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미국 하버드대 벨퍼센터, 2025년 5대 핵심신흥기술(CET)에 대한 경쟁력 지수 발표

  • 등록일2025-08-08
  • 조회수4553
  • 분류종합 > 종합

미국 하버드대 벨퍼센터, 2025년 5대 핵심신흥기술(CET)에 대한 경쟁력 지수 발표

BioINwatch(BioIN+Issue+Watch): 25-51


      ◇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산하 벨퍼센터는 5대 핵심신흥기술 분야(AI, 생명공학, 반도체, 우주, 양자)를 중심으로 25개국의 기술력을 비교 분석. 미국과 중국이 5개 분야 모두에서 큰 격차로 1, 2위를 차지한 가운데 한국은 반도체 분야에서의 우위를 바탕으로 5개 첨단기술 부문 종합 순위에서 5위를 기록




주요 출처 Harvard Kennedy School, 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anational Affairs, Critical and Emerging Technology Index, 2025.6, https://www.belfercenter.org/critical-emerging-tech-index







◆︎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산하 벨퍼센터는 5대 핵심신흥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25개국의 기술력을 비교 분석

인공지능생명공학반도체우주양자의 5대 핵심신흥기술 지수 보고서(Critical and Emerging Technologies Index Report)를 발표

○ 5대 핵심신흥기술 분야별 총 47개 지표(Pillar)를 선정하고 이를 종합하여 국가별 점수를 발표(2025.6.5.)

미국이 84.3점으로 1를 차지그 뒤를 중국(65.6), EU(41)일본(23.8)한국(20/5)영국(19.1)독일(18.6)대만(16) 순으로 높은 점수를 기록

 

국가별 핵심신흥기술(CET) 종합지표 점수 >




< 5대 기술 분야별 종합지표 점수 >


순위

국가

인공지능

(AI)

생명공학

(Biotechnol.)

반도체

(Semiconductors)

우주

(Space)

양자

(Quantum)

전체

(Total)

1

미국

22.7(1)

17.2(1)

26.4(1)

13.8(1)

4.2(1)

84.3

2

중국

14.5(2)

16.8(2)

22.1(2)

8.4(2)

3.8(2)

65.6

3

유럽

11.6

11.6

8.3

6

3.6

41

4

일본

3.3

4.7

10.5

3.3

2

23.8

5

한국

3.5(9)

3.4(10)

9.4(5)

2.5(13)

1.2(12)

20

6

영국

4.7

4.6

3.8

3.7

2.4

19.1

7

독일

4.7

4.3

3.8

3.6

2.2

18.6

8

대만

2

1.7

10.1

1.6

0.6

16

9

프랑스

4.6

3

1.9

3.8

2

15.3

 

 

 

 

 

 

 


출처Belfer Center, Critical and Emerging Technology Index, 2025.6

 

○ 점수 산정 방식

① 각 Pillar별 정규화 점수* × ② Pillar 가중치 × ③ 기술 분야별 가중치** 합산하여 산출되며 결과는 대시보드를 통해 시각화

각 pillar별 Sub-metrics 데이터를 국가별로 수집한 뒤국가 간 비교가 가능하도록 정규화하여 수치화한 점수

** 각 pillar·기술별 지정학적 영향력공급망 리스크기술 성숙도, GDP 기여도 등 전략적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중치를 배정

※ 가중치반도체 35%, 인공지능 25%, 생명공학 20%, 우주기술 15%, 양자기술 5%

- (핵심지표모든 기술 분야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5개의 공통지표와 기술 분야별 35개의 특화 지표로 구성된 총 47개 핵심 지표를 바탕으로 3,375개의 세부 Sub-metrics 데이터를 수집·정규화

 

<2> 공통·특화 핵심 지표(Pillar) 요약


기술 분야

공통·특화 지표(Pillar)

Sub-metrics 예시

공통

경제자(Economic Resources)

R&D 투자 규모민간·공공 자본 조달 수준

인적 자본(Human Capital),

연구개발 인력 수고급 과학 인력논문·특허 실적

안보 역량(Security)

안보 목적 활용도국방 R&D 연계 수준

규제 환경(Regulatory)

·규제 체계 적합성승인 속도

글로벌 경쟁력(Global player)

다자협력국제 표준화 기여도

인공지능(AI)

알고리즘

최첨단 ML 알고리즘 개발 역량

컴퓨팅파워

컴퓨팅 파워 구축·활용 역량클라우드 인프라

데이터

고품질 데이터 확보 역량빅데이터 접근성

최상위 AI 모델 정확도

대표 AI 모델 성능

생명공학

(Biotechnology)

의약품 생산

바이오 제조 인프라대규모 생산 능력

유전공학

유전자편집 기술 성숙도관련 특허

백신 연구

백신개발 R&D 역량

농업 기술

농생명 기술 적용 사례(유전자변형 작물동식물 품종개량)

반도체

(Semiconductors)

Chip 설계·도구

칩 설계·SW, IP 보유 역량

제조·공정

첨단 반도체 제조·공정 기술력클러스터화 수준

장비

제조장비 국산화율장비 조달 안정성

조립·테스트

OSAT 기업 역량고급 패키징테스트 자동화

고급특수소재웨이퍼(Wafers)

고품질 웨이퍼와 특수 소재 확보·공급 역량첨단 공정용 박막 재료 기술 수준

우주(Space)

자국 발사 역량

자국 보유 발사체 수연간 발사 횟수·성공률발사장 인프라

과학 탐사 역량

·무인 탐사 미션 수행 실적연구논문 수국제협력 탐사 프로그램 참여도

위치·항법·시각(PNT) 인프라

GNSS(위성항법시스템 구축 여부위성 기반 정밀 위치·시각 정보 제공 범위서비스 신뢰성 및 시스템 갱신 주기

원격탐사(지구 관측)

지구 관측 위성 수·해상도원격 탐사 데이터 활용도(농업·기후·안보 등), 데이터 처리·분석 플랫폼 보유

위성통신 역량

위성통신망 구축 규모글로벌 커버리지·트래픽 처리량상업·군사 통신 서비스 제공 역량

양자(Quantum)

양자 컴퓨팅

큐비트(Qubit) 에러율양자 프로세서 상용화 단계

양자 센싱

양자센서 특허 수상용화 제품 수고감도 센서 기술 개발 역량

양자 통신

양자 암호통신 네트워크 구축위성 기반 양자통신 실증 실적

정책 환경

국가 양자기술 로드맵 수립 여부표준화 및 규제 체계 구축 수준


출처Belfer Center, Critical and Emerging Technology Index, 2025.6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