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WEF, 2025년 10대 미래유망기술 선정
- 등록일2025-07-10
- 조회수80
- 분류종합 > 종합
- 원문링크
-
발간일
2025-07-10
-
키워드
#10대 미래유망기술#WEF#2025년 미래유망기술#에너지 전환#정밀의료
- 첨부파일
WEF, 2025년 10대 미래유망기술 선정
BioINwatch(BioIN+Issue+Watch): 25-44
◇ 최근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은 Frontiers와 협업으로 “2025년 미래유망기술(Top 10 Emerging Technologies of 2025)”을 발표. 에너지 전환, 정밀의료, AI 기반 기술 등 다양한 혁신기술이 포함되었으며, 신경퇴행성 질환용 GLP-1 계열 치료제, 자율 생화학 센서, 살아있는 치료제, 나노자임, 그린 질소 고정이 바이오 관련 기술로 선정 ▸주요 출처 : World Economic Forum, 「Top 10 Emerging Technologies of 2025」, 2025.6. |
◆︎ WEF는 Frontiers와 공동으로 전문가 추천과 AI 기반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산업·사회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10대 유망기술을 선정·발표
○ AI 기반 트렌드 분석기(AI Trend Analyzer)를 활용하여 후보기술을 도출하고, 기술별 과학적 진보, 전략적 영향, 생태계 준비도, 확산
가능성, 시스템 수준 변화 가능성 등 5개 기준에 따라 평가
- 기술별 전략적 전망(Strategic Outlook) 및 전환 지도(Transformation Map)를 통해 기술의 변혁 가능성과 글로벌 아젠다 간의 연계 구조를
제시
※ 전략적 전망은 두바이미래재단(Dubai Future Foundation)이 개발하였으며, 각 기술의 시스템적 변혁성과 메가트렌드와의 연결성을
종합적으로 분석
111
< WEF 전략적 인텔리전스 전환 맵 예시(그린 질소 고정 기술) >
출처 : World Economic Forum, 「Top 10 Emerging Technologies of 2025」, 2025.6.
11
◆︎ 올해 선정된 기술들은 에너지 전환, 정밀의료, AI 기반 기술 등 크게 3가지로 구분 가능
< WEF 선정 2025년 10대 미래유망기술 >
분류 | 기술명 | 설명 |
에너지 | 구조형 배터리 복합소재 (Structural Battery Composites) | 에너지 저장 기능과 구조적 강도를 동시에 제공하는 복합 소재로, 차량이나 항공기의 외장 구조물 자체가 배터리 역할을 수행 |
삼투압 발전 시스템 (Osmotic Power Systems) | 염분 농도 차이를 활용해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로, 담수화·자원 회수 공정과 연계되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 | |
차세대 원자력 기술 (Advanced Nuclear Technologies) | 소형모듈원자로(SMR)와 고온가스냉각로 등 차세대 원자로 기술을 기반으로, 분산형 청정에너지 공급과 산업 탈탄소화를 동시에 추진하는 신형 원자력 시스템 | |
그린 질소 고정 | 고온·고압·화석연료 기반의 기존 질소 고정 대신, 전기화학·생물학 기반 기술을 활용해 암모니아를 분산형·저탄소 방식으로 생산하는 차세대 식량·에너지 전환 기술 | |
정밀 | 신경퇴행성 질환용 GLP-1 계열 치료제 (GLP-1s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 | GLP-1 수용체 작용제를 활용해 알츠하이머·파킨슨병의 염증·독성 단백질 제거 등 신경보호 효과를 기대하는 약물 재창출 전략 |
자율 생화학 센서 | 에너지 자가공급·무선통신 기반 생물학적 센서를 통해 인체건강·환경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자율 감지 기술 | |
살아있는 치료제 (Engineered Living Therapeutics) | 유전공학으로 설계된 미생물이 체내에서 약물을 자가 생산·분비함으로써 치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차세대 생체 기반 치료 시스템 | |
나노자임 | 자연 효소의 기능을 모방하면서도 더 높은 안정성과 저비용 생산을 가능케 하는 인공 촉매 나노 소재로, 정밀의료·환경정화·산업촉매 등에서 차세대 대체 기술로 부상 중 | |
AI | 협업 감지 | 센서 간 실시간 연결과 AI 융합을 통해 환경·도시·모빌리티 등의 데이터를 공동 분석하고, 맥락 인식 기반의 자율적 판단을 가능하게 하는 분산형 감지 네트워크 기술 |
생성형 워터마킹 | 생성형 AI 콘텐츠에 식별 가능한 워터마크를 삽입해 진위와 출처를 검증함으로써, 정보 신뢰성과 디지털 투명성을 확보하는 기술 |
¶ 바이오 관련 기술 밑줄 표시
출처 : World Economic Forum, 「Top 10 Emerging Technologies of 2025」, 2025.6.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 기후변화 대응기술로 미생물 패러다임 확산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