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미국 GAO, 재생의료에 대한 기술영향평가

  • 등록일2024-05-21
  • 조회수1233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발간일
    2024-05-21
  • 키워드
    #미국 GAO#재생의료제품#기술영향 평가 보고서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24-33(5.21)●미국 GAO 재생의료에 대한 기술영향평가.... (다운로드 125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미국 GAO, 재생의료에 대한 기술영향평가

BioINwatch(BioIN+Issue+Watch): 24-33


       ◇ 손상된 세포, 조직, 장기의 기능을 복원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혁신적인 의료 접근법인 재생의료는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가 의료 분야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 미국 GAO(회계감사원)는 재생의료의 발전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술영향평가 보고서를 작성하여 의회에 제출

   ▸주요 출처 : United States Goverment Accountabiltiy Office, TECHNOLOGY ASSESSMENT Regenerative Medicine Therapeutic Applications, Challenges, and Policy Options, 2023.7.


 

 미국 회계감사원(GAO, United States Goverment Accountabiltiy Office), 재생의료에 대한 기술영향평가 보고서를 의회에 제출(2023.7월)

○ 세포, 조직, 장기 기능을 복원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혁신적인 의료 접근법인 재생의료는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가 의료 분야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

- GAO는 재생의료의 현재 기술과 미래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 분야의 발전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보고서를 작성

○ 재생의료는 증상만을 치료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근본적인 질병을 치료하거나 기능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발전

- 고도의 개인 맞춤화가 가능하며 궁극적으로는 만성질환 및 불치병으로 간주되는 많은 증상을 관리하거나 치료하는 데 도움

    ※ 자신의 유전자나 세포를 사용하는 개인 맞춤형 치료 가능(당뇨병, 암, 노인성 황반변성 등의 치료에 활용)


 미국은 재생의료 관련 제품*을 생물학적 제제에 포함하여 ‘연방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법’에 따라 FDA에서 규제

    * 세포치료제, 치료용 조직 공학 제품, 이러한 치료법 또는 제품을 사용한 복합 제품, 일부 유전자 치료제, 특정 인체 세포 및 조직 제품을 포함

○ 재생의료 제품은 FDA의 CBER(Center for Biologics Evaluation and Research, 생물의약품평가연구센터)에서 관할

- 두 개 이상의 규제 대상(예: 생물학적 제제와 의료기기)이 결합된 복합 제품의 경우 1차적으로 제품의 주요 작용 방식을 관할하는 센터에서 제품을 검토

   ※ FDA는 제품 유형에 따라 CBER 외에 약물평가연구센터(CDER), 의료기기 및 방사선건강센터 (CDRH) 등 다양한 센터에서 검토 절차를 처리

○ 미국 FDA는 1998년 피부 궤양 치료를 위한 피부 이식용 조직공학 제품을 최초로 허가

-기술 발전과 함께 재생의료 제품*에 대한 신약 적용 건수와 임상시험 중인 제품 수 증가

    * 혈액암 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와 겸상적혈구 질환 치료를 위한 유전자치료제 등이 포함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허가된 재생의료 제품의 수는 여전히 소수이며, 재생의료 제품은 단일클론 항체와 같은 특정 생물학적 제제보다 더 복잡

   ※ 기존 생물학적 제제와 달리 세포와 조직은 살아 있고 끊임없이 변화하며 사람마다 가변적임

-최근 법률*은 의료제품 개발을 가속화하여 환자에게 새로운 혁신과 발전을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

    * 21세기 치료법은 ‘재생의료 첨단치료제(RMAT)’ 지정과 같은 특정 재생의료 치료법에 대한 FDA의 신속한 평가 절차를 마련

○ 이 보고서에서는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상실된 신체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현재 사용 중이거나 개발 중인 기술을 논의하나, 모든 기술을 포괄하는 것은 아님

