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USDA, EPA, FDA, 생명공학 규제 조정 프레임워크에 따른 규제 개혁 계획 발표

  • 등록일2024-08-20
  • 조회수1797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4-08-20
  • 키워드
    #USDA, EPA, FDA#생명공학 규제 조정#규제 개혁 계획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USDA, EPA, FDA, 생명공학 규제 조정 프레임워크에 따른 규제 개혁 계획 발표

BioINwatch(BioIN+Issue+Watch): 24-54


◇ 미국 농무부(USDA), 환경 보호청(EPA), 식품의약국(FDA)은 ‘생명공학 규제에 대한 조정 프레임워크에 따른 규제 개혁 계획(Plan for Regulatory Reform under the Coordinated Framework for the Regulation of Biotechnology)’을 발표(2024.5.8.). 이는 바이든 행정명령(14081호)에 대한 후속조치로, 3개 기관이 협력하여 생명공학 제품에 대한 규정 및 감독 메커니즘을 업데이트, 간소화, 명확화하는 것이 목표

 ▸주요 출처 : usda.gov, USDA·EPA·FDA, 「Plan for Regulatory Reform under the Coordinated Framework for the Regulation of Biotechnology」, 2024.5.8.



1. 개요


■ 바이든 대통령은 지속가능하고 안전한 바이오경제를 위한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혁신 촉진 행정명령 14081호를 발표(2022.9)


○ 예측 가능하고 효율적이며 투명한 규제 시스템을 위해 규제를 명확히 하고 간소화함으로써 생명공학 제품의 안전한 사용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

○ 환경보호청(EPA), 식품의약국(FDA), 농무부(USDA)에 다음 사항을 지시

  - 생명공학 규제 조정 프레임워크(조정 프레임워크)의 규제 개선점 파악

  - 각 기관의 규제 역할, 책임 및 절차에 대한 쉬운 용어 정보 제공

  - 규제 개혁을 위한 계획 마련 및 제공

  - 생명공학 규제 통합 웹사이트 개선


■ 행정명령에 따라 EPA, FDA, USDA는 개선할 규제를 식별하고 새로운 규제 도입을 검토하는 등 규제 개혁 계획 발표(2024.5)


○ 의견 수렴(Request for Information)으로 얻은 조정 프레임워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 통합 및 반영

  - 조정 프레임워크에 해당하는 변형 식물, 변형 동물, 변형 미생물, 인체 의약품·생물학적 제제·의료기기에 대한 규제 및 각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교차 주제(cross-cutting issues)에 대한 의견 청취

○ 규제 개혁 계획은 조정 프레임워크 전반에 걸친 규제 조정을 강화하기 위해 EPA, FDA, USDA가 개별적으로 또는 협력하여 취할 조치에 대한 로드맵 제시

  - 규제 명확성 개선, 규제 감독 간소화, 규제 중복과 격차를 줄이는 것이 목표



2. 생명공학 규제에 관한 조정 프레임워크(조정 프레임워크)의 역사


■ 1986년, 조정 프레임워크 발표

○ 전통적인 유전자 조작 기술(예, 재조합 DNA 기술)로 개발된 제품에 대한 규제 프레임워크가 새로운 유전자 기술(예, 유전자 편집 기술)로 개발된 제품에도 적합한지에 대한 우려에 대응하여 조정 프레임워크 발표


■ 1992년, 조정 프레임워크 업데이트

○ 생명공학 제품이 환경에 도입될 때, 감독 체계에 대한 새로운 규칙 발표

  - 제조 과정보다는 제품의 특성, 도입되는 환경, 용도에 초점


■ 2015년, 조정 프레임워크 업데이트 지시에 대한 각서 발표

○ EPA, FDA, USDA에 지속적인 조정 프레임워크 업데이트 지시

  - 생명공학 제품에 적합한 연방 차원의 감독을 촉진하고 투명성을 높이는 동시에 혁신을 발전시키기 위한 프레임워크의 지속적 제공이 목표


■ 2016년, 생명공학 규제 시스템 현대화를 위한 국가전략 발표

○ 생명공학 제품의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연방 규제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위험을 평가할 수 있도록 준비

