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RNAi 기술이 적용된 살충제, 미국 시장 출시

  • 등록일2024-07-02
  • 조회수1959
  • 분류생명 > 생명과학,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제품 > 바이오환경
  • 발간일
    2024-07-02
  • 키워드
    #RNAi 기반 살충제#Calantha#PSMB5 표적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24-43(7.2)●RNAi 기술이 적용된 살충제 미국시장 출시... (다운로드 138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차트+ ? 차트+ 도움말

 

 

RNAi 기술이 적용된 살충제, 미국 시장 출시

BioINwatch(BioIN+Issue+Watch): 24-43

 



◇ 지난 1월 미국 환경보호국(EPA)의 승인을 받은 RNA 기반 살충제인 "Calantha"가 최근 미국 시장에 출시. RNAi(RNA interference, RNA 간섭) 기술이 적용된 Calantha는 특정 해충의 중요 유전자 발현을 방해하여 표적 해충만 효과적으로 제거. 전통적인 화학 살충제와 달리, RNAi 기술이 적용된 살충제는 특정 해충만 제거하기 때문에 사람과 환경에 더 안전하다고 평가

    ▸주요 출처 : Science, THE PERFECT PESTICIDE? Insecticides made of RNA could offer a safer and more targeted weapon against crop pests, 2024.6.27

 


■ 지난 1월 미국 환경보호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의 승인을 받은 RNA 기반 살충제 "Calantha"가 농사 시기에 맞춰 미국 시장에 출시


○ RNAi(RNA interference, RNA 간섭) 기술이 적용된 RNA 기반 살충제는 특정 해충의 중요 유전자 발현을 방해하여 표적 해충을 효과적으로 제거

  - 전통적인 화학 살충제와 달리, RNAi 기술은 특정 해충만 제거하기 때문에 사람과 환경에 더 안전하다고 평가

  - Calantha는 콜로라도 감자 딱정벌레(Colorado potato beetle)*를 표적으로 개발되어 벌이나 다른 유익한 곤충들에게는 안전

    * 매년 수억 달러의 피해를 발생시키는 해충으로, 다양한 살충제에 대한 빠른 내성 형성으로 제어가 어려움. 1930년대부터 시작된 화학 살충제 연구의 주요 대상이었으며, 지금까지 50가지 이상의 살충제에 대한 내성을 보유



 

RNAi 기술의 작동 원리

 

 

 


RNAi 기술의 작동 원리


 이중가닥 RNA(double-stranded RNA, dsRNA)를 이용하여 특정 mRNA를 분해함으로써 유전자 발현을 억제

 (dsRNA 도입특정 mRNA를 표적화하는 dsRNA 콜로라도 감자 딱정벌레와 같은 해충에 전달

 (si RNA 생성세포 내로 들어간 dsRNA는 Dicer라는 효소에 의해 절단되어 소형 간섭 RNA(small interfering RNA, siRNA)를 생성

 (RISC 복합체 형성) siRNA 조각은 RNA-유도 침묵 복합체(RNA-induced silencing complex, RISC)라는 단백질 복합체와 결합

※ 이 과정에서 siRNA는 한 가닥만 남기고 나머지 가닥은 분해되어 단일 가닥의 siRNA가 이후 역할 수행

 (mRNA 인식 및 결합RISC는 세포 내에서 siRNA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진 mRNA 탐색하여 결합

 (mRNA 절단 및 분해) RISC는 결합한 mRNA를 절단하여 분해

※ 이렇게 분해된 mRNA는 더 이상 단백질을 생성할 수 없게 되어 해당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됨

 (mRNA 인식 및 결합RISC는 세포 내에서 siRNA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진 mRNA 탐색하여 결합

 (mRNA 절단 및 분해) RISC는 결합한 mRNA를 절단하여 분해

※ 이렇게 분해된 mRNA는 더 이상 단백질을 생성할 수 없게 되어 해당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됨




 ○ 콜로라도 감자 딱정벌레의 경우, 연구자들은 PSMB5*라는 유전자를 표적으로 RNA 기반 살충제를 개발

    * 세포 내에서 손상된 단백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

  - PSMB5 유전자의 mRNA가 분해되어 해당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으면 손상 단백질 축적 문제로 딱정벌레는 죽게 됨


