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기후변화 대응기술로 미생물 패러다임 확산
- 등록일2025-07-08
- 조회수739
- 분류생명 > 생명과학,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환경기술
- 원문링크
-
발간일
2025-07-08
-
키워드
#기후변화 대응#미생물 기반 기술#바이오 연료 생산#오염 정화 및 탄소 격리#지속 가능한 농업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기후변화 대응기술로 미생물" 패러다임 확산
BioINwatch(BioIN+Issue+Watch): 25-43
◇ 생물학, 보건, 기후, 경제, 공공 정책 등에서 활동하는 15인의 다학제 전문가들이 함께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미생물 기반 기술이 필수적인 열쇠이며, 이를 위해 과학·정책·경제·사회가 함께 움직여야 한다"는 실질적 행동 선언문을 발표.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미생물 기반 기술이 ‘은탄환(silver bullet)’은 아니지만, 재생에너지, 생태복원, 순환경제 전략과 결합하여 탄소중립과 생물다양성 보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핵심 기술 중 하나임을 강조 ▸주요 출처 : Nature, Microbes can capture carbon and degrade plastic - why aren’t we using them more?, 2025.3.25 |
◆︎ 15인의 다학제 전문가*,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미생물 기반 기술이 필수적인 열쇠이며, 이를 위해 과학·정책·경제·사회가 함께 움직여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은 실질적 행동 선언문 발표
* 생물학, 보건, 기후, 경제, 공공 정책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로 구성
○ 지구를 지탱해 온 미생물은 약 40억 년 동안 지구 환경을 형성해 왔으며, 1조 종 이상의 미생물이 생태계의 주요 기능(산소 생성, 탄소 격리, 생분해 등)에 기여
- 일부 미생물은 극한 환경에서 생존하며, 메탄, 금속, 유기물 등 다양한 에너지원으로 살아가고, 상온과 상압에서 복잡한 화학 반응을 수행
○ 이는 고온·고압·고에너지 환경을 요구하는 기존 산업공정에 비해 에너지 효율성과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큰 장점
- 이러한 미생물의 생물학적 능력은 연료, 비료, 플라스틱 등의 생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오염물질 정화, 온실가스 감축, 자원 재활용 등 환경 회복에도 활용 가능
※ 전통적인 암모니아 합성 비료는 연간 4억 5천만 톤의 CO₂를 배출하며, 이는 전체 배출량의 1.5%에 해당. 수질 오염, 녹조, N₂O(아산화질소) 발생 등 2차 오염을 유발
○ 국제적 전문가 회의*에서 기후변화에 기여할 미생물 기술의 3가지 핵심 분야를 분석하고, 기술적·경제적 타당성이 입증된 사례들을 확인
* 국제 미생물학회(International Union of Microbiological Societies)와 미국 미생물학회(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가 주도한 전문가 회의(2023년 12월)
< 미생물 기술의 3가지 핵심 응용 분야 >
응용 분야 | 주요 내용 | 사례 |
바이오연료 생산 | 미생물은 폐기물, 가스, 바이오매스 등을 활용해 다양한 연료 및 화학물질을 생산 | LanzaTech(미국): 산업 가스를 먹이로 하는 미생물이 생성한 에탄올을 항공연료로 전환 NatureWorks(미국): 사탕수수, 카사바, 비트 등으로부터 폴리머, 생분해성 플라스틱, 섬유 생산 |
오염 정화 및 탄소 격리 | 미생물은 플라스틱, 석유, 메탄, 농약, 의약품 등의 오염물질을 분해하거나, 온실가스를 포집 및 전환 | arbios(프랑스): PET 플라스틱을 분해 하는 개량 효소 개발, 재활용률 향상 Oil Spill Eater(미국): 원유 유출 사고에 미생물 기반 정화제 사용 Floating Island International (미국): 인공섬 하부에 메탄 분해 미생물을 정착시켜 호수의 메탄 방출량을 감소시키고 탄소 흡수원으로 전환 |
지속가능한 농업 (비료·농약 대체) | 화학비료 대신 질소고정균 등 미생물 이용 → 온실가스 배출 감소 바이오비료 및 미생물 기반 생물농약이 인간과 동물에 무해하면서도 효과적 | 질소고정 미생물은 상온·상압에서 공기 중 N₂를 NH₃로 전환 바이오비료는 토양 내 미생물 활동을 증진시켜 작물 생장에 필요한 영양소를 자연적으로 공급 생물농약은 인간과 동물에 무해하며, 기후에 미치는 영향도 적음 |
출처 : Nature, Microbes can capture carbon and degrade plastic - why aren’t we using them more?, 2025.3.25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 사이보그 올챙이를 통한 신경 발생 연구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