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일본, 바이오경제 전략 보고서 발표

  • 등록일2024-10-10
  • 조회수3045
  • 분류종합 > 종합



일본, 바이오경제 전략 보고서 발표


BioINwatch(BioIN+Issue+Watch): 24-64


 

  • ◇︎일본 내각부는 사회문제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전환하고 순환 경제 실현을 목표로 2030년까지 5개의 주요 바이오경제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과학기술혁신 정책 방향을 제시한 보고서를 발표

    ▸주요 출처 : 統合イノベーション戦略推進会議決定, バイオエコノミー戦略, 2024.6.3.



  • 바이오경제*는 글로벌 난제 해결 및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잠재력 보유
    생명과학과 재생 가능한 생물자원 등을 활용하여 지속 가능하고 재생 가능한 순환형 경제 사회를 확대시키는 개념

  • 세계 각국은 바이오기술의 진보를 바탕으로 바이오경제 실현을 위해 국가 전략을 수립하고 투자 및 규칙 형성 등의 노력을 강화함
    (미국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바이오제조 확대를 위한 집중 투자 발표(2022.9)
    - (EU) 유럽 재생에너지 지침 개정안(RED )을 채택하며 순환형 바이오경제 구축을 목표로 규제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2023.12)


  • 일본은 2030년 세계 최첨단 바이오경제 사회 실현을 목표로 2019년부터 바이오 전략을 수립하고 바이오경제 시장 확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

  • 기존 바이오 전략의 명칭을 바이오경제 전략으로 변경하고 전략 업데이트 및 후속 조치 발표(2021.6)

  • 바이오제조 등 바이오 분야에 총 1조 엔 규모의 대규모 예산을 책정하고 본격적인 국가 프로젝트 착수(2022)

  • 새로운 시장 형성을 위해서는 바이오제품의 수요 확대국내외 인재 및 투자 유치실용화를 위한 생태계 구축이 필요함을 강조
    순환형 사회지속가능한 1차 생산이 이루어지는 사회의료와 헬스케어가 연계되어 오래도록 사회 참여가 가능한 사회를 지향
    국내외 현황시장 성장성을 고려하여 민간 투자 촉진을 통해 2030년 국내외 100조 엔 규모의 시장 창출을 목표로 주요 시장 확대를 위한 노력 추진


  • 바이오경제 시장별 2030년 목표를 수립하고 그 실현을 위해 향후 정책 추진 방향을 제시하여 산···연이 연계된 노력 추진

<5대 시장별 목표 및 지원 방향>

  • 바이오제조 및 바이오 유래 제품

(시장 목표) 2030년까지 53.3조 엔 규모로 확대

(관련 지표) 2030년까지 바이오제조에 대한 민관 투자를 연간 3조 엔 규모로 확대하고 약 200만 톤의 바이오플라스틱 도입

(정책 추진 방향각 산업의 바이오제조로 전환고부가가치 제품 시장 확보미활용 자원 활용을 통한 환경 부하 저감 및 공급망 탄력성 향상


정책 방향

주요 내용

기술 개발

  • 바이오기술과 AI의 디지털 융합을 통한 미생물-세포 설계 플랫폼 육성

  • 생물유전자원-데이터 플랫폼 기반 정비

  • 연구 단계에서 상업적 생산 단계로 연결되는 바이오파운드리 기반 정비

  • 미활용 바이오매스 및 CO2 직접 이용 기술 개발

  • LCA, 국제 표준화 등 시장 확보를 위한 전략적 대응 추진

시장 환경

  • 저비용화·대량화 기술 개발로 경제적 가치 및 시장경쟁력 강화

  • 환경 부하를 저감하는 바이오 유래 제품의 평가 체계 및 인증 방법 구축

  • LCA 평가제품 규격 등 국제 표준화와 규칙 형성의 전략적 추진

  • 바이오 유래 제품의 시장 창출 및 확대 촉진

사업 환경

  • 바이오 제품의 비즈니스 생태계 및 공급망 확립

  • 해외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사업의 효율성 향상

  • 국제 표준화 및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 AI 및 생명공학 분야의 신기술 개발 및 인재 양성

  • 국내외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지원협력체계 강화

  • 바이오제조 장비의 국내 산업 기반 및 공급망 구축

데이터 활용 및 연계

  • 생물자원 데이터의 수집·확장·활용 촉진

  • 바이오와 디지털의 융합을 위한 데이터 플랫폼 기반 정비

  • 국내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데이터 활용 및 연계 방안 검토



② 지속가능한 1차 생산 시스템 (농림수산업)

- (시장 목표) 2030년까지 14.9조 엔(국내 1.7조 엔해외 13.2조 엔) 규모로 확대

- (관련 지표스마트 농업 기술의 활용 비율그린푸드 시스템 전략 KPI

※ 구체적 지표에 대해서는 향후 검토

(정책 추진 방향생산성과 지속가능성 양립을 위한 농업·식품 혁신 강화스마트 농업 기술 도입스타트업 지원 및 비즈니스 모델 창출국내외 시장 확대 및 수출 증대

정책 방향

주요 내용

기술 개발

  • 로봇, AI, loT 기술 등 첨단 기술 도입으로 스마트 농업 실용화 및 가속화

  • 신품종 개발폐자원 활용 기술 등 현장 수요에 대응하는 연구 개발 추진

  • 지속 가능한 농업 생산 시스템 구축을 통해 식량 안전성 확보

  • 스타트업 지원신사업 창출해외 연계 지원 등 바이오경제 활동 지원

시장 환경

  • 관련 법률 제정을 통해 스마트 농업 기술 활용 촉진

  • 보이는 탄소’ 프로젝트를 통해 탄소 감축량 측정 및 시각화

  • 바이오기술 및 첨단 기술 도입을 통한 혁신 창출

  • 정부 재정 지원 및 실증사업을 활용해 선진 기술의 해외 시장 진출 지원

  • 해외 시장 확보에 필요한 표준화 추진

사업 환경

  • 농업 빅테이터 연계 플랫폼(WAGRI, ukabis 활용 촉진

  • 산학관 공동 연계 거점 마련

  • 타 사업과의 연계 강화를 통해 인재 확보 및 성과 확산 촉진

  • 혁신 기술 도입 및 스타트업 지원을 통해 농업 생산성 향상

  • 지식재산권 확보 및 활용

  • 정부 재정 지원 및 세제 지원을 통해 농업 기술의 도입과 확산 촉진

데이터 활용 및 연계

  • 농업 빅테이터 연계 플랫폼(WAGRI, ukabis 활용 촉진(재인용)

  • 산학관 공동 연계 거점 마련(재인용)

  • 타 사업과의 연계 강화를 통해 인재 확보 및 성과 확산 촉진(재인용)

  • 산학관 연계 연구 기반 시설 정비

  • 농업 연구 데이터 인프라 강화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