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OECD, 신흥 기술의 예측적 거버넌스 (anticipatory governance)를 위한 프레임워크 제시

  • 등록일2024-08-06
  • 조회수873
  • 분류종합 > 종합

 

OECD, 신흥 기술의 예측적 거버넌스 (anticipatory governance)를 위한 프레임워크 제시

BioINwatch(BioIN+Issue+Watch): 24-51


◇ OECD는 기술 혁신의 잠재적 리스크를 관리하고 기술의 사회적 수용성을 높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신흥 기술의 복잡성과 불확실성을 다룰 수 있는 예측적 거버넌스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

주요 출처 : OECD, Framework for Anticipatory Governance of Emerging Technologies, OECD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Policy Papers, OECD Publishing, Paris, 2024.4

 


■ 신흥 기술*은 전례 없는 발전을 가져올 수 있지만 매우 큰 도전과 불확실성을 제시하며 위험을 수반할 가능성이 존재

   * 빠른 발전, 진화, 참신함, 불확실한 궤도와 영향력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예: 새로운 유전자 편집 도구, 합성생물학, 신경 기술, AI 기술, 양자 기술 등)


○ 신흥 기술에 대한 혁신과 규제 정책의 핵심 목표는 기초연구를 지원하고 경제 성장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술 개발 및 확산을 촉진하는 것

  - 신흥 기술로 인해 야기되는 혼란을 더 잘 예측하고, 위험을 관리하며, 글로벌 기술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기술 거버넌스*에 의해 형성되는 책임 있는 혁신**과 거버넌스에 대한 미래지향적 접근의 중요성 증가

    * 한 사회에서 기술의 개발, 확산 및 운영에 있어 정치적, 경제적, 행정적 권한을 행사하는 과정으로 규범, 제도, 위험과 이익을 관리하는 물리적 또는 가상 구조(architecture)로 구성

   ** 신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은 민주적 가치에 기반하고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며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하는데 이는 효과적인 사전 예방적 거버넌스에 달려 있음

  - 이를 실현하기 위해 OECD는 기술 거버넌스에서 중요한 일련의 활동을 개발하고 새로운 예측적 기술 거버넌스를 제시


■ 신흥 기술의 예측적 거버넌스를 위한 프레임워크는 신흥 기술의 기회와 위험을 예측하여 신흥 기술의 활용 및 장기적인 거버넌스 역량 구축이 목표


○ 예측적 기술 거버넌스는 신흥 기술의 거버넌스 과제를 ‘기술 위험 관리’에서 ‘기술 개발의 앞서 나가기’로 전환을 장려

  - OECD의 기본 신조인 공유 가치를 중심으로 한 국제 협력의 중요성 강조

  - 예측적 거버넌스의 효율성을 보장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범정부적 접근과 정책 결정 커뮤니티의 긴밀한 협력이 중요함을 시사

이 프레임워크는 특정 기술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상호 의존적이고 상호 작용하는 5개의 요소로 구성


< 신흥 기술의 예측적 거버넌스의 5가지 요소 >

신흥 기술의 예측적 거버넌스의 5가지 요소


① 가치 지침(Guiding values) : 신흥 기술의 긍정적인 잠재력을 활용하기 위해 기술 거버넌스의 모든 결정에서 공유 가치를 고려하고 통합하여 반영

  - (공유 가치 파악) 혁신 정책의 중심에 자유 민주주의 국가가 공유하는 기본 가치* 및 기술별 가치**를 고려하여 기술 개발 진행

    * 정치·경제·문화·윤리적으로 중요한 특정 이상에 대한 공동의 약속(예: 인권 존중, 안전 및 보안, 개인 정보 보호, 민주적 가치, 지속 가능한 개발, 형평성 및 포용성)

   ** 기술 거버넌스 결정에 대해 우선순위와 균형(trade-off)에 대한 도덕적, 정치적 근거 제공 (예: 신뢰성, 책임, 투명성, 기술 책임관리(stewardship), 공익을 위한 혁신, 대응력)

  - (심의 프로세스 활성화) 우선순위를 정하고 가치를 구체화할 수 있도록 의견 수렴을 위한 포럼 활성화, 의미 있는 역량 구축, 공유되는 정보의 무결성 보장 필요

  - (가치 내재화) 의제 설정 및 연구개발 설계, 연구개발, 조기 상용화, 확산 및 배포, 기술 및 규제 설계 등 혁신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가치를 내재화


② 전략적 인텔리전스(Strategic intelligence) : 예측을 위한 중요 자원으로 신기술의 잠재적 발전과 의미에 대한 분석과 지식

    ※ 신기술의 발전 방향과 경제적 이해관계, 사회적 지지 수준, 고려해야 할 사회적 및 윤리적 측면, 잠재적 영향, 혜택 및 위험 등

  - 신흥 기술에 대한 민첩하고 유연한 거버넌스를 위해 3단계 방식(① 지평선 스캔, ② 예비 진단, ③ 확장 평가)으로 관련 데이터·정보를 활용 및 분석하는 것이 중요


<지평선 스캔에서 확장 평가까지 3단계 접근 방식 >

지평선 스캔에서 확장 평가까지 3단계 접근 방식


< 전략적 인텔리전스 및 기술 평가를 위한 도구 >

접근 방식

주요 내용

1단계

지평선 스캔

(Horzion scanning)

어떤 기술 또는 사회 기술적 문제가 관심 분야기회또는 잠재적 우려로 간주되고 있는지 정기적으로 기술 개발 신호를 탐색하는 것

잠재적 기회와 위험에 대한 약한 신호를 탐색하여 기술적 관심 분야 및 기술 변화의 주요 동인을 찾아내 새로운 기회나 위협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 제안