■ 1990년대 RNAi 메커니즘이 규명된 이후 RNAi 기반 살충제 연구는 2000년대와 2010년대에 걸쳐 적용 연구와 기술개발이 진행


○ 2020년대에 들어서 규제 승인을 받으면서 상업화에 성공, 이 기술은 농업 해충 관리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

  - 1998년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에 dsRNA를 주입하여 유전자가 침묵되는 현상을 발견

   ※ RNAi 현상의 기초를 다진 이 연구를 통해 관련 연구자들은 200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

  - 2000년대 초반 RNAi가 해충 제어에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면서 2010년대에 들어 RNAi 기술을 농업 해충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본격화

   ※ Bayer와 같은 기업은 옥수수 뿌리 벌레와 같은 주요 해충에 대해 RNAi 기술을 활용한 GM 작물을 개발. 이 작물들은 dsRNA를 생성하여 특정 해충 유전자 발현을 방해

  - 2020년대 들어 Calantha를 개발한 GreenLight Biosciences와 같은 기업들이 RNAi 기반 살충제의 상업화에 성공

   ※ 2024년 1월, GreenLight Biosciences의 RNAi 기반 살충제 Calantha는 미국 환경보호국(EPA)의 승인을 획득


○ GreenLight Biosciences는 RNA 기반 살충제를 상업적으로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제공하기 위해 노력

  - RNA의 생산 비용을 1그램 당 1달러 이하로 낮추는 데 성공. 이로 인해 Calantha는 기존의 고급 살충제와 가격 경쟁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 뉴욕 로체스터에 위치한 공장에서 RNA 기반 살충제를 대량 생산 중. 이 공장은 연간 2톤의 dsRNA를 생산할 수 있으며, 2025년 말까지 연간 20톤으로 생산량을 늘릴 계획

  - GreenLight Biosciences는 꿀벌의 주요 해충인 varroa mite에 대한 RNA 기반 살충제의 규제 승인도 신청

   ※ 이외에도 아시아 감귤류 깍지벌레, 나무 딱정벌레, 모기 등의 해충을 대상으로 RNA 기술을 활용하는 연구를 진행

  - 또한 해충이 RNA 기반 살충제에 내성을 가질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농부들에게 dsRNA 살충제를 다른 살충제와 교대로 사용하도록 권장


○ GreenLight Biosciences 외에도 다양한 기업에서 RNAi 기술을 적용한 작물 및 살충제를 개발 중

  - (Bayer) 옥수수 뿌리 벌레에 저항성을 가진 옥수수 품종인 SmartStax Pro*를 개발

    * 이 옥수수 품종은 DvSnf7이라는 유전자 발현을 방해하는 dsRNA를 생성. 필드 시험 결과, 기존 옥수수에 비해 뿌리 손상이 95% 감소. 유럽(2017년)과 미국(2023년) 시장에 출시

   ※ 유전자 변형 작물 개발과 승인에 10년 이상과 약 2억 달러의 비용이 소요되는데, Bayer는 dsRNA 스프레이 등 RNAi 살충제를 더 빠르고 저렴하게 공급할 방안을 연구 중

  - (AgroSpheres) dsRNA와 보호막을 생성하도록 유전적으로 변형된 박테리아를 사용하여 diamondback moth에 대한 필드 시험을 실시

   ※ 2022년 필드 시험 결과는 상업적으로 수용 가능한 해충 통제 효과를 보인 것으로 발표

  - (Trillium Ag) RNA 가닥을 앱타머(aptamer)라는 작은 분자로 둘러싸서 보호하는 방법을 개발

   ※ 현재 이 방법은 fall armyworm와 다른 두 가지 해충에 대한 효과를 테스트 중


■ RNA 기반 살충제는 전통적인 화학 살충제의 대안으로서 환경과 인간 건강에 더 안전한 방법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


○ 그러나 이 기술의 성공적인 상업화를 위해서는 제한된 효과*, 내성 관리, 생산 비용 절감, 환경 및 비표적종 보호 등 여러 도전 과제를 해결할 필요

    * 특히, 나비목(Lepidoptera) 곤충은 RNAi 기술에 잘 반응하지 않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Calantha의 승인과 시장 출시는 RNA 기반 살충제가 실용적이고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

  - 전통적인 화학 살충제가 갖는 한계와 위험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RNAi 기술이 농업 해충 관리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을 시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