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체내에서 직접 생산되는 in vivo CAR-T 세포치료제

  • 등록일2025-07-02
  • 조회수1517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제품 > 바이오의약
  • 원문링크
  • 발간일
    2025-07-02
  • 키워드
    #in vivo CAR-T#mRNA 기술#표적화 지질 나노입자(tLNP)
  • 첨부파일



체내에서 직접 생산되는 in vivo CAR-T 세포치료제

BioINwatch(BioIN+Issue+Watch): 25-41


      ◇ CAR-T 세포치료제의 복잡한 제조 공정고비용 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체내(in vivo)에서 직접 CAR-T 세포를 생성하는 연구가 진행 중최근 높은 전달 효율과 실제 환자 세포마우스 모델영장류 모델에서효과를 확인함에 따라 자가면역 질환이나 암과 같은 만성 질환 치료에 대한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Science, In vivo CAR T cell generation to treat cancer and autoimmune disease, 2025.6.19; Science, Engineering immunotherapy from within, 2025.6.19



◆︎  CAR-T 세포치료제의 복잡한 제조 공정고비용 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체내(in vivo)에서 직접 CAR-T 세포를 생성하는 연구가 진행 중

○ CAR-T 세포치료제는 혈액암에서 뛰어난 치료 효과를 보여왔지만환자 체외에서 세포를 조작해야 하므로 복잡한 제조 과정과 고비용접근성 제한 등이 해결해야 할 문제

자가면역 질환 치료를 위한 CAR-T 세포치료제의 활용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지만대규모 환자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간편하고 안전한 치료법이 도입이 필요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n vivo에서 직접 CAR-T 세포를 생성하는 새로운 전략을 제안(연구팀미국 Capstan Therapeutics)

외부 조작 없이 체내에서 직접 CAR-T 세포를 생성할 수 있도록 mRNA 기술과 표적화 지질 나노입자(targeted lipid nanoparticles, tLNPs)* 기반의 전달기술을 활용

지질 나노입자(LNP)는 mRNA 백신(화이자 COVID-19 백신 등)에서도 사용된 기술로, mRNA를 안정적으로 세포 내로 전달하는 데 사용. tLNP는 여기에 표적화 요소(targeting moiety)를 결합하여 특정 세포만 선택적으로 mRNA를 받아들이게 하는 전달체

 

◆︎  특정 T세포 하위 집단을 대상으로 한 tLNP 전달을 통해 CAR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발현시켜 CAR-T 세포치료제를 체내에서 직접 생성

○ 전체적인 과정은  tLNP 제작 및 주사 →  환자 체내에서 CD8+ T세포가 CAR-T세포로 변환 →  CAR-T세포가 CD19+ B세포를 인식하고 제거

tLNP 생산내부에 CD19 CAR를 암호화하는 mRNA를 포함하며나노입자 표면에는 CD8+ T세포 타깃 항체를 부착하여 특정 T세포(CD8+ T세포)에만 유전자를 전달하여 발현되도록 설계

※ mRNA는 일시적으로만 발현되며 유전자 삽입(integration)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음

체내에서 CAR-T세포 생성: tLNP가 혈액 내를 순환하면서 CD8+ T세포에 결합한 후 세포 내로 흡수된 tLNP 내 mRNA로부터 CAR 단백질을 발현

※ CD8+ T세포만 선택하므로 CD4+ T세포에 의한 부작용(CRS, 자가면역 증폭 등)을 피할 수 있음

B세포 인식 및 제거생성된 CAR-T세포는 CD19+ B세포를 인식면역 시냅스를 형성하고 세포독성 물질(Granzymes, Perforin )을 분비하여 B세포 제거

※ 림프종 등 CD19+ 혈액암 뿐만 아니라 루푸스다발성 경화증류마티스 관절염 등 B세포 기반 자가면역 질환 치료 가능


 

< In vivo CAR-T 세포치료제 생성 과정 >

 

출처 : Science, Engineering immunotherapy from within, 2025.6.19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