지 않는 mRNA에 대한 분석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음 - RNA의 역동적이고 단계적인 생애 주기는 전사부터 번역 및 분해에 이르는선형적인 경로가 아니라 다양한 단백질과의 결합, 다른 RNA에 의해 활발하게 조절

○ 따라서 RNA-단백질 및 RNA-RNA 상호 작용의 위치를 매핑하는 것은 유전자 발현 조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며,

- RNA의 화학적 변형은 안정성과 번역을 변화시키며, 이는 게놈 규모의 공간 매핍에 또 다른 중요한 메커니즘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

※ 예를 들어, endonuclease-결합 mRNA를 검출하여 mRNA 분해 속도를 연구할 수 있는 등 3가지 프로브 방법은 RNA 생애 주기별 분석에 적합하게 변형이 가능

○ 향후 RIBO-map은 공간 후성유전체학(spatial epigenomics), 멀티오믹스와 같은 첨단 신기술과 통합하여 RNA 번역을 후성유전학적 제어, 단백질 발현 및 대사 기능과 연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이러한 접근 방식은 DNA에서 RNA, 단백질 및 세포 기능에 이르는 유전 정보의 흐름을 정의하는 분자생물학의 central dogma를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