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영국 생명과학국, ‘2024 생명과학 경쟁력 지수’ 발표

  • 등록일2025-01-14
  • 조회수3109
  • 분류종합 > 종합

 

 

영국 생명과학국, ‘2024 생명과학 경쟁력 지수’ 발표

BioINwatch(BioIN+Issue+Watch): 25-4

 


  • ◇︎영국 생명과학국은 다양한 측면에서 자국과 경쟁국의 생명과학 경쟁력을 분석한 ‘생명과학 경쟁력 지수(LSCIs)’를 발표. 한국은 GDP 대비 보건의료 정부 R&D 투자에서 3위, 피인용 상위 1% 논문 비율, IPO(기업공개)와 Equity finance(자기자본)에서 4∼6위를 보이며 이들 경쟁력 지수에서 비교적 우위인 것으로 조사

주요 출처 GOV.UK, Life sciences competitiveness indicators 2024, 2024.7.11



◆︎ 영국의 생명과학국(OLS)*은 영국을 중심으로 한 생명과학 경쟁력 지수(LSCIs,LifeScienceCompetitivenessIndicators)를 발표(2024.7)

Office for Life Sciences: 영국의 생명과학 혁신역량을 강화하고 의약품의료기기 분야 연구성과 및 기술의 산업화를 지원하기 위해 2009년 설립

○ 다양한 측면에서 영국과 주요국의 생명과학 현황을 분석하여 정책적 개선과 투자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를 강화하는 목적에서 매년 발표

영국과 주요 경쟁국을 대상으로 6개 생명과학 부문(연구환경자국 내 시장생산환경국제협력투자환경인재양성)에 대한 경쟁력 지수를 조사

 2024년 보고서에는 20202022년 코로나19 기간을 포함하여 분석데이터의 가용성과 지표의 특성에 따라 비교 대상 국가는 다르며일부 지표에서는 13개국을 대상으로 조사

 

< 6개 부문별 생명과학 경쟁력 지수의 세부 지표 구성 >


부문

지수

세부 지표 구성

연구환경

 

1. 보건의료 R&D

1.1 GDP 대비 정부 R&D 예산1.2 GDP 대비 민간(비영리) R&D 총지출액 1.3 GDP 대비 고등교육기관 R&D 총지출액

2. 임상시험

2.1 글로벌 임상시험에 참여한 환자 비율2.2 규제 당국의 임상시험 승인 속도

3. 학술논문 피인용

3.1 의학 분야 논문의 피인용 점유율3.2 전체 의학 분야 논문 중 피인용 상위 1% 논문 비중

4. 특허

4.1 인구 천명 당 PCT 특허 출원수4.2 생명과학 기술의 상대 집중 지수(RSI,Relative specialization Index)

자국 내 시장

1. 의약품 접근성

1.1 EMA 승인 의약품 수1.2 EMA 승인 신약의 시장 출시율,

1.3 승인 의약품의 시장 출시 속도

2.진단기술의 가용성·활용성

2.1 인구 백만명 당 CT·MRI·PET 장비 수,

2.2 인구 천명 당 CT·MRI·PET 검사 수

생산환경

1. 고용

1.1 의약·의료기술 분야 고용

2. GVA

2.1 의약품 제조의 총부가가치

국제협력

1. 의약품 수출수입

1.1 의약품 수출액 규모1.2 의약품 수입액 규모

투자환경

1. FDI

1.1 생명과학 분야 외국인 직접 투자(FDI)를 통해 조달한 자금 규모

2. IPO

2.1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이 IPO를 통해 조달한 공모금 규모

3. Equity finance

3.1 생명과학 기업이 주식 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 규모

인력 접근성

1. 숙련

1.1 전체 대학 졸업생 중 자연과학수학 통계 졸업생 비율,

1.2 영국의 생명과학 견습생 수

출처: Life sciences competitiveness indicators 2024: summary, 2024.7.11.

 

  •   생명과학 경쟁력 지수(LSCIs)에서 각 부문별 영국의 주요 성과 요약

(1) 연구환경

○ 영국 정부의 GDP 대비 보건의료 R&D 비중은 0.13%로 미국(0.18%)에 이어 2를 기록하며이 분야의 정부 R&D 투자가 높은 국가

전 세계 의학 논문 피인용 점유율은 11.5%로 미국(31.6%)과 중국(24%)에 이어 3피인용 상위 1% 논문 비율은 1(1.8%)로 의학 분야에서 연구 영향력이 큰 국가

 영국은 의학 논문 피인용 점유율에서 2011~2017년까지 2위였으나, 2017년 이후 점유율이 크게 증가한 중국에 밀려 3위를 유지 중

전 세계 임상시험 참여 비율은 2.6%로 4위를 기록했으나 임상시험 승인에 소요되는 시간은 평균 273일로 8위를 기록

☞ 영국은 정부의 보건의료 R&D 투자 비중이 높고 의학 연구에 영향력이 크며 임상시험 참여율도 높은 국가이나규제 당국의 승인 절차를 효율적으로 개선하여 임상시험 승인 속도를 단축할 필요가 있음

 

(2) 자국 내 시장

○ 20192022년 EMA 승인 의약품 수는 93(7)로 유럽 내 주요 13개 경쟁국 평균(98.4) 보다 낮아 신약개발 경쟁력 개선 노력 필요

승인된 의약품의 56%(7)만 환자에게 제공되었는데 이는 유럽 평균보다 낮은 수치로 의약품 접근성 향상을 위한 개선 또한 필요

☞ 영국은 신약 도입 및 사용 확대접근성 제고를 위한 노력 필요

(3) 생산환경

○ 의약품 제조 산업의 총부가가치(GVA, Gross Value Added)가 2021년 약 137억 파운드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독일(250억 파운드)프랑스(141억 파운드) 이어 유럽 내 3

2017년 이후 의약품 제조 GVA는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국가 경제에 기여

 

(4) 국제협력

○ 영국의 의약품 수출액은 20172021년 감소세에서 2022년 이후 회복세로 전환되었지만 2023년 수출액은 256억 파운드로 여전히 경쟁국에 비해 낮은 순위(2023년 10)를 기록

2023년 의약품 수입액도 2022년 대비 18% 감소(249억 파운드)하여 10위를 기록

☞ 영국은 의약품 원료의료기술의약품 등의 수출입 시장 다각화를 위한 국제협력 강화 전략 필요

 

(5) 투자환경

○ 생명과학 분야 외국인 직접 투자(FDI, Foreign Direct Investment)는 2021년 이후 연속 감소하여 2023년 8억 파운드로 8위에 머무름

생명과학 기업 IPO는 2021년 9건에서 감소 추세를 보이며 2023년 0

※ 중국과 미국도 2021년 대비 2023년 IPO 건수가 크게 감소하였고중국미국홍콩한국일본인도프랑스 외의 국가는 2023년 생명과학 기업 IPO가 없었음

2023년 Equity finance로 조달된 금액은 2022년 대비 14% 감소한 29 파운드로 미국(526억 파운드)중국(124억 파운드)에 이어 3위를 기록

☞ 2023년 크게 감소한 FDI와 IPO는 영국의 투자 매력도 하락 가능성을 시사투자 인센티브 강화국제 무역 및 투자 협정 확대 등 규제 완화투자 장려 정책 수립 필요

 

(6) 인력 접근성

○ 대학에서 자연과학수학통계 전공 졸업생 비율은 2021년 8.7%로 인도(16%)에 이어 2위를 기록했으나 하락하는 추세

☞ STEM 인재 육성 및 유치를 위한 교육 투자와 이민 정책 개선 필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