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Genome Editing-AI Robotics(GEAIR)로 작물 교배 자동화 시스템 구현
- 등록일2025-09-23
- 조회수16106
- 분류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발간일
2025-09-23
-
키워드
#Genome Editing#AI Robotics#GEAIR#정밀교배(수분) 자동화#정밀농업
- 첨부파일
Genome Editing-AI Robotics(GEAIR)로 작물 교배 자동화 시스템 구현
BioINwatch(BioIN+Issue+Watch): 25-63
◇ Genome Editing 기술과 AI Robotics로 정밀교배(수분) 자동화를 구현한 작물-로봇 Co-design 연구 결과가 발표. 수작업에 의존하던 육종 공정을 자동화하여 신품종을 신속히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육종 패러다임을 제시. 향후 종자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정밀농업 전환을 가속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 Cell, Engineering crop flower morphology facilitates robotization of cross-pollination and speed breeding, 2025.8.11. |
◆ Genome Editing 기술과 AI Robotics로 정밀교배(수분) 자동화를 구현한 작물-로봇 Co-design 연구 결과가 발표
○ AI Robotics는 작물 생산성 제고, 비용 절감, 지속가능한 농업으로 정밀농업 전환의 핵심도구로 주목받고 있으나, 정밀육종 분야에서는 복잡한 꽃 구조로 적용에 한계가 존재
- 복잡한 꽃 구조로 인해 수술 제거, 수분 공정이 고숙련 수작업에 의존, 처리량·비용·노동 투입 측면에서 병목이 발생
※ 특히 토마토와 대두는 암술이 수술에 가려진 형태(암술 함몰)로 로봇 교배가 사실상 불가능
○ 최근 중국과학원 연구팀은 유전자편집기술로 꽃 구조를 재설계하여 로봇이 꽃을 감지하여 조작하기에 최적화된 형태로 만들어 정밀교배(수분) 공정을 자동화하는 방안을 제시
- (Genome Editing) CRISPR 기술로 암술돌출과 웅성불임(male sterility)* 형질을 도입하여 로봇이 암술을 쉽게 인지하여 접근할 수 있도록 작물의 유전자를 편집
* 꽃가루가 동일 개체의 암술머리로 이동해 자가수분이 일어나는 경로를 구조적으로 차단
- (AI Robotics) 딥러닝 인지 시스템이 수분 적기의 암꽃을 탐지하고 로봇 말단 이식구(end-effctor)가 꽃가루를 정밀하게 도포함으로써 교차 수분 공정을 자동화하여 F1 하이브리드* 종자를 생산
* F1 종자는 타가 수분을 통해 두 부모(P1xP2)를 교배해 나온 1세대를 의미하며 하이브리드 F1 종자는 서로 다른 두 유전적 계통을 교배해서 얻은 이형접합 1세대를 의미
- 연구팀은 이를 GEAIR(Genomic Editing with AI-based Robots)라 명명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 합성 데이터(Synthetic Data) 활용을 위한 과제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