- 생체모사 칩 장치(organ-on-a-chip devices)와 같이 연구 목적, 테스트 또는 진단에 사용되는 기술은 포함하지 않음

○ GAO는 재생의료에 대한 연구비, 인력 및 교육, 장기 이식 시스템 관련 문제를 사전 연구하였으며,

- 과학 및 정책 문헌 검토, 연방기관 관계자 및 정부, 학계, 산업계, 비영리 부문, 환자 단체와 같은 최종 사용자 그룹의 전문가 인터뷰, 전문가 회의를 통한 객관적 논의를 통해 평가 수행

    ※ 2021년 9월부터 2023년 7월까지 기술 평가와 관련된 GAO 품질 보증 체제의 모든 부문에 준하여 평가

○ GAO는 재생의료의 발전 가능성을 평가하고, 기술 발전을 통해 의료 분야의 혁신을 이끌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고 보고서를 작성

- 재생의료의 현재와 미래기술을 살펴보고, 식별된 도전과제를 통해 정책적 수단을 제안


재생의료의 현재와 미래기술



 세포 기반 재생의료 기술은 환자 자신의 세포 또는 기증자의 세포를 이용하여 다양한 질병의 치료법을 개발

○ 줄기세포치료제

- 줄기세포는 60여 년 전 최초의 골수 이식 이후 손상된 세포를 대체하고 신체 기능을 회복하거나 개선하는 데 사용

- 빈혈이나 혈액암 환자에게 줄기세포를 주입하는 조혈모세포이식, 안질환 환자를 위한 조직 이식 및 화상 환자를 위한 피부 이식에도 사용

- 인간 배아 줄기세포 사용에 대한 논란으로 인해 연구자들은 유전자편집 기술을 특정 세포(적혈구 또는 백혈구)와 성체 줄기세포에 적용



[ 배아 줄기세포에 대한 우려와 유도만능 줄기세포의 발견 ]

인간 배아에서 유래한 배아 줄기세포를 사용한 연구는 윤리적 문제를 야기함에 따라 1996년 1월 미국은 인간 배아를 생성하거나 파괴하는 연구에 연방 기금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 이 정책으로 인해 인간 배아 줄기세포에 대한 일부 연구가 제한되었고, 과학자들은 대체 줄기세포 공급원을 찾게 됨

2006년 체세포를 배아 줄기세포와 유사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조건을 발견하였고, 2007년에는 인간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최초로 제작. 배아 줄기세포와 마찬가지로 유도만능 줄기세포는 모든 유형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어 배아 줄기세포를 대체할 수 있음. 환자 자신의 세포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유도만능 줄기세포는 면역 거부반응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도 보유


○ 유전자편집 세포치료제

- 유전자편집 세포는 크리스퍼와 같은 유전자편집 기술을 사용하여 특정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변경하는 방식

- 대표적으로 CAR-T 세포치료제*는 혁신적인 면역항암치료제로, 표준치료가 효과적이지 않거나 암이 재발하는 환자를 위한 치료 대안으로 부상

    *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T세포는 환자 자신의 면역세포를 유전자 편집하여 체내 특정 유형의 암세포를 표적으로 삼아 죽이는 세포

   ※ 2017년 최초의 CAR-T 세포치료제에 대한 FDA의 허가를 시작으로 다양한 유형의 혈액암에 대해 최소 6개의 치료법 허가(2022.3월 기준)

○ 유전자편집 줄기세포치료제

- 유전자편집과 줄기세포의 결합은 유전 및 희귀질환의 치료법 개발에 도움

- FDA는 베타 지중해 빈혈(beta-thalassemia)이라는 혈액질환에 대한 최초의 유전자편집 줄기세포치료제를 허가(2022.8월)

   ※ 겸상 적혈구 빈혈증에 대한 유전자편집 줄기세포치료제 허가(2023년 12월) 및 겸상 적혈구 질환 및 당뇨병에 대한 임상 1상 및 2상 시험이 진행 중


