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풍미 전환 스캐폴드로 배양육에 맛있는 향을 입히다
- 등록일2024-08-08
- 조회수1814
- 분류생명 > 생물공학, 그린바이오 > 식품기술, 제품 > 바이오식품
-
발간일
2024-08-08
-
키워드
#배양육#풍미 전환 스캐폴드#풍미 화합물(멜라노이딘)#마이야르 반응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풍미 전환 스캐폴드로 배양육에 맛있는 향을 입히다
BioINwatch(BioIN+Issue+Watch): 24-52
◇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다양한 향미 화합물을 이용하여 배양육에 풍미를 더한 연구 결과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표. 기존의 배양육 연구는 육류의 모양을 모방하는 데에 집중되어 향미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했던 상황이었는데, 이번 연구 성과를 통해 자연적 풍미가 있는 배양육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 Nature communications, Flavor-switchable scaffold for cultured meat with enhanced aromatic properties, 2024.7.9 |
■ 국내 연구진이 고기를 구울 때 나오는 특유의 맛있는 향을 방출할 수 있는 배양육에 관한 연구결과를 발표
○ 연세대 홍진기 교수 연구팀은 마이야르 반응*을 모사하여 배양육을 150°C로 가열시 풍미 화합물을 방출하는 풍미 전환 스캐폴드(scaffold)를 개발
* 주로 단백질의 아미노산과 당이 특정 온도에서 만나 색이 갈색으로 변하는 현상으로, 음식의 맛과 향, 색을 풍부하게 함
- 풍미 전환 스캐폴드(Flavor-Switchable Scaffold)는 배양육 제작에 필요한 스캐폴드*인 젤라틴에 풍미 화합물을 결합시켜 고온에서 맛있는 향이 방출되도록 설계
* 배양육 제작에 있어 필수적인 성분으로, 육류 제품과 유사한 3차 구조를 형성하도록 세포를 지지하고 세포가 자랄 때 영양을 공급하는 식용 구조물
○ 연구팀은 전환 가능한 풍미 화합물(SFC,Switchable Flavor Compound)을 합성한 후 이를 젤라틴에 결합하여 고온에서 방출되는 풍미 전환 스캐폴드(Flavor-Switchable Scaffold)를 제작
< 전환 가능한 향미 화합물(SFC) 구조 >
- 전환 가능한 SFC는 퍼퓨릴머캅탄(구운 고기향이 나는 향미 역할)*과 메타크릴로일(젤라틴과 결합하는 역할)**을 HMDI***에 결합시켜 제작
* 메탄티올(CH3SH)로 치환된 퓨란 방향족 고리 화합물로, 마이야르 반응의 생성물인 구운 고기향이 남
** 메타크로일(methacryloyll)은 젤라틴과 결합하는 화합물로, 생체 적합성 및 생분해성이 뛰어나고 성형이 쉬워 생체 재료로 많이 이용
***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경화제로 많이 사용됨
○ SFC를 구성하는 2개의 메타크로일 그룹이 젤라틴과 결합하여 가교 역할을 하고, 이로 인해 풍미 화합물과 젤라틴이 결합된 풍미 전환 스캐폴드가 생성
- 여기에 소의 근육모세포(myoblast)를 증식, 분화시켜 배양육을 제작하였으며, 이 배양육을 150°C로 가열하게 되면 구운 고기향이 방출되는 방식
※ 특히, SFC의 풍미 성분인 퍼퓨릴머캅탄은 온도 반응성을 보이는 이황화(S-S) 결합을 통해 스캐폴드에 부착되어 있다가 특정 온도(150°C)에서 S-S 결합이 분해되어 풍미 화합물이 방출되도록 설계
< 풍미-전환 스캐폴드(Flavor-Switchable Scaffold)의 작용 메커니즘 >
a. 풍미 화합물과 젤라틴 골격으로 이루어진 풍미 전환 스캐폴드 구조
(i) 풍미(Flavor) 그룹인 퍼퓨릴머캅탄(Furfuryl mercaptan)과 젤라틴과의 결합(Binging) 그룹인 2개의 메타크릴로일(methacryloyll)로 구성된 전환 가능한 풍미 화합물(SFC)
(ii) 젤라틴 골격의 아미노기(-NH2)는 SFC의 메타크릴 작용기가 결합하여 스캐폴드를 형성
b. SFC를 함유한 젤라틴 스캐폴드에 소의 근육모세포(myoblasts)를 증식·분화시켜 만든 배양육의 이미지
c. 150°C로 가열시 풍미 화합물의 이황화(S-S) 결합이 끊어지면서 풍미 화합물이 방출
○ 이 기술의 특징은 스캐폴드에 결합시키는 풍미 화합물의 종류를 바꾸어 원하는 향을 지닌 배양육을 만들 수 있다는 점