정부 기관국내 및 국제 기관에서 기술 및 글로벌 트렌드에 대해 작성

2단계

예비 진단

(Preliminary diagnosis)

6가지 차원*에서 상황을 구조적으로 평가하여 심층 분석이 필요한지어떤 형태의 전략적 인텔리전스가 필요한지해당 기술을 어느 정도 관심 분야로 분류하고 평가할 것인지 파악

① 불확실성② 위험과 영향의 규모③ 대중의 관심도 또는 가치 충돌 수준④ 기술 발전 속도⑤ 전략적 중요성⑥ 거버넌스 격차

3단계

확장 평가

(Extended appraisal)

기술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4가지 전략 정보 도구* 범위에서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여 더 풍부한 증거 기반을 제공

기술 예측선견지명기술 평가신흥 위험평가

전략적 정보를 제공하여 정책 결정에 도움을 주지만 의사 결정에는 관여하지 않음



< 3단계 확장 평가를 위한 4가지 도구 >

접근 방식

주요 내용

기술 예측

(Technology forecasting)

(정의현재의 추세와 약한 신호를 사용하여 미래의 잠재적 기술 경로 추정

(인사이트기술 속도 측정 및 주요 이해관계자 파악을 통해 향후 해당 분야가 어떻게 전개될지를 명확히 하여 불확실성 제거

선견지명

(Foresight)

(정의여러 데이터 원본을 활용하여 잠재적인 대체 기술의 정교한 미래 시나리오 작성

(인사이트정책입안자의 관점을 넓히고 정책 결정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여 더 많은 이해관계자의 참여 촉진

기술 평가

(Technology assessment)

(정의신흥 기술의 사회·경제·환경·법적 측면과 잠재적 영향을 밝히기 위해 고안된 증거 기반의 대화형 프로세스

(인사이트신흥 기술이 경제사회거버넌스 시스템에 미치는 실제 및 잠재적 영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정보 제공 및 연구개발 지원다양한 이해관계자의 희망과 우려를 파악하여 거버넌스 안내

신흥 위험평가

(Emerging risk assessment)

(정의기존 거버넌스 체계가 새로운 위험을 관리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능력 평가

(인사이트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에서 기존의 리스크 거버넌스 접근 방식을 평가할 수 있는 수단 제공



③ 이해관계자 참여(Stakeholder engagement) : 기술 거버넌스 과정에서 다양한 주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협력하여 기술 개발 및 정책 결정에 영향

  - (참여의 중요성) 과학 정책 결정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는 문제의 여러 측면을 이해하고 공감대 및 신뢰 형성에 기여

  - (참여 도구) 역량 강화, 소통 및 협의, 공동 창조를 통해 시민과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 의사 결정 참여를 촉진


< 초기 단계(upstream) 사회 참여를 위한 도구 >

초기 단계(upstream) 사회 참여를 위한 도구


  - (사회 참여의 성공 요인) 6가지 성공 요인*을 고려하고 이해관계자들 간의 역학 관계를 관리하여 보다 합법적이고 숙고된 결과 도출

    * ① 초기 참여 유도, ② 효과적인 소통, ③ 다양한 전문가의 참여, ④ 포용성, ⑤ 투명한 과정, ⑥ 실질적 영향 반영


④ 민첩한 규제(Agile regulation) : 규제 도구 조정, 기관 간 협력 촉진,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개발을 통해 규제의 민첩성을 향상시켜 신흥 기술의 빠른 발전과 변화에 대응

  - (구속력이 없는 접근 방식) 높은 수준의 규범, 원칙과 지침, 기술 표준, 행동 강령, 설계에 의한 접근법 등을 공공 거버넌스에 대한 보완적인 접근법으로 사용

  - (법적 구속력이 있는 접근 방식) 기술의 위험 및 편익 기반 옵션의 장단점을 검토하고 정책 목표와 일치하는 메커니즘을 고안해 신흥 기술 관리에 적합한 방식 선택

  - (실험 도구 사용) 테스트베드* 및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적응형 정책 학습과 조정을 통해 최적의 규제 환경 조성

    * 기업이나 공공 부문 이해관계자에게 새로운 제품·서비스, 규제 프로세스, 비즈니스 모델 등을 테스트 및 도입할 수 있는 물리적 또는 가상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 기관의 특정 계획에 따라 통제된 실제 환경에서 혁신을 테스트할 수 있는 제도

  - (민간 인센티브 제공) 설계에 따른 윤리 패러다임 등 새로운 정책 관점 도구를 통해 민간을 조기에 참여시키고 인센티브를 제공해 책임 있는 혁신 실현


⑤ 국제 협력(International co-operation) : 신흥 기술의 국경을 초월하는 특성을 인정하고 변화하는 지정학적 환경에 맞서 국제 협력 촉진

  - (미래지향적 대화 참여) 포용적이고 다자적인 포럼을 통해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 및 특정 기술 정책에 대한 가치 기반 토론 촉진

  - (공통 분석 및 증거 사용) 국제적 차원에서 새로운 기술 거버넌스를 알리기 위한 공통 분석과 잠재적 미래에 대해 합의된 형태의 증거 작성 지원

  - (기술 개발 협력 강화) 공통의 윤리적 관행, 규범 및 기술 거버넌스에 대한 이해의 발전과 함께 과학 기술 개발에 대한 국제 협력 강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