조직공학 기술은 생체 호환성 재료(하이드로젤 등)와 세포를 결합하여 특정 조직의 기능을 복원하거나 강화

○ 생체 적합성 재료

- 천연 또는 인공적인 재료에서 유래하며, 환자에게 이식 시 구조적 지지체 역할을 하여 손상된 조직을 지지하거나 대체하는 데 사용

- 재생의료를 크게 발전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활성 및 성능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에 환자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면밀한 모니터링과 테스트가 필요

○ 복합제품

- FDA에서 규제하는 두 가지 이상의 성분으로 구성된 제품으로, 살아있는 세포와 생체 적합성 물질이 모두 포함된 조직공학 제품은 복합제품으로 분류

- 복합제품은 세포와 조직에 구조·기능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노화 관련 질환을 해결하는 데에 기여 가능

   ※ 노화 관련 황반변성(AMD)을 치료하기 위한 줄기세포치료제가 개발 중


실제 장기와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가진 조직을 만드는 연구가 진행 중

○ 3D 바이오프린팅

- 3D 프린팅으로 이식 가능한 구조물을 제작하는 기술로, 잉크로 사용되는 재료에 세포가 포함될 수도 있고, 프린팅 완료 후 세포 추가 가능

- 3D 프린팅된 생체 적합성 소재와 환자 자신의 뼈 세포를 결합하여 손상된 뼈를 맞춤형으로 대체할 기술이 개발 중

   ※ 동물실험을 통해 조직공학과 3D 바이오프린팅을 결합하여 뼈를 만드는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이식된 재료에 혈관을 만들고 더 강하고 유연한 재료를 개발하는 등의 연구가 필요

- 그러나 현재 FDA 지침은 바이오프린팅 제품의 규제 방식을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아 일부 기업이 3D 프린팅과 같은 새로운 제조기술 사용을 주저할 수 있다고 지적

○ 오가노이드

- 오가노이드는 인공적으로 성장한 작은 세포 또는 조직 그룹으로, 실제 장기와 조직 구조를 모방하여 기초연구와 치료법 혁신에 상당한 잠재력을 보유

- 연구 기술로서 더 정확하게 인간의 질병을 모델링하여 기전 연구와 임상 적용 연구를 촉진

   ※ 심장, 간, 뇌, 신장 등 여러 종류의 인체 조직으로부터 성공적으로 생성되어 기초 연구와 신약개발 단계에서 사용

- 치료제로서 단순한 생물학적 제품보다 더 복잡한 기능을 수행

   ※ 췌장 오가노이드는 제1형 당뇨 환자의 인슐린 생산 능력을 회복시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 제시, 임상 1상과 2상 시험이 진행 중

○ 실제 크기 장기(Full-size organs)

- 임상용 실물 크기의 인공 장기는 초기 연구개발 단계로, 산소, 영양분, 면역세포를 몸 전체로 운반할 수 있는 혈관 시스템을 갖춘 장기의 설계를 연구 중

   ※ 환자의 세포와 생분해성 스캐폴드를 사용한 인공 방광을 이식하여 척추 이분증으로 인한 방광 손상 치료


재생의료의 도전과제


표준화는 신속하고 효과적인 기술 개발을 촉진하지만, 재생의료에 대한 표준은 상대적으로 미흡

○ 기술 복잡성

- 재생의료 제품은 생물학적 복잡성이 높고, 개인별 맞춤화가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제조 제품과는 달리 고유의 특성을 보유

- 이로 인해 표준화 작업이 어렵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표준을 갱신하고 적용할 필요

○ 표준 개발의 어려움

- 재생의료는 기술의 복잡성으로 인해 여러 분야의 전문지식이 필요

- 표준 개발 과정에서 각 이해관계자가 동의하지 않은 표준은 채택이 어려움


[ 유전자치료제 안전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 표준 사례 ]

1999년 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한 유전자치료 임상시험 중 심각한 면역반응으로 환자가 사망당시 바이러스 벡터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자료가 부족했다고 결론