  - 주요 목표는 △ 규제 시스템의 투명성·효율성·예측 가능성 향상, △ 혁신 지원, △ 기관 간 협력 강화


■ 2017년, 조정 프레임워크 업데이트

○ 1986년과 1992년에 발표된 초기 조정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각 기관의 현재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하고, 기관 간 소통 메커니즘과 양해각서(MOU)의 범위 등을 설명


■ 2019년, 농업 생명공학 제품에 대한 규제 프레임워크 현대화

○ 생명공학의 발전에 따른 농업 분야 혁신에 대한 잠재력을 인정하면서 과도한 규제 부담을 완화하는 것이 목표

  - 과학적·기술적 증거에 근거하여 규제 결정을 내리고, 관련 법률에 따라 적절하고 일관성 있게 경제적 요인 고려

  - EPA, FDA, USDA는 180일 이내에 관련 규정 검토 후 간소화에 필요한 조치 이행


■ 2022년, 바이든 행정명령에 근거한 규제 프레임워크 업데이트



3. 규제 개혁 계획 주요 내용


◆ EPA, FDA, USDA는 변형 식물, 변형 동물, 변형 미생물, 인체 의약품·생물학적 제제·의료기기 및 각 분야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이슈(cross-cutting issues) 등 생명공학 제품 규제 분야에 대한 개선 계획 제시

○ 각 규제 분야에 대한 기관별 역할 및 계획 명시

  - 각 기관이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다른 기관과 협력하여 규제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목표



1) 변형 식물(Modified plants)


■ 주요 이슈

○ 규제 절차의 복잡성과 비효율성

  -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규제 절차

  - 유전자 변형 식물과 사전 검토된 신품종 식물 간 규제 접근 방식의 부조화

  - 기관별 규제 대상 제품 검토 타임라인 불일치

  - 기관 간 전문성 인정을 통한 예측 가능성과 효율성 향상 필요

○ 식품 안전 및 중복 규제 문제

  - 식품 안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작물의 일반 식품 공급 유입 우려

  - PIP(Plant-Incorporated Protectants)* 범위의 불명확성

    * 식물에 유전자를 도입하여 자체적으로 해충이나 질병에 저항성을 제공하거나, 해로운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는 농업용 보호물질

  - 유전자 변형 식물에 대한 중복 규제


 ■ 조치 및 계획

기관

조치 및 계획

USDA

· 규제 현황 검토(RSR) 절차 간소화

· 허가 절차 간소화 및 사용자 가이드 업데이트

· 생명공학 식품 목록 업데이트 절차 간소화

EPA

· PIP 등록 검토 절차 간소화

FDA

· 자발적 컨설팅 프로그램 참여자를 위한 절차 지침 개발

EPA & USDA

· PIP 규정의 명확화 및 간소화

FDA & USDA

· 유전체 편집 식물에 대한 규제 접근 방식의 명확화 및 조정

EPA, FDA, USDA

· 식품 안전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작물에 대한 관리 체계 구축



2) 변형 동물(Modified animals)


■ 주요 이슈


○ 유전자 변형 동물에 대한 규제 절차의 명확성 부족 및 복잡성

  - 이해관계자들은 FDA와 USDA의 지속적인 규제 절차 논의에도 불구하고 두 기관의 선호하는 결과가 다름을 지적하며 규제 간소화에 초점을 두고 논의를 마무리할 것을 촉구

  - 또한, FDA와 USDA가 2019년 3월 공식 합의에 따라 동물세포 배양 식품에 대한 규제 감독을 이행하기 위해 세운 원칙과 절차에 대한 정보 제공 요청

○ 변형 곤충 및 기타 무척추동물에 대한 규제 절차의 중복 및 불명확성


■ 조치 및 계획


기관

조치 및 계획

FDA & USDA

· 동물의 의도적 유전 변형(IGA)에 대한 규제 협력과 정보 공유에 대한 양해각서(MOU) 체결

· 배양 동물 세포 식품에 대한 규제 명확화 및 지침 제공

FDA

· IGA 감독에 대한 일반적인 접근법을 설명하는 최종 지침과 승인 절차에 대한 지침 초안 발표

EPA, FDA, USDA

· 변형 곤충 및 무척추 유해 동물 규제 관련 최신 정보 제공

· 변형 곤충의 규제 간소화 및 조정을 위한 협력

EPA

· 살충제로 사용하기 위한 유해 동물의 유전자 변형에 대한 지침 제공





3) 변형 미생물(Modified microorganisms)


