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데이터와 AI를 활용한 초강력 수중 접착제 개발

  • 등록일2025-08-25
  • 조회수18184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발간일
    2025-08-25
  • 키워드
    #초강력 수중 접착제#데이터 기반 설계#합성 및 접착력(실험) 평가#실험 데이터 기반 AI 모델 개발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25-55(8.21)●데이터와 AI를 활용한 초강력 수중 접착제... (다운로드 34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데이터와 AI를 활용한 초강력 수중 접착제 개발

BioINwatch(BioIN+Issue+Watch): 25-55


      ◇ 물속에서 강력하게 작동하는 접착제 개발은 의료, 해양공학, 건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오랫동안 해결하지 못했던 과제였으나, 최근 “단백질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마이닝 → 합성 및 실험 → 머신러닝 → 검증 및 성능 평가”를 통해 초강력 수중 접착제를 개발. 기존의 시행착오 방식에 비해 개발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뿐만 아니라 소재 개발 방법론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을 제시




주요 출처 Nature, Data-driven de novo design of super-adhesive hydrogels, 2025.8.7







◆︎ 물속에서 접착력이 우수하게 오래가는 접착제 개발은 의료, 해양공학, 건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오랫동안 해결하지 못했던 과제

○ 기존 접착제들은 물에 노출되면 접착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 

수술용 봉합제나 해양 구조물 수리 등 극한 환경에서 사용가능한 접착제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

그러나 수중 접착제 개발은 수많은 재료 조합의 가능성과 복잡한 상호 작용으로 인해 주로 시행착오에 의존하여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

○ 일본 홋카이도대학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연에서 영감을 얻는 동시에 최신 데이터 과학을 접목시키는 혁신적 접근법을 채택

데이터 마이닝 기반 설계를 통해 하이드로젤 합성 및 접착력을 평가 후 이 데이터로 학습시킨 머신러닝 모델을 통해 새로운 조합의 초강력 접착 하이드로젤을 발견

◆︎ 단백질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마이닝 → 합성 및 실험 → 머신러닝 → 검증 및 성능 평가를 통해 초강력 수중 접착제를 개발

○ NCBI에서 홍합, 따개비 등 해양 생물의 접착 단백질 24,707개를 분석하여 핵심 패턴을 추출

그러나 단백질을 직접 사용하는 것은 너무 비싸(g당 수백만 원) 실용적이지 않기 때문에 연구팀은 단백질의 기능적 특성을 6가지로 분류, 이를 모방하는 저렴한 화학 모노머로 대체

※ 20개 아미노산을 6개 기능 클래스로 분류하고 클래스별 대표 모노머(BA, HEA, CBEA, ATAC, AAm, PEA)를 선택



아미노산 기능 분류와 대응 화학 모노머 >


기능 분류

아미노산

대표 화학 모노머

소수성(Hydrophobic)

Val, Leu, Ile, Met, Phe

BA(Butyl Acrylate)

친핵성(ucleophilic)

Ser, Thr, Cys

HEA(2-Hydroxyethyl Acrylate)

산성(Acidic)

Asp, Glu

CBEA(Carboxyethyl Acrylate)

양이온성(Cationic)

Lys, Arg, His

ATAC(Acrylamidoprop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아미드(Amide)

Asn, Gln

AAm(Acrylamide)

방향족(Aromatic)

Phe*, Tyr, Trp

PEA(2-Phenylethyl Acrylate)



데이터 기반 수중 접착 하이드로젤 설계 개념도 >

데이터 기반 수중 접착 하이드로젤 설계 개념도

 데이터 마이닝 기반 설계를 통해 하이드로젤 합성 및 접착력을 평가한 후 이 데이터로 학습시킨 머신러닝 모델을 통해 새로운 조합의 초강력 접착 하이드로젤을 발견

출처 : Nature, Data-driven de novo design of super-adhesive hydrogels, 2025.8.7.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