이 사건에 대응하여 바이러스 벡터에 대한 표준 참조 자료(알려진 농도의 바이러스 벡터가 포함된 고도로 특성화된 샘플)를 제작이 표준 참조 자료는 개발자가 제품 내 바이러스 벡터 농도를 정확하게 결정하는 데 활용

SCB(Standards Coordinating Body)는 바이러스 벡터 참조 자료가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고 유전자치료제에 대한 대중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밝힘

출처 : SCB, Standards Development in Action: Reference Material for Human Adenovirus 5,

https://www.standardscoordinatingbody.org/adenovirus, accessed Mar. 14, 2023.


○ 합의 도달의 어려움

- 재생의료 표준은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수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광범위한 합의가 필요

- 그러나 기존 인프라나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은 새로운 표준이 자신들의 시장 지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인식할 경우 합의에 소극적일 수 있음

○ 표준 관련 인프라의 부족

- 적절한 표준을 개발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문 조직과 인프라가 필요

- 그러나 신기술의 특성 상 전담기관이 부족하여 표준화 작업이 더디게 진행

○ 측정 과학의 발전 필요성

- 재생의료 제품의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정밀 측정 기술은 아직 충분히 발전하지 않은 상태

- 이는 표준 개발에 있어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측정 기준을 마련하는 데에 걸림돌로 작용


재생의료에서의 측정과학 ]

유전자치료제의 효과를 관찰하는 데 사용되는 측정 기술인 DNA 시퀀싱은 불완전하며 정확도는 사용되는 기술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유전자 변경이 유전자치료에 의한 것인지 시퀀싱 방법에 의한 것인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측정 문제를 야기

따라서 DNA 시퀀싱 기술표준 및 참조 자료가 개선되면 유전자치료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음이러한 개선을 위해서는 시퀀싱에 사용되는 방법과 오류를 줄일 수 있는 새로운 화학 또는 데이터 분석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


재생의료에 대한 규제 관련 과제는 다양한 영역에서 해결 필요

○ 규제 전문성 부족

- 재생의료 제품 개발자(특히 스타트업이나 소규모 기업)들은 내부에 전문적인 규제 부서를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아 FDA의 복잡한 규제 절차를 이해하고 준수하는 데 필요한 전문 지식이 부족

○ 복잡한 규제 프레임워크

- 여러 FDA 센터와 규제 경로를 거쳐야 할 수 있으며, 이는 제품 분류와 승인 경로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 특히 조합 제품의 경우 어떤 규제 체계에 속하는지 파악하기 어려움

- FDA는 가속 승인, 우선 심사 지정, 치료 혁신 지정 등 여러 가속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이러한 프로그램들 간의 관계와 각각의 적용 조건을 이해하는 것이 복잡

○ 적절한 규제 경로의 부재

- 신기술과 치료법이 등장함에 따라 현재의 규제 경로가 이러한 기술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에 부적합

- 제품 개발자가 적절한 규제 정보를 얻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상황

○ FDA 및 협력 기관의 인력 부족

- 제품 검토 및 승인 과정의 지연을 초래하며, 특히 신기술 분야에서 더 큰 문제가 됨

○ 무허가 줄기세포 제품

- FDA의 승인을 받지 않은 줄기세포치료제가 유통되고 있으며, 이는 환자 안전을 위협하고 규제 프레임워크의 혼란을 야기

- 규제 당국이 이러한 제품을 감독하고 관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제조 관련 도전과제는 재생의료 분야의 복잡성과 기술적 어려움을 반영

○ 제품 일관성 및 재현성 유지

- 재생의료 제품(특히 살아있는 세포나 조직을 사용하는 제품)은 매우 복잡하며 일관성과 재현성을 유지하기 어려움

- 세포와 조직은 생물학적으로 변동성이 크고 사람마다 다르게 반응할 수 있어, 대량 생산 시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도전과제