■ 주요 이슈

○ 생명공학 미생물 분야의 발전에 따라 규제 명확화 및 기관 간 조화 개선 필요

  - 다양한 미생물 제품에 대한 기관별 역할 및 책임이 불분명함에 따라 중복 규제 및 비효율성 발생

○ 위험도에 따른 적절한 유전자 조작 미생물 관련 규제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기관 간 협력을 통한 통합적 접근 방식 필요

  - 기관 간 조율이 강화되면 이해관계자들의 혼란이나 기관별 규제 요건이 상충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조치 및 계획


기관

조치 및 계획

EPA & USDA

· 변형 미생물의 환경 방출에 대한 규제 역할절차정보데이터 및 승인 요건의 명확화 및 조정

USDA

· 규제 대상에 해당하는 변형 미생물에 대한 규정 명확화

· 비식물 유기체에 대한 위험 기반 규제완화로 상용화 경로 모색

· 효율성과 예측 가능성을 개선하기 위해 변형 미생물에 대한 허가 절차 간소화 및 사용자 가이드 업데이트

EPA

· ()별 주요 농약 관련 기관과 협력

· 개발된 효과적인 생물농약 도구를 농민에게 제공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생물농약 신청서에 대한 우선적 검토 및 개발자 기술 지원



4) 인체 의약품·생물학적 제제·의료기기(Human drugs, Biologics, and Medical devices)


■ 주요 이슈


○ FDA의 규제 혁신 및 관리 강화 요청

  - FDA는 인체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제와 관련된 여러 분야의 지침 발행 및 업데이트 필요

  - 항생물막 효능(Anti-biofilm claims)을 갖는 제품은 EPA가 아닌, FDA에서 규제 수행 및 관리 요청

○ 활성 의약품 원료의 국내 제조 육성 촉진


■ 조치 및 계획


기관

조치 및 계획

FDA

·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품의 승인 후 화학제조 및 품질관리(CMC) 변경 관련 개정안 및 특정 생명공학 제품의 승인 후 CMC 변경에 대한 감독의 명확화를 위한 지침 초안 발표

· 특정 유전자 편집 제품에 대한 감독 지침 개발

· CAR-T 세포 제품 개발 시 고려사항에 대한 지침 확정

· 세포 및 유전자 치료(CGT) 제품에 대한 효능 보증 지침 업데이트

· 의약품·유전자 치료 분야에서 국립보건원여러 공공 및 민간 기관과 협력





5) 공통 해당 이슈(Cross-cutting issues)


■ 주요 이슈


○ 생명공학 제품 규제에 대한 명확성 확보 및 개발자 지원 필요

  - 다양한 제품에 대한 기관의 책임, 데이터 요건 및 규제 프로세스, 의사 결정의 근거를 명확히 하는 간단하고 쉬운 용어 정보 제공 필요

  - 이해관계자들은 EPA, FDA, USDA에 각 기관별로 개발자에게 직접 규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전담 직원 배치 요청

○ 생명공학 규제를 위한 통합 웹사이트 업그레이드 필요

  - 웹사이트를 통해 쉬운 용어 요약과 사례 연구 등의 지침 및 문서 제공 요청

  - 이해관계자들의 질문과 업데이트를 위한 원스톱 창구로 활용할 것을 제안

○ EPA, FDA, USDA 간 조율 및 생명공학 제품 관련 연방 기관과의 협력 필요

  - 불필요한 규제 중복을 피하기 위한 단일 규제 시스템 구축 촉구

  - 공식적인 기관 간 조정 기구 설립 권장


■ 조치 및 계획


○ 생명공학 규제 통합 웹사이트 업데이트

  - EPA, FDA, USDA는 생명공학 제품에 대한 규제 역할, 책임 및 절차에 대한 쉬운 용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협력

  - 개발자가 제품 개발 과정 초기에 3개 규제 기관 모두에 정보를 제출하고 회의를 요청할 수 있는 메커니즘 개발 및 구현

○ 생명공학 규제를 위한 조정 프레임워크 업데이트를 위한 협력

  - EPA, FDA, USDA 간의 소통과 조정을 개선하기 위해 현재 MOU에 포함되지 않은 규제 프로그램을 추가함으로써 기존 정보 공유 MOU 업데이트

  - 과학기술의 발전에 대응하여 조정 프레임워크가 최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2년마다 검토 예정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