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3D 유전체 구조를 이용한 후성유전학적 정밀진단
- 등록일2025-10-30
 - 조회수5978
 - 분류생명 > 생명과학,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발간일
				2025-10-30
 - 
              키워드
              #염색체 접힘 구조#후성유전학적#정밀진단#EpiSwitch#뇌척수염/만성피로증후군
 - 첨부파일
 
3D 유전체 구조를 이용한 후성유전학적 정밀진단
BioINwatch(BioIN+Issue+Watch): 25-70
◇ 염색체접힘구조를 통해 근육통성 뇌척수염/만성피로증후군을 민감도 92%, 특이도 98%의 높은 정확도로 진단한 연구결과가 발표. 단일 유전자·단백질을 넘어 후성유전학적 유전체 구조 변화를 진단 지표로 활용한 첫 사례이며, 특히 후성유전학적 패턴 분석을 통해 원인 불명의 발병 기전을 규명한 점에서 큰 의의 ▸주요 출처 : Journal of Translational Medicin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lood-based diagnostic biomarkers for Myalgic Encephalomyelitis/Chronic Fatigue Syndrome(ME/CFS) using EpiSwitchⓇ3-dimensional genomic regulatory immuno-genetic profiling, 2025.10.8.  | 
◆ 염색체접힘구조를 통해 근육통성 뇌척수염/만성피로증후군을 높은 정확도(민감도92%,특이도98%)로 진단한 연구결과가 발표
○ ME/CSF*는 원인 불명의 극심한 피로와 근육통, 두통, 인지·자율 신경계 기능 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다인성 질환으로, 바이오마커가 부재하여 진단과 관리가 어려웠던 상황
* MyalgicEncephalomyelitis(근육통성뇌척수염)/Chronic Fatigue Syndrome(만성피로증후군)
-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 면역학적·유전학적·대사학적·생체에너지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혈액검사를 통한 진단 가능성이 제시
○ 영국 Oxford Biodynamics 연구팀은 “EpiSwitchⓇ”라는 알고리즘 기반의 3차원 염색체접힘구조(ChromosomeConformation, CC) 분석 플랫폼을 이용해 ME/CFS 진단모델을 개발
- (시료) 중증 ME/CFS 환자(28명)와 연령이 일치하는 건강한 대조군(20명)의 전혈
- (분석) EpiSwitchⓇ 전장유전체 DNA microarray 분석을 통해 약 100만 개 바이오마커*의 후성유전학적(염색체접힘구조) 프로파일링과 유전자 발현패턴(footprint)을 분석
* Oxford Biodynamics의 염색체 접힘 관련 바이오마커 probe
- (데이터 구성) EpiSwitch array로 측정된 데이터를 학습 셋(80%)과 테스트 셋(20%)으로 무작위 분할
- (차등 바이오마커 선별) 학습 셋(n=39)에 대해 선형모델(limma)과 비모수적 순위곱(Rank Product analysis)을 병행하여 200개 마커를 도출
- (모델 구축) 선별된 200개 마커의 학습 셋 데이터를 분류 알고리즘(XGBoost)을 적용해 ME/CFS 진단모델(EpiSwitch®CFS test)을 훈련
< ME/CFS 진단을 위한 CCs 식별을 위한 예측 모델의 학습 및 검증>
 
출처 : Journal of Translational Medicin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lood-based diagnostic biomarkers for Myalgic Encephalomyelitis/Chronic Fatigue Syndrome(ME/CFS) using EpiSwitchⓇ3-dimensional genomic regulatory immuno-genetic profiling, 2025.10.8.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 세계 최초로 돼지 간, 폐를 인간에게 이종이식
  
지식
동향
- 기술동향 후성유전학적 PD-1 발현 조절을 통한 T 세포 탈진 회복 및 감염 통제 2025-03-12
 - 기술동향 히스톤의 cleavage - 후성유전학적인 조절 기작 2016-05-11
 - 기술동향 인유두종바이러스에 기인한 자궁경부암 진단 및 치료를 위한 후성유전학적 접근 2014-11-17
 - 기술동향 Helicobacter pylori 연관 위암 발생 과정에서 후성유전학적 영역 암화 2014-03-04
 - 기술동향 Tristetraprolin 유전자 promoter 내 단일 CpG 부위의 후성유전학적 조절에 의한 간암에서 TGFβ1 시그널의 기능 변환 2011-06-02
 


			
			
				
BioINwatch25-70(10.30)●3D 유전체 구조를 이용한 후성유전학적 ...