○ 대규모 생산

- 재생의료 제품은 맞춤형으로 제작되거나 특정 환자의 세포를 사용하여 개발

- 이러한 특성 때문에 대규모로 생산하기 어려우며, 이는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고 제품의 상업적 확장을 제한


생물학적 제제는 저분자 의약품보다 훨씬 더 복잡 ]

저분자 의약품인 아스피린은 원자가 21개이지만비교적 단순한 생물학적 제제인 단일 클론 항체는 약 25,000개의 원자를 보유

인간 세포에는 항체와 같은 단일 단백질 4,200만 개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세포가 에너지를 사용하고 성장함에 따라 이러한 단백질의 구성은 끊임없이 변화

재생의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비교적 단순한 생물학적 제제를 제조해온 기술에서 상당한 조정과 발전이 필요


○ 고도의 기술 요구

- 재생의료 제품 제조는 3D 바이오프린팅, 세포 배양, 유전자편집 등 고도의 기술을 요구하며, 정밀한 기술과 첨단 장비가 필요

- 이러한 기술들을 적절히 관리하고 실행하기 위한 전문지식과 인프라가 필수적

○ 규제 준수

- 제조 과정에서 FDA와 같은 규제 기관의 엄격한 기준과 규정을 준수해야 함

- 재생의료 제품의 경우, 특히 생체 호환성, 안전성, 효능 등을 입증해야 하며, 이는 제조 과정에 추가적인 복잡성과 비용을 초래

○ 인프라 및 자원 부족

- 적절한 제조 인프라와 자원의 부족은 재생의료 제품의 상업화를 어렵게 만드는 부분

- 특히 신생 기업이나 소규모 연구소에서는 초기 투자 비용이 매우 높을 수 있으며, 이는 기술 개발과 제품 출시를 지연시킬 수 있음


재생의료 발전을 위한 정책 제안


표준 개발에 대한 투자 증대

○ 재생의료 기술 발전과 적용을 촉진하기 위해 표준화 작업에 대한 투자 확대

- 표준 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제공하고, 관련 기관과 조직에 지원을 확대하여 재생의료 분야의 표준화 작업을 촉진

   ※ 예를 들어,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와 같은 기관은 산업계와 협력하여 필요한 측정 기준과 표준을 개발

- 측정 과학과 기술 표준에 대한 연구개발 지원을 통해 장기적으로 제품 개발의 질을 높이고, 환자 안전을 강화하는 데 기여


규제 전문가와의 상호작용 촉진

○ 재생의료 분야의 초기 개발자들이 규제 과정을 더 잘 이해하고 준수할 수 있도록 FDA나 산업계의 규제 전문가와의 상호작용을 활성화

- 기업들은 규제 프로세스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얻고, 필요한 문서 작업, 테스트 및 데이터 제출 요구사항을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

   ※ FDA와 같은 규제 기관은 사전미팅(pre-submission meetings)과 같은 형식을 통해 기업들에게 자문을 제공


측정 과학 연구에 대한 일관된 지원

○ 재생의료의 표준화와 기술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측정 과학 연구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

- 이는 제품의 품질과 안전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인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측정 기준을 개발하는 데 중요하며, 장기적으로 재생의료 기술의 상용화를 촉진


규제 프레임워크 평가 및 개선

○ 기존 규제가 신기술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는 부분을 확인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

- 유연한 규제 접근 방식을 도입하여 기술 발전에 따라 규제가 신속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하여 혁신을 촉진하고 환자에게 더 빠르게 혜택을 제공


재생의료 제품의 제조 공정 개발 지원

○ 제조혁신센터나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재생의료 제품 제조에 필요한 첨단 장비와 전문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

○ 시작 재료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엄격한 품질 관리 기준과 절차를 설정

- 이는 원재료의 수입 단계에서부터 처리, 보관, 사용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일관된 기준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

○ 재생의료 제조 분야에서 필요한 기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지원





...................(계속)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