- 연구팀은 마이야르 반응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풍미 화합물인 멜라노이딘류를 스캐폴드에 결합시켜 아몬드, 구운 빵, 꽃, 치즈 향 등이 추가된 배양육도 제조
< 마이야르 반응으로 생성된 다양한 풍미 화합물인 멜라노이딘(melanoidin) >
¶ 아미노산과 당의 양과 종류에 따라 만들어지는 다양한 마이야르 반응 생성물의 종류와 향을 분석하여 분류(비린내, 매운향, 시큼한 향을 Off-flavor로, 고기향, 고소한향, 유황향, 아몬드향, 구운빵향, 꽃향, 치즈향, 지방향, 과일향을 좋은향pleasant flavor로 분류)
■ 이번 연구성과는 배양육 지지체에 다양한 온도 반응성 풍미 화합물을 결합시켜 풍미가 향상된 배양육 개발에 기여 가능
○ 다양한 풍미 화합물을 풍미 전환 스캐폴드에 도입한다면 기존 육류의 복잡한 향미 특성을 모사한 배양육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 이전의 많은 연구가 고기의 모양을 모방하는 세포량, 분화, 스캐폴드 등에 관한 연구에 집중되어 향미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했던 상황
- 이번 연구는 별다른 향이 없던 배양육에 자연적 향미을 더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가열할 때만 풍미 화합물이 방출되도록 설계하여 기존의 향미 화합물의 휘발성 문제를 해결 가능
※ 연구팀은 “그동안 개발된 배양육은 별다른 향이 없는 상태에서 요리할 때 양념 등을 첨가해 맛과 향을 내는 방식이었다며 조리할 때 배양육 자체에서 진짜 고기향이 나도록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
- 또한 다양한 풍미 화합물을 동시에 입힐 수 있어 기존 육류의 복잡한 향미 특성을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참고 쌀에 소의 세포를 배양하여 만든 소고기 쌀(meat rice)
■ 연세대 홍진기 교수 연구팀은 쌀에 소의 근육과 지방 세포를 배양하여 만든 일명 ‘소고기 쌀(meat rice)’에 관한 연구결과를 발표
○ 쌀알에 소의 근육과 지방 세포를 부착시켜 최대 11일 동안 배양해 만든 소고기 쌀은 배양육 가운데 처음으로 쌀을 지지체(스캐폴드)로 사용
- 쌀을 스캐폴드로 사용하면 쌀에 영양을 추가하는 이점이 있으며, 소고기 쌀은 일반 쌀보다 단백질이 8%, 지방이 7% 더 많이 함유한 것으로 분석
< 쌀에 소의 근육과 지방세포를 배양한 소고기 쌀(meat rice) >
○ 연구팀은 소고기 쌀이 상용화된다면 훨씬 저렴한 가격에 식량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구호용 식량, 군사용 식량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특히 소고기 쌀은 실제 동물을 사육해 고기를 얻는 방식과 비교해 이산화탄소 배출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소고기 쌀로 밥을 지어본 결과, 일반 쌀밥과는 달리 단단하고 찰기가 없어 상용화를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
- 또한 쌀알에 세포가 잘 배양되도록 하여 단백질과 지방 함량을 높이는 동시에 가격을 낮추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
※ 이번 연구에서는 생선 젤라틴과 같이 널리 사용되는 식품 첨가물로 쌀알을 코팅하여 세포 부착과 성장을 개선시킴
원문 : Matter, Rice grains integrated with animal cells: A shortcut to a sustainable food system, 2024.3.3.6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pro [KRIBB 워킹그룹] 미래푸드 배양육은 현실적으로 가능할까? 2024-10-08
- BioINpro [KRIBB 워킹그룹] 지속가능 세계를 위한 미래푸드 2023-11-30
- BioINregulation 배양육 관련 규제 현황 및 정책제언 2023-08-23
- BioINpro [2023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하)] 대체육 생산의 고도화 (Advancement of technology for producing alternative meat) 2023-06-30
- BioINdustry 글로벌 배양육 시장 현황 및 전망 2022-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